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양지심

차지만 넘치지는 마라 ‘겸손은 야심가의 위선이거나 노예근성의 비굴함이다.’ ‘내일 지구가 멸망한다해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던 네덜란드 철학자 스피노자. 그의 눈에 비친 겸손은 다소 비아냥적이다. 하기야 겸손이 인간의 본능은 아닌 듯도 하다. 맹자는 인간의 심성이 본래 선하다는, 이른바 성선설(性善說)의 근거로 사양지심(辭讓之心)을 꼽는다. 인간은 남에게 양보하고, 겸손하고자 하는 성품을 타고났다는 것이다. 스피노자에게 겸손은 일종의 ‘가면’이다. 겸손은 뭔가를 얻으려는 속셈으로 스스로를 일부러 낮추는 행위다. 맹자가 옳은지, 스피노자가 옳은지 정답을 찾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의 마찰이 사유의 공간을 넓힌다. 그게 철학이 인류에게 선사한 귀중한 선물이다. 과욕은 불행을 잉태한 씨앗 사실 세상은.. 더보기
인간의 선한 본성은 어떻게 지킬까 맹자(BC 372?~BC 289?)는 인의(仁義)가 바탕이 되는 왕도정치를 주장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유학자이자 사상가다. 이웃 국가를 정벌하는 힘은 칼이 아닌 덕(德)에서 나온다고 군주들에게 호소한 이상주의자이기도 하다. 덕이 부족한 정벌엔 반드시 막강한 군사력을 요구하지만 덕으로 복종시킬 땐 강대국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인간은 덕에 끌려 야만 마음으로 복종한다는 얘기다. 德과 善 … 맹자 사상의 두 줄기 덕(德)과 선(善)은 맹자 사상에 깔린 큰 줄기다. 특히 어짐과 덕스러움은 군주가 갖춰야 할 필수 덕목이다. 힘으로 세상을 다스리는 패도(覇道)정치보다 인과 덕으로 백성을 돌보는 왕도(王道)정치를 펴라고 설파했지만 무력이 수시로 권력지형을 바꾸던 당대에 그의 호소는 때로 공허한 메아리였다. 하지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