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나른해지는 봄철, 춘곤증 예방법

 

 

 

 

 

                

 

 

 

춘곤증이란

 

춘곤증은 봄(春)에 날씨가 풀리면서 특별한 이유 없이 느끼는 피곤(疲困) 증상이다. 추위로 움츠러들었던 긴 겨울 동안 봄이 오기를 고대했건만, 딱히 특별한 원인도 없는데 하품이 자주 나고 졸음이 오며, 몸이 무겁고 나른해져서 병이 든 것 같다. 그런데 춘곤증은 의학적인 진단명이 아니므로 병원을 찾기 이전에 이를 극복할 요령이 필요하다.

 

 

 

춘곤증의 원인과 극복 요령

 

춘곤증의 원인으로 제시되는 것은 몇 가지가 있는데 이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 같다. 일조시간이 길어지고 기온이 따뜻해지는 자연적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신체 활동의 증가, 그리고 2월말과 3월초에 걸친 졸업과 입학, 취직과 전근뿐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이사와 같은 사회적 변화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봄철 각종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여러 생화학 반응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다양한 물질이 합성되어야 하는데 신체조건이 신속히 적응을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춘곤증이 생긴다. 춘곤증을 극복하려면 충분한 수면, 규칙적 운동, 스트레스 해소와 함께 영양보충이 필수적이다.

 

 

 

춘곤증 예방을 위한 식단

 

춘곤증 예방을 목적으로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을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 무기질과 비타민은 그 종류가 수십 가지이므로 어느 어느 식품에 들어 있다고 손꼽을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대개  주식인 곡류와 육류나 생선 그리고 과일은 따로 권장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섭취하는 실정이다. 반면에 대부분의 국민이 채소는 충분하게 섭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육과 실천에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암 예방을 위한 식사요법이나 노화 방지를 위한 식단 및 비만 예방 식생활과 다를 것이 없어 건강한 식생활은 그 실천이 관건인 것을 다시 강조하게 된다. 

  

갖은 봄나물이 흔한 봄철은 채소 섭취 측면에서 좀더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요즘에는 산에 들에 나가 직접 봄나물을 뜯어야 하지도 않고 봄나물이 시장에 나오는 시기가 길어졌기 때문에 제철 채소의 의미가 희미해지기는 했다. 그러나 봄나물은 그 향기가 그리운 고향의 봄과 친정어머니의 음식을 기억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언 땅을 뚫고 싹을 튀고 솟아나는 봄나물이기에 엄청난 생명력의 기운을 그 유전자에 담고 있지 않을까? 그러니 그 어찌 춘곤증에 시달리는 몸에 좋지 않을 수 있을 것이며, 그 어찌 연중 내내 나오는 채소에 비길 수 있겠는가? 봄나물의 영양성분표를 보면 봄나물 한 접시에 함유된 비타민, 무기질 그리고 식이섬유의 함량에 놀라게 된다. 30~40대 남자의 1일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할 때 냉이 70g은 식이섬유의 20%, 칼슘의 15%, 철의 36%, 그리고 비타민 C의 50%나 공급할 수 있다. 쑥 40g이나 달래 70g은 베타캐로틴이 많이 들어 있어서 각각 비타민 A의 20%와 28%를 공급하며, 두릅 70g은 비타민 E의 23%와 엽산의 15%나 공급한다.  

 

냉이와 달래는 된장국이나 된장찌개로 하면 온 집안에 봄 냄새가 나고 온 가족이 봄기운에 설레게 되어 춘곤증을 극복하는 데 명약이 될 것이다. 냉이국 건더기의 일부를 꼭 짜서 된장, 파, 마늘, 참기름으로 무쳐서 냉이나물을 하고, 남은 멀건 국에는 무나 양파로 건더기를 보충하면 시간과 노력을 덜 들이고 한 가지 반찬을 추가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된다. 이 때 무는 다른 냄비에서 한번 끓였다가 냉이국에 첨가하면 무가 투명해져서 냉이와 무가 균형이 맞는 것 같아 좋다. 냉이를 간장, 소금, 파, 마늘로 간한 후에 볶은 콩가루로 무치는 냉이무침도 있다. 

 

달래는 호박, 양파와 같은 다른 채소와 함께 고추장 양념으로 전을 부치면 장떡이라고 불리는데 식욕을 돋우는데 그만이다. 어린 아이들에게는 달래 향이 너무 강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오징어, 새우처럼 아이가 좋아하는 해물을 넣고 고추장 없이 달래전으로 접근해보자. 달래는 뿌리 위에 있는 구슬 모양 부분을 찧거나 으깨어 향이 더 나게 하여 사용한다. 달래는 간장과 액젓을 넣고 달래 간장을 만들어 갓 지은 따뜻한 밥에 비벼 먹을 수도 있지만 콩나물밥, 무밥, 홍합밥 혹은 각종 묵이나 데친 두부에 섞어 먹어도 별미이다. 이 때 취향에 따라 달래간장에 고춧가루, 설탕, 식초, 참기름을 더 첨가한다. 달래는 향이 강하므로 다른 채소에 조금씩 곁들여 무침을 하면 봄의 향도 즐기고 다양한 방법으로 채소 섭취량을 늘릴 수 있다. 소금에 살짝 절인 오이나 김을 구워 비닐봉지 안에 넣고 부숴 달래와 무치면 춘곤증 정도는 걱정 없다. 양념은 고춧가루, 액젓, 고추장, 설탕, 마늘, 참기름, 참깨를 쓰는데 파는 넣지 않는 것이 낫다. 

 

쑥은 데쳐 찬물에 헹궈 물기를 짜고 잘게 썬 후에, 소고기 간 것, 두부 물기 짠 것과 함께 양념해서 완자를 빚은 다음 밀가루와 계란물을 차례로 묻혀 육수에 끓이면 임금님이 드셨다는 애탕국이 되지만, 멸치다시마나 바지락 국물에 쑥을 그대로 넣어도 충분히 맛난 쑥국이 된다.

 

봄동은 겉절이를 하거나 액젓과 청양고추 다져 만든 간장에 찍어 먹으면 춘곤증에 특효인 봄채소이다.

 

두릅은 연한 것은 데쳐 예쁜 직사각형 접시에 나란히 놓고 초고추장을 한 줄로 휙 뿌리면 모양 자체가 멋져서 식욕을 돋운다. 조금 센 두릅은 부침가루, 계란을 무쳐서 전을 부쳐도 큰 기교를 필요로 하지 않고 봄을 즐길 수 있는 요령이 된다.


 

                                                                                                                  글 /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이홍미 교수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 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