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폭력에 노출된 아이들, 상처받은 아이를 위한 상담

 

 

 


 

연일 전국을 떠들썩하게 만드는 아동학대 사건은 어쩌면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최근 계모의 학대를 견디다 못해 끝내 하늘나라로 떠난 7살 신모군은 영하 10도의 날씨에 난방이 되지 않은 화장실에서 끝내 숨을 거뒀다. 갖은 학대로 심신이 약해진 가운데 바지에 볼일을 봤다는 이유 때문에 모진 학대를 받은 것이었다. 친부도 말로만 계모의 폭력을 나무랐을 뿐 적극적인 제재나 보호를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정폭력 등에 노출된 아이들은 다시 그 폭력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혹시나 가정에서 혹은 가정 밖에서 폭력, 따돌림 등으로 고민하고 있는 아이들이 있다면 이제부터라도 어른들이 나서서 이 아이들을 위해 발 벗고 나설 때이다.


 

보통 새학기가 시작되거나 재혼 등으로 인해 새로운 부모를 만난 경우라면 위축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아이들 모두 자신감이 결여되면서 위축된 행동을 보이기 일쑤다. 혹시나 이러한 아이들을 둔 부모들이나 주변에 이러한 아이들이 있다면 우리 어른들은 어떠한 행동을 취하는게 좋을까? 문제의 원인은 여러 곳에서 발견된다. 소리를 지르는 부모나 무섭게 훈계를 하는 엄격한 가정환경의 경우 이러한 성향을 쉽게 나타낸다. 정 반대로 하나부터 열까지 다 챙겨주는 양육방법으로는 엄마나 아빠가 말하지 않는 이상 아무것도 못하는 과보호의 경우로 인해 자신감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

 

 


 

또한 전학이나 이사를 통해 낯설고 새로운 환경에 부딪혀야 하는 경우, 외모에서 오는 열등감으로 자신감을 잃은 경우, 부당한 차별, 발달상 미숙한 경우 모두 위축된 성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보통 부끄러움을 잘 타거나 지시를 해야 움직이는 아이들, 남에게 부탁하며 해주기를 바라는 아이들, 쉽게 불안을 느끼는 아이들이라면 가장 먼저 정서적인 지지와 응원, 위로가 가장 중요하다. "조금만 더 힘내", "넌 잘 할 수 있어", "넌 할 거라고 믿어" 등의 응원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작은 것부터 도와주면서 스스로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지도해야 한다. 점차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 많아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지켜봐야한다.


 


 

그리고 작은 일이라도 아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 할 때 칭찬을 아끼지 말고 자신감을 키워주는 노력이 뒷받침돼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담사로서의 전문적인 역할로는 큰 호흡, 풍선불기, 복식호흡 등 사회기술 습득을 위한 이완훈련을 하고 즐거운 심상을 떠올리도록 심상기법을 활용하면 좋다. 또한 입장을 바꿔 놀아보는 방법으로 역할극을 해보거나 모래놀이 미술활동 등을 통해 즐거움을 주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돕는 것도 해결방법이 되겠다.


 

 

아동학대 등으로 인해 정서적으로 위축된 사례도 있겠지만 정 반대로 폭력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공격성의 원인으로는 정서적인 흥분상태가 우선된다. 이 경우에는 욕구불만이 원인이며, 이때는 부모나 상담자가 기다려줘야 한다. 아동이나 청소년은 통제력이 완전히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흥분을 통제하는 것은 뇌가 완전히 발달한 20세부터 이뤄진다.


 


 

가정에서의 엄마나 아빠의 폭력성은 물론 TV나 게임, 만화영화 등의 반복적인 폭력성에 노출된 경우도 공격성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런 아이들은 물건을 집어 던지거나 동생, 또래 아이들을 때리는 행동을 보인다. 아이들은 부모의 모습을 그대로 모방하고 빨리 습득하는 경향이 짙다. 부모라면 말 한마디 행동 하나하나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특히 자라나는 어린아이를 둔 부모라면 더욱 말이다.

이 외에도 경험으로부터 폭력성이 커지는 경우도 있다. 원하는 장난감을 뺏어본 경험이 있거나 욕하고 던지기를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킨 경험이 있는 아이들은 반복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 한다. 마지막으로 평소 부모로부터 관심을 받지 못한 아이들의 경우엔 부모의 잔소리나 체벌이 자신에 대한 관심이라고 느끼게 되는데 이것이 반복되면 잔소리라도 듣고 싶어서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아이들은 보통 왜소한 아동이나 경쟁상대를 신체적으로 공격하고 싶어 한다. 또 불특정대상을 공격해서 주위의 관심을 자신에게 돌리려하는 경우도 있다. 또 언어적인 공격을 보이거나 기물을 파손해서 자신의 마음을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하나의 유형으로 꼽힌다. 해결방법으로는 우선 분노의 감정을 인정하고 "화가 많이 났구나. 엄마도 그랬을 거 같아. 이유가 뭐니"식으로 분노를 인정하고 들어 주는 게 우선이다. 또 기질적으로 유난히 화를 잘 내는 경우도 있으니 기질을 이해하려고 하고 공격성을 나타내는 시간적, 공간적, 인적 조건들의 공통점을 찾아 상황을 제거하는 노력도 해야한다.

 

 


 

화를 풀 수 있도록 노래방이나 실컷 울기 식으로 말하는 것보다 실제로 보여주는 모델링 제시로 공격성을 제어하는 방법도 있다. 더불어 때리는 친구들을 피하게 하거나 공격적 행동을 줄였을때 보상하기, 모래놀이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등의 상담기법을 통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도 또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흔히들 이야기 한다. ‘문제 있는 아이는 없다. 다만 문제 있는 부모만 있을 뿐이다’라고. 그만큼 부모나 어른들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크다는 이야기다.


 

 

세상엔 많은 10계명이 존재한다.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어려운 것 중에 하나가 좋은 부모 되기가 아닐까 싶다. 정답은 아니지만 이 10가지만 잘 지켜낸다면 아이들은 티 없이 자라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우선 행동으로 본보기가 되어주어야 한다. 책을 읽으라고만 하지 않고 직접 읽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다. 또 아이에게는 넘치는 사랑을 주어야 한다. 모자라다고 느끼는 순간 아이는 삐뚤어진 생각을 갖게 된다.

 

 


 

아이들의 삶에 참여해 아이들과 호흡해야 한다.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게 놀아주고 소통해야 한다. 다만 지켜야 할 규칙을 정해놓는 것이 좋겠다. 자신이 할 일이 명확해지고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보일 때 칭찬을 아끼지 않아야 아이들은 더욱 자존감이 높아질 수 있다. 나이에 맞게 독립성을 키워 스스로 성장하는 기회도 주어야 한다. 다만 부모라면 말과 행동에 있어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급한 불을 끄려고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해버리면 아이는 부모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릴 수 있다. 절대로 때리지 말아야 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폭력은 결국 폭력을 낳는다. 부모의 결정은 강압이 아닌 설명을 통해 이해시켜야 한다. 아이도 인격체임을 잊지 않는다면 말이다.


 

글/ 김지환 자유기고가(전 청년의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