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NS

2014 국민건강보험공단 「디지털 콘텐츠 공모전」안내 2014년도 2014 국민건강보험공단 「디지털 콘텐츠 공모전」실시, 건강보험 소중함과 금연 및 질병 등의 소재로 할 우리 주변의 실제 이야기를 기다립니다. 우리의 실생활에서 재밌고, 가슴아팠던 이야기들을 더보기
스마트폰 대신 서로의 얼굴을 보자 국내 스마트폰 누적 가입자는 2013년 말 3,750만 명을 넘었고, 올해에는 4천만 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한다. 보급률로만 따지자면 한국은 세계 1위다. IT 강국이라는 표현이 무색하지 않게 스마트폰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모두가 알고 있듯이 스마트폰은 단순한 전화기가 아니라 컴퓨터다. 어쩌면 방구석에 쳐 박혀 있는 컴퓨터보다, 가방에서 꺼내기 번거로운 노트북보다 더 매력적인 녀석이 아닐까 싶다.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의 구입이나 설치가 쉬울뿐더러, 우리 일상과 매우 밀접한 어플리케이션도 무궁무진하니 말이다. 그래서일까? 출퇴근시 몸을 제대로 가누기 힘들 정도로 사람이 붐비는 지옥철에서도, 이리저리 흔들려서 넘어지기 쉬운 버스에서도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응시하고 있다. 그래, 어차피 혼자 가는 길.. 더보기
빅데이터 시대…구멍뚫린 신용사회 ‘빅 데이터(big data) 시대’다. 빅 데이터는 인터넷 시대 이전의 방식으로는 수집·저장·검색·분석이 도저히 불가능할 정도의 방대한 정보를 말한다. 상상을 초월한 엄청난 데이터로 인간의 모든 행동을 미리 예측하는 세상이 열리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각종 센서와 인터넷의 발달, 놀랄 정도로 빨라진 컴퓨터 정보 처리 기술은 빅 데이터 시대를 연 일등공신들이다. 하지만 정보의 시대엔 그림자도 따라다닌다. 바로 개인정보의 유출과 남용이다. 빅데이터의 주인공들 국가안보 등의 정보를 소유한 정부 기관, 소비자들의 신용을 ‘빅 브러더’처럼 상세히 꿰뚫고 있는 금융회사, 이용자들의 일상을 틈만 나면 엿보려는 인터넷 업체는 빅 데이터의 대표적 주인들이다. “어떤 서비스를 공짜로 쓰고 있다면 당신은 고객이 아니라 .. 더보기
국민건강보험 SNS 웹툰.포스터 공모전 수상작 발표! 국민건강보험 SNS웹툰.포스터 공모전 수상작 발표! 공모전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아래 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수상하신 분들 모두 축하드립니다.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 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 더보기
갈수록 짧아지는 인터넷 용어들 얼짱(얼굴이 잘생김), 냉무(내용이 없음), 쌩얼(화장하지 않은 민낯), 생선(생일선물), 까도남(까칠한 도시 남자), 눈팅(글을 보기만 하고 댓글이나 추천은 안하는 것)….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이런 줄임글은 어느 정도 눈이나 귀에 익어 대충 뜻을 헤아린다. 하지만 21세기 소통혁명으로 불리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너무 생소해 뜻을 짐작하기조차 어려운 줄임말도 많다. 언어의 최우선 기능이 소통이라는 점에서 인터넷시대의 줄임말은 나름 역할이 있다는 주장과 언어의 줄임현상이 너무 심해지면서 고유언어를 왜곡하고 표준말의 표기조차 서툴러진다는 견해가 팽팽히 맞선다. 세종대왕이 들으면 당황할 대화들 “부장님, 오늘 생파에 생선없으면 저 안습입니다.” 세종대왕이 들으면 당황할 말이지만.. 더보기
●국민건강보험 SNS 서포터즈 모집 ● ● 국민건강보험 SNS 서포터즈 모집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는 SNS를 통해 건강보험의 다양한 소식을 전하고 국민들과 소통의 징검다리가 되어 줄 국민건강보험 SNS 서포터즈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뛰어난 감각과 열정으로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해 주실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첨부파일을 다운받으셔서 메일로 접수해 주세요. tip : 국민건강보험 SNS 서포터즈 공식 카페에 오시면 더 많은 정보와 미션수행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 국민건강보험 SNS 서포터즈 공식 카페 바로가기 ▶ http://cafe.naver.com/nhisgijadan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 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 더보기
건보 예보 30년 후에도 ‘맑음’? '30년 후의 하루를 그려보시오.' 지난 5월 미국 하와이대에서 열린 미래학 연수 과정 과제였다. 한국 언론인 8명은 한 언론단체 후원으로 이 과정에 참여했다. 부장급 중견 기자들인 이들은 각자 자신의 30년 후의 모습을 내다봤다. 과제물 발표 시간에 그 내용을 들어보니, 미래의 삶에 대해 대체로 밝게 그리고 있었다. 하와이대 교수들은 “한국의 언론인들이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편이어서 놀랐다”고 했다. 이 과정에 참여한 한국 언론인 중의 한 사람으로서 특별히 흥미로웠던 것은 연수자들이 30년 후에도 의료복지를 누리며 건강하게 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8명 모두 똑같았다. 왜 이렇게 자신들의 ‘건강 미래’를 밝게만 내다봤을까. 우리나라에 건강보험제도가 일찍 도입된 덕분이 아닐까 생각해 봤다. .. 더보기
SNS 전문인력 채용공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