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7월의 웰빙 수산물 - 메기와 낙지

 

 

 

 

 

 

 

 

해양수산부가 선정한 ‘7월의 웰빙 수산물’은 메기와 낙지다.

 

개그맨 이상운의 별명이던 메기는 못 생겼다. 몸은 길고 원통 모양이다. 머리는 위ㆍ아래로 납작하고 몸통의 뒤쪽은 옆으로 납작하다. 몸에 점이 많아 점어(鮎魚)라고도 불린다. 종어(宗魚)라고도 부른다. 민물고기 가운데 맛이 으뜸이란 뜻이다. 살이 맛있고 기름진(지방 100g당 5.5g) 때문일 것이다.

 

 

 


메기는 비린내가 거의 없는 것이 장점이다. 국물이 개운해 매운탕의 재료로 그만이다. 찜ㆍ탕ㆍ구이 등 다양한 요리를 해 먹을 수 있다. 단백질이 풍부해(100g당 15.1g) 보양 식품으로도 훌륭하다. 메기 요리를 할 때는 몸통의 미끌미끌한 성분은 씻지 않고 하는 것이 좋다. 메기찜은 채소와 양념장이 맛을 좌우하는데  양념장에 인삼과 꿀을 넣으면 맛이 더 살아난다. 술안주ㆍ보양식으로 인기 높은 메기찜은 대개 맵고 진한 양념장을 사용해 얼큰하게 조리한다. 

 

한국인을 비롯해 일본ㆍ중국인들이 선호해 아시아 지역에선 메기 양식이 활발하다. 국제식량농업기구(FAO) 통계에 따르면 2006년 아시아의 총 양식어류 140만t 가운데 30만t이 메기였다. 학명은 Silurus asotus다. 아소투스(asotus)는 ‘호색한’ 또는 ‘감각주의자’란 뜻이다. 메기의 수염이 멋지다는 것을 뜻하지만 ‘물속의 난폭자’란 의미도 있다. 물살이 느린 하천이나 호수ㆍ늪이 주 서식지다. 오염된 물에서도 잘 견딘다. 낮엔 바닥이나 돌 밑에 숨어 지내다가 주로 밤에 활동한다. 그래서 밤낚시로 잡는다. ‘동의보감’엔 “메기는 성질이 따스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어 부종(浮腫)을 내리게 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고 기술돼 있다.

 

 

 

 

메기와 물메기(cubbed snailfish)는 완전히 다른 생선이다. 11월 말에서 이듬해 2월까지 잡히는 물메기는 비린내와 기름기가 없어 해장국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곰치과 생선인 물메기는 한반도 전역에 서식한다. 정약전은 ‘자산어보’에서 “물메기는 살이 아주 연하고 맛이 싱거우며  술병을 고친다”고 예찬했다.물메기는 저열량ㆍ고단백 식품이다. 열량은 100g당 78㎉로 메기(114㎉)보다 낮고 단백질 함량은 16.4g으로 메기와 비슷하다. 메기와는 달리 흙냄새가 나지 않아 껍질을 벗겨 회나 탕을 끓여 먹거나 말려서 찜을 해먹는다. 

 

 

 


낙지는 스태미나 식품이다. 낙지 하면 소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자산어보’에 “말라빠져서 일어나지 못하는 소에게 낙지 서너 마리만 먹이면 거뜬히 일어난다”는 대목이 나와 있어서다. 과거 민간에선 소가 새끼를 낳거나 여름에 더위 먹고 쓰러졌을 때 낙지 한 마리를 호박잎에서 싸서 던져줬다. “뻘 속에서 건진 산삼”이란 말을 소에게 건넸다. ‘낙지 한마리가 인삼 한 근과 맞먹는다’는 옛말도 있다. 그만큼 낙지가 기력을 높여준다는 뜻이다. 

 

그래서 병후 회복기에 있는 환자에게 낙지죽을 추천한다. 낙지에 든 스태미나 성분은 단백질이다. 낙지 100g당 단백질 함량(세발낙지 기준)이 11.5g이다. 이 정도라면 다른 식품에 비해 월등히 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다고 보기 힘들다. 문어ㆍ오징어에도 단백질이 100g당 각각 15.5gㆍ19.5g 함유돼 있다. 이보다는 낙지의 뛰어난 맛이 식욕을 높여 사람과 소를 벌떡 일어나게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사람들이 낙지를 먹을 때 가장 우려하는 성분은 콜레스테롤, 가장 기대하는 성분은 타우린이다. 낙지ㆍ오징어ㆍ새우 등에 타우린(황 성분이 포함된 아미노산)은 콜레스테롤을 분해시킨다. 낙지 100g당 타우린 함량은 854㎎이다. 타우린은 간 건강과 시력 회복을 돕고 피로회복에도 유익하다. 피로회복제로 시판 중인 일부 드링크에 타우린이 다량 함유된 것은 이래서다. 

 

 

 

 

 

낙지는 표고버섯과 궁합이 잘 맞는다. 표고버섯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베타글루칸(식이섬유의 일종)이 풍부해서다. 일본에선 생표고 100g(마른 것은 50g)을 1주일간 먹으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10% 떨어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낙지는 빈혈 환자에게 권할 만 하다. 빈혈을 예방하는 철분과 비타민 B12가 꽤 들어 있어서다. 혈압 조절에 유익한 미네랄인 칼륨도 100g당 273㎎ 함유돼 있다.

 

한국인은 낙지를 소금물로 약간 데쳐 생식하기를 즐기지만 외국인은 절대 생으로 먹지 않는다. 세발낙지는 발이 셋이 아니라 발이 가는(細) 낙지란 뜻이다. 세발낙지는 엄밀히 말하면 세팔낙지다. 문어처럼 낙지도 팔이 8개다. 

 

맛은 큰 것보다 중간 것, 몸통ㆍ머리 부위보다 팔 부위가 낫다. 요리할 때 너무 오래 가열하면 질겨진다. 밀ㆍ콩ㆍ무와도 ‘찰떡궁합’이다. 함께 넣고 살짝 데치거나 삶으면 맛과 풍미가 살아난다. 특히 콩과 함께 끓이면 서로 알맞게 부드러워진다. ‘봄 조개, 가을 낙지’란 속담이 있다. 낙지 맛은 가을이 으뜸이란 뜻이다. 가을 낙지를 ‘꽃낙지’라 한다. 봄이 되면 ‘꽃낙지’가 ‘묵은 낙지’가 된다. 


 글 / 식품의약컬럼니스트 박태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