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줄기세포 에이즈 치료 [에이즈 증상 자세히 알기]

 

줄기세포 에이즈 치료 첫 사례!

16일 해외 언론 보도에 따르면 미국 앨라바마 대학 마이클 사그 박사팀이 줄기세로를 이용해
40대 미국인 에이즈 환자를 치료한 사례를 학술지 '블러드(Blood)'에 보고했다고 합니다.




  

줄기세포 에이즈 치료한 첫 성공자로는
독일 베를린에 사는 티모시 브라운으로 에이즈와 급성골수백혈병까지 걸렸던 사람인데요.
급성골수백혈병을 치유하기 위해 줄기세포가 포함된 피를 수혈받았다고 하는데요.

3년 후 이 환자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백혈병뿐만이 아니라 에이즈 즉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감염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 당신 혈액 줄기세포를 제공한 헌혈자가 HIV에 선천적으로 저항성이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던 사람으로 나타났습니다.

평생 고칠 수 없을 것 만 같았던 무서운 에이즈는 이제 치료를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 같네요.
줄기세포 에이즈 치료가 이 계기로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면 좋겠습니다.


에이즈 자세히 알기
 

여러 명의 파트너와 콘돔 없이 성교하거나 마약중독자 등에서 서로 돌아가면서 맞은 주사기를 통하여 걸릴 수 있다.

되도록 빨리 치료받아야 한다. 병을 앓는 기간이 길어지면 다른 병에 대한 면역성이 떨어진다.

지난 20년간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는 분야가 바로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대한 연구이다.

치료를 받지 않으면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AIDS)이 된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은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유사한 바이러스가 아프리카의 영장류에서 발견되고 있다.

 

즉 바이러스를 가진 원숭이에게 물렸을 때 원숭이의 침을 통해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가 체내로 들어가고,

그것이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는 성교나 체액(혈액, 정액 등) 교환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전파되었다고 보고 있다.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면역세포가 서서히 파괴되어 쉽게 감염되고 종양이 생기기도 한다. 감염이 되어도 몇 년 동안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가벼운 증상만 빈번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면역성이 아주 약해지면 일반인에게는 별로 문제되지 않을 병도 환자에게는 심각한 증상으로 나타나고 특정 암에 걸릴 확률도 높아진다. 이처럼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특정 질환이나 암이 발생하는 경우를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이라고 한다.

어떤 사람이 걸리나?
 

전세계적으로 3,300만 명 이상이 이 병에 걸렸으며, 그 중 90%는 감염 사실도 모르고 있었다.

1995년 이후부터 치료 약물이 발달하여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으로 사망하는 사람들이 많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아직도 25-44세 미국 흑인들의 사망 원인 1위이며, 개발도상국에서는 신약을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이 더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어떻게 전염되나?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는 혈액, 정액, 질 분비물, 타액, 모유 등 체액을 통해 전파된다.
대부분이 질, 항문, 구강 성교를 통해 전파된다. 이미 다른 종류의 성병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
약물을 상습적으로 정맥에 주사하는 중독자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주사바늘을 여러 번 사용하고
다른 사람도 그 주사바늘을 사용하는 행동은 극히 위험하다. 병에 걸릴 확률이 아주 높아지기 때문이다.

의료종사자 역시 감염된 주사바늘에 찔려 감염될 위험이 있지만(주사바늘에 의한 외상) 그런 경우는 드물다.
감염된 산모가 출산하거나 수유할 때 신생아에게로 바이러스를 전염시킬 수 있다.
또한 장기이식 수술이나 감염된 혈액을 수혈할 때도 전염될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정기적으로 혈액과 장기, 조직에 대한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하므로 장기이식이나 수혈로 감염될 위험은 거의 없다.
악수나 기침, 재채기 같은 접촉으로는 전염되지 않으며 환자와 같이 생활해도 전염될 위험은 없다.

원인은 무엇인가?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는 혈액에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진 CD4 수용체로 침입한다. 이 세포에는 CD4 림프구라는 감염에 저항하는 백혈구가 포함되어 있다. 일단 침입한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서 빠르게 증식하여 세포를 파괴한다. 병에 걸린 초기에는 면역계가 감염되어도 정상적으로 기능하며 몇 년 동안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엔 CD4 임파구 수가 감소하므로 다른 감염이나 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
 

첫 증상은 감염된 후 6주 이내에 나타난다.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개 다음과 같다.

 

* 림프절 종창(림프관염)이 나타난다.
* 열이 난다.
* 피로감을 느끼고 근육에 통증을 느낀다.
* 발진이 일어난다.
* 인후통이 생긴다.

 

이런 증상들은 보통 몇 주 안에 없어지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감염된 사실도 모른 채 생활한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계속 나타나기도 한다.

* 림프절 종창이 잘 낫지 않고 지속된다.
* 아구창같은 구내 감염에 걸린다.
* 잇몸 질환이 생긴다.
* 단순포진 감염과 구내 궤양이 잘 낫지 않고 지속된다.
* 외음부에 광범위하게 사마귀가 생긴다.
* 가렵고 비듬이 생기는 피부 병변(지루피부염)이 나타난다.
* 체중이 감소한다.

감염되고 나서 짧게는 1년 안에, 길게는 14년 후에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이 발병한다.

환자들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알지 못하다가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거나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으로 암이 발생한 후에야 감염 사실을 알게 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클릭

어떤 합병증이 가능한가?

어떻게 진단하나?

어떻게 치료하나?

예후는 어떠한가?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

로그인없이 가능한 손가락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