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반려동물과 함께 건강하게 잘 사는 법






바야흐로 반려동물 가구 1천만 시대를 맞았다. 우리나라 인구 5천만 명 중에서 5/1에 해당하는 인구가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셈이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개밥 주는 남자’와 지금은 종영한 ‘마리와 나’, '단짝‘ 같은 프로그램 또한 반려동물과의 교감을 다룬 내용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사랑스러운 내 가족, 반려동물과 건강하게 오래도록 잘 살아가기 위한 Tip을 소개한다.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인간이 얻게 되는 가장 큰 것은 육체적, 정신적 건강일 것이다. 최이돈 VIP동물의료센터 원장에 의하면 실제로 반려동물과 함께할 때 분비되는 호르몬은 인간이 사랑의 감정을 느낄 때 분비되는 호르몬과 같아서 여러 정신적인 불안과 강박, 외로움 등의 힘든 감정을 완화시켜준다고 한다. 또 집에만 있을 반려동물이 심심해하거나 답답할 것이 염려되어 함께 산책을 데리고 나가면 동물의 심신 건강뿐 아니라 보호자의 비만율과 심혈관계 질환이 현격하게 낮아진다는 조사도 있다. 산책만으로도 서로 교감을 느끼며 안정과 육체적 건강을 선물할 수 있으니 반려동물과의 주는 이점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서울시 수의사회 반려동물 행동학 연구회 나응식 박사는 반려동물을 키우기 전에 동물복지(동물행복권)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동물이 최소한 누려야 할 동물복지 즉 행복의 원칙 다섯 가지를 살펴보면 첫째, 부적절한 영양관리(굶주림, 쇠약, 비만)으로부터 자유다. 둘째, 불쾌한 환경이나 오염된 장소로부터의 자유다. 셋째 신체적 고통(통증, 부상, 질환)으로부터의 자유다. 넷째 정신적 고통(공포, 불안 등)으로부터의 자유다. 다섯째 자연스러운 본능을 발현하여 살 수 있는 자유다. 이렇게 동물의 복지를 이해하고 배려한다면 인간의 삶의 질도 보다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애견사랑’의 저자 윤신근 수의사는 가정에 막 걷기 시작한 어린아이가 있을 경우는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동물의 먹이를 함부로 다루거나 배설물을 아이가 만지지 못하도록 주의하고 동물의 배설물 때문에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으며, 사람에게 옮는 바이러스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리 동물에 대한 예방주사는 물론 기생충 구제에도 신경을 싸야 한다. 또 동물의 털은 저항력이 약한 아이에게 피부염이나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때문에 동물의 털 날림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털이 날리지 않도록 자주 빗질을 해주어야 하며, 동물을 만진 뒤에는 반드시 손을 씻는다. 사람이 사용하는 식기에 사료는 담아주는 일은 없도록 한다.




1. 목욕을 자주 꼼꼼히 해준다.
강아지 목욕은 1주일에서 열흘에 한번 정도 시켜주면 좋다. 더운 여름철에는 잔모종은 일주일에 한번, 장모종은 4~5일에 한번 정도. 고양이의 경우는 그루밍을 하기 때문에 보통 1년에 3~4번 정도 시켜줘도 된다.





2. 배변 습관을 관리해준다.
강아지의 경우 배변 판에 볼 일을 볼 수 있도록 훈련시킨다. 배변 판을 자주 갈아도 그 냄새가 힘들다면 야외 배변 훈련을 시작하는 것도 좋다. 단.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정해진 시간에  산책을 나간다. 리드줄(목줄 혹은 가슴줄)과 배변을 치워줄 봉투(똥츄)는 필수. 고양이의 경우는 자신이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 있으면 가끔 엉뚱한 곳에 볼일을 보곤 한다. 만약 고양이가 전용 화장실이 아닌 곳에서 볼일을 본다면 화장실 청결도나 건강 상태를 체크해본다.


3. 침구 세탁을 자주 해준다.

반려동물들은 주인의 체취가 묻어 있는 침대나 소파를 좋아하기 때문에 그런 곳에 앉아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다. 주기적인 침구류 세탁은 냄새를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방법이다. 적어도 한 달에 두번 정도는 세탁해준다.





4. 반려동물의 구강 청결에 신경 쓴다.
반려동물을 아끼는 마음에 구취가 난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양치는 하루 한 번 또는 2~3일에 한 번 정도면 좋고 규칙적으로 같은 시간에 하면 강아지가 더 편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칫솔질 외에 딱딱한 껌이나 뼈 간식 등은 치석제거에 도움이 된다. 또 고급 사료를 먹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만약 반려동물의 구취가 심각할 정도라면 당뇨나 신장 이상 등 건강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수의사에게 진료를 받는다.


5. 카펫이 있다면 자주 청소한다.
카펫은 지속적으로 청소해줌으로서 박테리아가 서식하는 것을 막는다. 주기적인 청소가 어렵다면 세탁 서비스를 받거나 청소도구를 구매하여 매일 청소하는 것이 좋다.


*참고자료: 삽사리테마파크



글/ 강명희 프리랜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