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10대 자녀, 어떻게 도울 수 있을까? ①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건강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살펴보면 차이점이 있다. 바로 청소년 시절을 어떻게 보냈느냐  하는 것이다. 청소년 때 방황을 하고 문제를 일으키더라도 주변(특히 부모)의 이해와 배려를 받았다면 심리적으로 탄탄한 토대를 가지게 되지만, 그렇지 못했다면 불안정한 토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10대 자녀를 둔 부모들은 자녀에게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라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기도 하며, 자녀에게 본의 아니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어떻게 해야 우리의 10대 자녀를 도울 수 있을까? 네 가지 상황별로 살펴보자.

 

① 부모와 대화를 거부하는 아이

② 게임(스마트폰, 컴퓨터)에 빠져사는 아이

③ 형제와 자주 싸우는 아이

④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먼저 대화를 거부하는 아이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알아보자.

 

 

 

보통의 10대

 

눈을 감고 거실에서 부모와 10대 자녀가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을 떠올려보자. 어떤 모습이 떠오르는가? 함께 떠들고 웃으면서 깔깔거리는 장면이 떠오르는가, 아니면 부모가 일방적으로 잔소리를 하거나 아니면 참다못한 자녀가 부모에게 발악하다가 집을 뛰쳐나가거나 방문을 걸어 잠그고 “엄마, 아빠랑은 대화하지 않을 거야”라고 소리치는 장면이 떠오르는가? 십중팔구 후자일 것이다.

 

사실 자녀와 부모,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갈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기성세대는 젊은이들을 가리켜 말귀를 못 알아먹는 철부지라고 폄하했고, 신세대는 어른들을 향해 말이 안 통하는 고집불통이라고 맞섰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젊은이들도 부모가 되면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소통이 어려운 이유

 

왜 이토록 소통이 어려울까? 부모와 자녀가 서로에게 기대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이다. 부모는 자녀를 통제권 아래에 두면서 자신의 경험을 전달하려 한다. 그러나 자녀는 부모로부터 벗어나고 싶어 하고, 부모의 지식과 경험이 아닌 자신만의 지식과 경험을 축적하기를 원한다. 이렇게나 입장이 다른데, 서로 통한다면 오히려 이상할 것이다.

 

그렇다면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할까? 부모의 입장에서 보자면 자녀의 이런 태도가 어이없고 황당할 수 있다. 혼자 독립할 능력도 없으면서 독립하겠다고 발버둥 치는 모습이 못마땅할 수 있다. 그래서 어떤 부모들은 자녀를 굴복시키기 위해서 용돈으로, 의식주로, 학비로 압박을 한다. 하지만 강수는 또 다른 강수를 부를 뿐. 자녀들이 자존심을 꺾고 부모에게 “잘못했습니다. 용서해 주십시오”라고 말하길 기대한다면 큰 오산이다. 대부분은 집을 나가버릴 것이다.

 

 

 

부모가 먼저 변해보자

 

이런 극단의 상황을 피하려면 부모가 변해야 한다. ‘부모된 죄인’이란 말이 있지 않은가. 자녀에게 입을 닫고 귀를 열겠다고 다짐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자녀가 10분 말을 하고, 그 다음 자신은 1분 동안만 말을 하겠다고 제안을 해보자. 어느 쪽이든 상대가 말할 때는 무조건 들어야 하고, 주어진 시간을 넘기거나 상대가 말 할 때 끼어들면 안 된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 벌칙(벌금)을 정하는 것도 좋다.

 

어떤 이들은 이런 방법이 애들 장난 같다며 싫어하지만, 심리학자들도 진짜 부부상담이나 가족상담에서 이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생각보다 효과가 좋다. 자연스럽게 부모와 자녀가 서로의 마음을 나누면서 이해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이것이 불가능하다면 애들 장난이라도 사용해 보자. 자녀들이 부모와의 대화를 꺼리는 이유는 부모와 자신의 의견이 달라서가 아니다. 부모가 자신의 이야기를 틀렸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아이의 이야기를 듣고 “네가 옳다”, “네가 틀리다”고 대답하기 전에 “넌 그런 생각을 가졌구나”라고 인정해 주자.

 

부모들이여 생각해 보라. 당신이 자녀였을 때 부모님에게, 부하였을 때 상사에게 답답함을 느꼈던 이유가 무엇인가? 당신의 뜻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인가, 아니면 상대가 당신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지 않았다고 느꼈기 때문인가? 분명 후자일 것이다. 이것이 바로 자녀의 마음이다.

 

사실 대화도 일종의 습관이다. 늘 상대방의 이야기에 대해서 옳고 그름을 따진다면 자녀와의 대화에서도 그런 습관이 나올 수 있다. 이런 면에서 먼저 부부끼리 대화 연습이 필요하다. 또한 배우자나 자녀와의 대화에서 자신도 모르게 고질적인 악습이 나온다면, 상대방에게 피드백을 달라고 부탁할 수도 있다. 이런 연습을 계속 하다보면 당신의 자녀가 결코 방문을 걸어 잠그는 일은 없을 것이다.

 

글 / 심리학칼럼니스트 강현식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 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