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입원 질환 1위는? '폐렴'… 감기․독감 가볍게 넘기다 걸려

 

 

 

 

 

      김대중 전 대통령, 디자이너 앙드레김, 코미디언 백남봉…이들의 공통점은 폐렴으로 사망했다는 점. 폐렴은 며칠간

      기침과 고열이 지속되다 나을 뿐 목숨을 앗아갈 만큼 치명적이라고는 여기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폐렴은

      한국인 사망원인 6위를 차지할 만큼 심각한 질환이다. 입원을 제일 많이 하는 질환이기도 하다. 요즘과 같이 일교

      차가 큰 환절기에는 폐렴의 위험성은 더욱 커진다.

 

 

 

 

 

 

 

폐렴, 한국인 사망원인 6위

 

폐렴 중에서도 치명적인 폐렴의 원인은 '폐렴구균' 때문이다. 폐렴구균은 폐렴 원인의 27~44%를 차지한다. 평소에 폐렴구균은 우리 몸 속에 상주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되면 폐에 들어가 폐렴을 일으킨다. 최근 폐렴은 증가추세에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는 2003년 10만명 당 5.7명에서 2011년 17.2명으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면역기능이 떨어져 폐렴에 취약한 노인 인구가 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노인 요양시설이 증가한 것도 감염 질환인 폐렴이 증가한 이유이다.

 

 

 

독감·감기에 걸리면 폐렴 잘 걸

 

독감·감기에 걸리면 일부는 폐렴으로 발전에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독감에 걸리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폐에 침투해 폐 점막을 손상시키고 면역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며, 손상된 폐에 폐렴구균이 침투해 2차 합병증인 폐렴이 발생하게 된다.

 

폐렴은 발병 초기 기침과 오한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인다. 초기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합병증으로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기침이 2주 이상 계속되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폐렴을 의심해야 한다.

 

 

 

50대 이상 폐렴 위험 커져

 

폐렴은 체내 면역기능이 떨어지는 50대부터 늘어난다. 2011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폐렴은 50대의 사망원인 중 감염질환으로 인한 사망 1위를 차지했다. 50대 이상에서는 당뇨병·고혈압·만성폐쇄성폐질환(COPD)·만성 간질환 등을 앓고 있는 경우도 많아 폐렴에 더 잘 걸린다. 건국대병원 호흡기내과 유광하 교수가 50세 이상 폐렴 환자 693명을 조사한 결과, 83.4% 가 당뇨병, 만성 심혈관질환, 만성 폐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백신으로 예방이 최선… 접종률 3.4%에 불과

 

폐렴은 치명적이고 경제적 부담도 큰 질환이라 예방만이 최선이다.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정기석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폐렴구균성 폐렴 환자의 평균 치료 기간은 19.7일, 의료비는 196만~226만 원이었다. 다행히 폐렴은 예방백신이 나와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한 1위의 사망요인으로 폐렴을 꼽고 있다. 그러나 국내 성인의 폐렴 백신 접종률은 3.4%에 불과하다. 국내 보건당국은 올해부터 75세 이상에게 폐렴 백신(다당질 백신․PPV)을 무료로 접종해 주고 있다. 11월부터는 65세 이상으로 대상이 확대된다. 최근에는 예방효과가 더 높은  폐렴 백신(단백결합백신․PCV)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만성질환이 있는 50세 이상은 단백결합백신을 먼저 맞고, 65세 이후에 국가 접종인 다당질 백신을 맞으면 예방 효과가 더 높을 것이라고 말한다.

 

 

 

독감 백신과 함께 맞으면 더욱 안전

 

10월 독감 접종 시기에 폐렴 예방백신을 함께 맞으면 질병으로부터 더 안전하다. 노인은 독감에 걸리면 폐렴으로 발전해 사망할 수 있다. 폐렴 사망 환자의 70% 이상이 노인이다.  폐렴 예방백신을 아직 맞지 않았다면 독감 접종 시기에 독감 백신과 함께 맞으면 편하고 효과가 높다.

 

스웨덴에서 65세 이상 노인 12만 4702명을 대상으로 독감 백신과 폐렴 백신을 동시에 맞게 했더니, 독감으로 인한 입원률은 약 37%, 폐렴으로 인한 입원률은 약 29% 감소했다. 독감백신은 매년 맞아야 하지만 폐렴 예방백신은 50세 이상에서 한 두번만 맞으면 된다.

 

 

글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lks@chosun.com)
도움말 /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정기석 교수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 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