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축복

불임 20만 시대, 잉태와 출산의 정치학 폴 고갱(1848~1903)의 1897년작 '우리는 어디에서 왔으며, 무엇이며, 어디로 가는가' 에서 출발하자. 이 그림을 그릴 당시 고갱은 정신적으로 최악의 상태에 놓여 있었떤 것으로 전해진다. 딸의 죽음으로 크게 상심한 고갱은 자살을 결심하고 혼신의 힘을 쏟아 부어 마지막 작품을 남기기로 한다. 원근법도 무시한 이 불안한 구도의 대작(大作)은 그렇게 탄생했다. 그림의 오른쪽 아래, 잠든 아기를 세 명의 여인이 둘러싸고 있다. 여인 두 명의 피부는 희고 한 명은 검다. 고갱은 이 수수께끼 같은 그림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남기지 않았지만 그림은 현대 인류가 맞닥뜨린 딜레마와 묘하게 연결된다. ​ 인도의 한 대리모 공장. 얼굴이 검은 인도 여자가 아이를 낳는다. 갓 태어난 아기는 백인이다. 이 아기를 만들.. 더보기
비워서 채우는 ‘행복의 역발상’ 탤런트 차인표 씨. 그는 나눔으로 제2의 인생을 산다. 2006년 아내 신애라 씨의 등쌀에 떠밀린 인도 빈민촌 봉사.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아이들의 손을 잡은, 그 짧은 순간이 그의 모든 것을 바꿔놨다. 인생도, 삶도, 가치관도 모두 변했다. 그는 “우리나라 아이들을 돕는 것은 생활이고, 다른 나라 아이들을 돕는 것은 봉사”라고 말한다. 그는 힘든 사람에게도 나눔을 권한다. 나눔이 주는 행복의 크기를 누구보다 잘 아는 까닭이다. 누구나 걷고싶은 ‘행복의 시간’ 탄생은 축복이다. 어느 철학자의 말처럼 죽음은 평온이다. 그러니 삶은 탄생이란 축복과 죽음이란 평온 사이를 걷는 것이다. 그 사이를 걸으며 무엇을 하고, 무엇을 보고, 무엇을 느끼는가는 각자의 몫이다. 공통점은 있다. 누구나 행복의 시간을 걷고 싶.. 더보기
영화'제8요일'이 말하는 스스로에게 축복되는 소통 사회부에서 기자 노릇을 할 때, 지적장애 성인들의 자활 시설 ‘바다의 별’에 간 적이 있습니다. 수원시 이목동의 야산 자락에 자리한 이 시설은 지적장애인들의 부모들이 돈을 모아 만든 것입니다. 그곳에서 함께 생활하는 20여명의 남녀 지적장애인들은 저의 취재 방문을 무척 즐거워했습니다. 저는 그들의 환대가 고마웠으나 언행이 부자유스러운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이 아무래도 불편해서 자꾸 화장실을 들락거렸습니다. 그곳에서 장애인 생활교사로 일하고 있던 한 젊은이는 저의 그런 속내를 읽었는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기 친구들은 다운증후군, 자폐증등을 앓고 있어서 의사소통이 처음엔 어려워요. 하지만, 자꾸 이야기를 나누다보면 저절로 통하게 됩니다.” 프랑스 영화 제8요일’(자꼬 반 도흐마엘 감독, 1996년작)을 D.. 더보기
배냇저고리에 담긴 사랑, 눈물 “검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확률은 61:1입니다.” “의사 선생님, 확률이 높은 건가요?” “네. 확실한 건 양수검사를 받으셔야 알 수 있습니다.” 아내는 임신 4개월로, 정기 검진을 받으러 갔던 병원에서 의사가 우리 부부에게 한 말이다. 뱃속의 아기는 다운 증후군, 속칭‘몽고’라고 하는 병에 걸릴 확률이 61대 1이라고 했다. 의사 선생님께 정상 수치가 어느 정도냐고 묻자 1200대 1이라고 한다. 몇 년 전 대학교를 다닐 때 봉사활동으로 다녀왔던 보육원의 다운 증후군 아이들 얼굴이 떠올랐다. 순간 숨이 가빠지고 머리가 멍해지며 무슨 말을 해야할지 몰랐다. 양수 검사 날짜를 받고 집에 오는 차 안에서 우리 부부는 아무 말이 없었다. 백미러에 보이는 아내는 울지도 못하고 멍한 표정으로 창밖만 쳐다보고 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