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마음과 귀를 열면 대화이 길이 보인다

 

 

 

 

 

 

옛말에 70세를 일컬어 종심(從心)이라 했다. 공자가 논어에서 ‘일흔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해도 도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들면 이처럼 모든 것이 평온할 듯해도,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인생 100세 시대,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황혼 부부의 소통 부재와 그로 인한 갈등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황혼 부부 갈등 심화

 

모든 부부에게는 함께인 것만으로도 웃음 나는 시절이 분명 있었을 터다. 살면서 사랑의 모습이 조금 변할지언정 ‘역시 내 사람이 최고’를 외치게 되는건 함께 공유한 시간과 추억의 힘이다. 그런데 이 시간과 추억이 때로는 독이 되어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으레 그러려니 여기던 사소한 말이나 행동들로 큰 문제가 시작되는 경우가 그런때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인구 주택 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542만 명으로 5년 사이에 24%나 증가했다. 노인 인구 비율은 11.3%로, 처음으로 두 자리 숫자를 기록했다. 그만큼 우리나라가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에 진입 중이라는 의미다. 평균수명이 늘어남과 더불어 전체 부부 가구에서 노인 부부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39%로 높게 조사됐다.

 

이처럼 평균수명이 길어질수록 부부가 함께 지낼 시간도 자연스럽게 늘어난다. 때문에 노년을 어떻게 보낼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준비와 이해가 부족할 경우 여러 가지 갈등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퇴직 후, 자녀들마저 출가한 집에서 부부 둘만 생활하게 되는 가정에서는 그동안 직장 생활에 가려지고 자녀와의 관계에 묻혀 있던 문제들이 한 순간 불쑥 고개를 내밀기 십상이다. 살던대로 살아서는 돈독한 관계를 지속하기가 힘들다. 그동안 소통과 이해가 부족했던 탓이다. 실제로 요즘은 같은 집에 살지만 별거와 다름없는 생활을 하거나 황혼이혼을 고려하는 부부가 적지 않다. 100세 시대, 빈곤과 질병 외에 65세 이상 노년층 부부의 갈등이 새 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차이를 인정하고 소통과 배려를 생활화

 

위기와 맞닥뜨린 황혼 부부의 문제점을 들여다 보면 소통의 부재가 가장 큰 요인으로 손꼽힌다.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부부간의 소통임에도 그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 수십 년 동안 큰 문제없이 잘 지내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월이 흐른 만큼 환경도, 건강도, 생각도 달라졌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보통 은퇴 후에는 집안의 권력이 뒤바뀐다. 과거의 부부 관계가 남편 중심이었다면, 중년 이후 서서히 아내에게로 중심이 옮겨간다. 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여성은 나이가 들수록 주장이 강해지고 대범해지는 반면, 남성은 활동성이 줄어들고 차분해지는 경향이 원인중 하나다. 당연히 과거와 같은 생각과 행동으로는 서로를 온전히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신체적인 노화로 두뇌의 유연성이 떨어지면 감정 컨트롤 능력이 예전보다 둔화되기도 하는데, 두뇌 유연성이 떨어짐에 따라 경직된 성향의 사람은 그 정도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어 소통에 문제가 발생한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노년기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하루아침에 키울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젊은 시절부터 타인을 배려하고 감정을 이해하려는 태도를 몸에 익혀야 하는 이유다. 물론 조금 늦더라도 노력한다면 개선의 여지는 충분하다. 아주 사소하게는 상대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일부터 시작하자. 소통이란, 나의 언어가 아니라 상대의 언어로 듣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부부 모두 노년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인식하고, 서로의 입장을 헤아리는 연습을 해야 한다.

 

만약 둘만의 힘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여겨질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많은 지역 복지관과 건강가정지원센터 등에 부부 상담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으니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자. 남은 삶을 보다 건강하고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부부가 함께 제2의 인생을 시작한다는 마음가짐으로 건강한 변화를 시도해보자.


글 / 정은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