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TV&영화 속 건강

부상을 피하며 축구의 마력 즐기려면

 

 

 

 

이번 브라질월드컵대회는 특이하다. 한국국가대표팀의 현역 선수들보다 옛 선수들이 더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다.   

 

이영표, 안정환, 차두리. 2002년 월드컵대회에서 한국국가대표팀의 4강 위업을 이끈 선수들이다. 이들이 이번 대회에서 방송사 중계방송 해설자로 변신했다. 이영표는 꼼꼼한 해설과 함께 승부를 족집게처럼 예측해 화제를 몰고 왔다. 안정환은 유머러스한 해설로, 차두리는 열정적인 태도로 호평을 받고 있다. 

 

이들이 해설자로서의 변신에 성공한 것에 대해 큰 박수를 보내고 싶다. 선수로서의 화려한 전성기를 거친 후 다음 행보가 얼마나 어려울지 충분히 짐작이 가기 때문이다. 특히 안정환은 선수 시절 막판에 이런 저런 구설에 시달렸는데, 그것을 이겨내고 새롭게 팬들 앞에 섰다. 아직 현역 선수로 뛰고 있는 차두리는 이번 월드컵에 선발되지 못한 아픔을 해설자로서 극복하고 있는 모습이어서 가슴이 찡하다. 옛 선수들의 모습이 감동적인만큼 우리 현역 선수들이 부진한 것이 더욱 안타깝다.  

 

 

 

 

 “목 터져라 응원했는데 무지 아쉽당….”

 

가수 현숙 씨가 카톡으로 전해 온 말이다. 그녀는 월드컵 축가 국가대표팀을 응원하기 위해 브라질 현지로 갔다. 알제리전에서 우리 팀이 4대 2로 대패한 뒤에 흑흑 ~ 흐느끼는 듯한 모양의 이모티콘을 보내왔다. 어찌 그녀만 아쉬울까. 한국인의 대다수가 실망을 느꼈을 것이다. 그러나 경기는 계속된다. 부족한 것은 보완하고, 잘 한 것은 살려서 더 강한 팀을 만들면 된다. 

 

이번 월드컵 대표팀은 수비력이 뛰어날 것으로 믿어졌다. 홍 감독이 수비 선수 출신이기 때문이다.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그렇지 않았다. 우리 팀의 공격력도 기대에 못 미쳤지만, 수비도 허점이 많았다. 수비가 안정돼야 공격력이 살아나는데, 우리는 러시아전과 알제리전에서 그러지 못했다. 

 

왜 그랬을까. 여러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 중의 하나가 선수들의 부상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축구를 좋아하는 이들은 기억할 것이다.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 믿음직한 수비수 김진수가 포함돼 있었다. 그런데 김진수는 발목 염좌 때문에 브라질에 가지 못했다. 김진수 대신에 박주호가 뽑혔다. 독일 프로리그인 분데스리가에서 뛰고 있는 박주호는 봉좌직염 때문에 고생하고 있었다. 그게 다 나았다고 해서 대표팀에 합류한 것이다. 그런데 러시아전, 알제리전에서 그를 볼 수 없었다. 그는 컨디션이 완전히 회복됐다고 했으나 코칭 스태프는 신뢰하지 않은 것이다. 게다가 백업 미드필더인 하대성이 역시 발목 염좌로 인한 통증 탓에 알제리전에서 뛰지 못했다. 하대성이 뛰지 못하므로 역시 미드필더인 기성용이 큰 부담을 느꼈다는 후문이다. 

  

 

 

 

축구 선수들은 늘 부상에 시달린다. 가장 흔한 게 발목 염좌다. 발목 인대 중 하나 이상이 찢어진 것을 말한다. 발목이 심하게 꼬이거나 접질렸을 때 발목관절을 지탱하는 인대들이 손상을 입는 것이다. 축구처럼 방향과 스피드를 전환하는 운동에서 주로 발생한다.

 

심하게 붓고 통증을 느끼는 것이 전형적 증상이다. 체중을 싣고 서 있기가 힘들 정도로 아플 수도 있다. 손상 초기에 병원에 가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 전문의들의 공통적 조언이다.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목관절의 불안정성이 남는 경우 염좌가 자주 반복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발목 염좌는 운동선수 뿐 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이 경험하게 된다. 계단을 내려오는 등의 일상 동작 중에도 발을 헛디디면 위험할 수 있다. 

 

고르지 못한 표면을 걷거나 뛸 때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은 생활 상식이다. 피로가 심한 상황에서는 운동 강도를 줄여야 한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또 상황에 맞는 적절한 신발을 착용하여 발목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도 말할 나위가 없다.
 전문의들은 “발목 염좌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발목 주변 근력을 균형적으로 유지하고, 유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라고 입을 모아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운동 전에 충분한 준비운동을 해야 한다.

 

 

 

 

준비 운동에 대해서 말하려니, 가슴 한 구석에 찔리는 대목이 있다. 작년 가을에 회사 사람들과 미니 축구를 했다. 평소 축구를 즐기는 편이라 스트라이커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겠다는 자신에 차 있었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처럼(이라고 하면 비웃음을 사겠지만, 내 마음만은) 수비수를 제치며 현란한(?) 개인기를 선보이다가 그만 어이없게 그라운드에 풀썩 넘어졌다. 상대 수비수의 발에 채여서 종아리에 근육 파열이 생긴 탓이다. 그 부상으로 결국 깁스를 하고 목발에 의지하는 생활을 3개월 이상해야 했다. 

 

돌이켜보면 사전 준비 운동을 게을리 한 게 큰 문제였다. 몸의 유연성과 균형 감각이 있었으면 상대 수비의 태클을 미리 피할 수 있었을 테니까. 그렇게 부상을 당한 후 다시는 축구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마음먹었다. 주변에서 근육 파열은 재발하기 쉽다고 겁을 준 탓이다. 그런데 월드컵 경기를 지켜보니 몸이 근질근질해진다. 결국 집 근처의 야산을 산책하다가 나도 모르게 뛰었다. 뛰면서 발 상태가 그라운드를 뛸 수 있는지 살펴보고 있었으니, 아 축구의 마력이여!

 

글 / 문화일보 장재선 기자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 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