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르스 확진자가 21일째 나오지 않고 있고 나머지 1명의 격리자가 해제되면서 사실상 종됐다. 하지만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 사이에선 여전히 메르스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이 완전히 가시지는 않은 분위기다. 일부 부모들은 메르스 때문에 여전히 혹시나 하는 마음에 아이가 열이 나는데도 병원에 데려가지 않고 집에서 민간요법 등에 의존해 치료하려는 경향마저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위험천만하다”며 우려한다. 열이 나는 게 일시적이거나 단순한 감기 때문일 도 있지만, 간혹 뇌수막염이나 신장염 등 다른 병의 원인일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집에서 해열제만으로 가라앉히려다 자칫 다른 병을 키울 우려가 있다는 얘기다. 더구나 해열제 복용법을 정확히 모르거나 알아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경우가 여전히 적지 않다. 그러면 약을 먹어도 별다른 소용이 없게 되거나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해마다 봄, 여름철에는 발열을 동반하는 병이 다수 유행한다. 예를 들어 수족구병이나 포진성 구내염, 뇌수막염, 식중독, 장염, 유행성 각결막염 등이 대표적이다. 아이가 열이 나는 등의 증상을 병원에 가기 꺼려진다는 이유로 민간요법에 의존하거나 그대로 방치하면 시간이 갈수록 탈수뿐 아니라 패혈증, 뇌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생길 위험마저도 높아질 수 있다.
특히 면역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영∙유아는 이런 병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고, 만약 걸릴 경우 증상도 더 심해질 수 있다. 제때 치료해주지 않으면 자칫 다른 병이나 합병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더 크다는 의미다. 영∙유아가 4일 이상 내내 열이 나거나 기침을 2주 이상 계속한다면 단순한 감기가 아닐 가능성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전문의들은 설명한다. 더구나 생후 3개월이 안된 영아는 단 하루라도 고열이 난다면 꼭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영∙유아를 둔 부모들 가운데는 간혹 아기가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메르스에 더 취약할 거라는 생각으로 필요한데도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고열 같은 증상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제때 대처하지 않으면 아이가 더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게다가 지금까지 국제학계에 알려진 바로는 영∙유아의 메르스 감염 확률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한다.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해열제는 대부분 상비해두고 있다. 병원 처방 없이 약국이나 요즘은 편의점에서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메르스가 걱정되는 일부 부모들은 아이의 열을 집에서 해열제로만 내려주려고 한다. 그런데 해열제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려면 정확한 복용법을 지켜서 먹여야 한다.
어린 아이에게 해열제를 먹일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은 성분과 복용량이다. 주성분이 무엇이고, 하루에 최대 얼마까지 먹일 수 있는지를 꼭 기억해야 한다. 주성분에 따라 먹일 수 있는 아이의 연령대에 차이가 있고, 밥을 먹지 않았거나 다른 병을 앓고 있을 때 등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도 다르기 때문이다.
해열제를 먹였는데 바로 열이 내리지 않는다고 해서 좌약이나 다른 해열제를 다시 먹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자제해야 한다. 하루 최대 복용량을 넘겨 과량복용이 될 수 있어서다. 먹기 편하게 한다고 아이를 눕히거나 상체를 젖힌 채 해열제를 먹이는 경우도 종종 있다. 하지만 이런 자세는 되도록 피하는 게 좋다. 약이 식도가 아닌 기관지로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시럽 형태의 해열제에는 대개 향이나 단맛이 첨가돼 있어 대부분의 아이들이 먹는데 크게 거부감을 갖지 않는다. 그런데 가루약은 싫어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다. 이럴 때는 미지근한 물에 가루약을 녹인 다음 설탕이나 요구르트를 소량 함께 넣어 먹이면 된다. 간혹 꿀을 타주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안 된다. 꿀에 신경 마비를 일으키는 성분을 만들어내는 미생물이 들어있을 수 있어 특히 첫돌 이전의 아기에겐 절대 피해야 한다. 우유나 주스 같은 음료에 타서 먹이면 약효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역시 피하는 게 좋다.
시럽 형태의 해열제는 아이마다 복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해열제 용기나 사용설명서 등에 적혀 있는 대로 따라야 한다. 대개 나이나 몸무게에 따른 복용량이 명시돼 있는데, 나이보다는 몸무게에 따른 정량을 맞춰 먹이는 게 정확하다고 전문의들은 권한다. 아이가 어린데 시럽 형태의 해열제가 없다고 어른들이 먹는 알약 해열제를 쪼개 먹이는 건 절대 금물이다.
손으로 쪼개면 주성분이 아이에게 필요한 양보다 많이 들어갈 우려가 있는 데다, 어른의 약이 아이의 몸에 들어가면 이상반응을 일으킬 위험도 있다. 알약을 먹을 수 있는 나이라면 아이가 약을 삼키고 난 뒤 물을 한번 더 먹여주는 게 좋다. 약 성분이 입 안에 남아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도움말 : 신선희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한국존슨앤드존슨>
글 / 한국일보 산업부 임소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