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피할 수 없는 노년의 문턱, 老眼

     

 

 

지나치게 남루하지도 화려하지도 않은 옷차림에 왠지 중후하고 지적인 인상을 풍기는 남성. 화장이 진하지도 연하지도 않으면서 세련되고 우아한 스타일이 돋보이는 여성. 중년 남녀의 이런 멋스러운 분위기는 그들이 뭔가를 읽기 위해 ‘돋보기’를 꺼내 드는 순간, 확 깨진다. 노안이 왔다는 사실이 실제 나이와 무관하게 그들의 이미지를 ‘나이 든 사람’으로 만들어버리는 탓일 게다.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에게 이 같은 상황이 점점 일찍 찾아오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전문의들이 평균적으로 말하는 노안 시작 시기는 대략 40대 중반이었다. 하지만 이젠 40대 초반, 심지어 30대 후반까지 앞당겨졌다. 이런 현실을 감안하면 문득 궁금해진다. 내게는 과연 노안이 언제쯤 올까 하고 말이다. 시력이 좋다고 노안을 피해갈 순 없다. 정도와 시기가 다를 뿐 노안은 누구에게나 온다. 다만 다행스럽게도 스스로의 노력으로 노안을 맞는 시기를 늦출 수는 있다.

 

 

노안 근시 원시 차이점

 

간혹 눈이 나빠진 것과 노안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둘은 전혀 다른 현상이다. 특별한 병이 없는데 시력이 안 좋은건 대개는 눈의 구조적인 문제 때문이다. 눈의 수정체는 눈으로 들어온 빛을 굴절시켜 망막으로 보내는 일을 한다. 빛의 초점이 망막에 정확히 맺혀 물체가 뚜렷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수정체는 가까운 물체를 볼 때 두꺼워지고 먼 물체를 볼 때 얇아진다.

 

수정체가 빛을 너무 강하거나 약하게 굴절시키면 안구의 앞뒤 거리(안축)가 길거나 짧은 경우에는 망막에 초점이 정확히 맺히지 않아 물체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가까운 곳을 잘 보이나 먼 곳은 잘 안 보이는 근시, 이와 반대인 원시는 이런 이유로 생긴다. 이와 달리 수정체를 오래 써서 점점 단단해져도 눈이 잘 안 보이게 되는데, 이게 바로 노안이다. 두꺼워졌다 얇아졌다 하는 수정체 자체의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노안이 오면 신문이나 책 등을 볼 때 침침하고 잘 안 보이기 때문에 원시와 혼동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원시는 젊은 사람이나 어린 아이에게도 나타나고, 먼 곳을 잘 보이도록 시력을 교정해주면 가까운 곳도 대부분 잘 보인다. 나이든 사람에게 생기고, 먼 시력을 교정해도 가까운 물체를 볼 때는 여전히 돋보기가 필요한 노안과 분명히 구별된다.

 

 

나도 혹시 '황금 근시'?

 

간혹 나이가 들었는데도 돋보기 쓰지 않고 불편 없이 생활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경우 노안이 오지 않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양쪽 눈 시력이 차이가 크거나 드물지만 각막에 초점이 여러 개 생긴 경우엔 이럴 수 있다. 노안이 왔다 해도 양안을 모두 떴을 때 멀리 보는 건 크게 불편하지 않고 가까이는 남들보다 잘 보이는 것이다.

 

또 젊었을 때 안경 신세를 지지 않았을 만큼 시력이 좋았다며 노안 걱정 없다고 여기는 사람들도 있는데, 이 역시 아니다. 젊어서 눈이 아주 좋았던 사람에게 오히려 노안이 빨리 오고, 젊은 시절 약한 근시였던 사람은 도리어 돋보기를 늦게 쓰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젊은 시절 라식 같은 시력교정술을 했어도 나이 들어 노안을 경험하는 건 마찬가지다.

 

전문의들은 젊은 시절 시력이 안경 도수로 마이너스 2~3디옵터를 유지했던 사람들이 대부분 노안을 더디게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시력대가 이른바 ‘황금 근시’라고 불리기도 하는 이유다. 이에 비해 젊었을 때 원시였던 사람은 근시였던 사람에 비해 노안이 오면 훨씬 더 불편하게 느낀다. 안 그래도 가까운 물체가 잘 보이지 않았는데 노안까지 불편을 부추기는 것이다.

 

최근엔 스마트폰 사용이 많아진게 노안 시기를 앞당기고 노안 환자 수를 늘리는 것 아니냐는 견해가 점점 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스마트폰을 보는 동안 눈은 가까운 것에 몰입하기 위해 계속해서 조절 작용을 해야 한다. 이런 현상이 오랜 시간 이어지면 수정체가 쉽게 피로해지고 심하면 조절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예전에는 50대 가까이 돼서까지 수정체를 사용해야 나타나던 조절 능력 저하가 이 때문에 40대도 채 안돼 생긴다는 것이다. 게다가 스마트폰은 형광등이나 할로겐등에 비해 청색광선을 많이 낸다고 알려져 있다. 청색광은 다른 파장의 빛보다 망막세포나 각막세포에 상대적으로 좀더 해롭다는 게 학계의 대체적인 견해다.

 

 

스마트폰 볼 때 눈 깜빡이기

 

노안의 근본적인 원인은 결국 노화다. 막을 방법이 없다는 얘기다. 다만 되도록 늦추거나 정도를 약화시킬 수는 있다. 술과 담배를 멀리하고, 눈의 피로도를 줄여야 하는 건 기본이다. 햇빛이 강한 날엔 선글라스로 강한 자외선을 피하고,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신경 쓰는 것도 도움이 된다. 특히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땐 무의식적으로 눈을 깜빡이지 않은 채 오랫동안 화면을 응시하게 되는데, 이럴 땐 눈물 양이 줄어 안구가 점점 건조해진다.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빡이는 게 좋다는 얘기다.

 

삶의 질을 중요하게 여기는 추세에 따라 요즘은 노안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시력교정술처럼 각막을 깎아내 두 눈의 시력을 적절히 맞춰주는 레이저 수술,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수정체를 아예 빼내고 대신 노안용 특수렌즈를 넣어주는 인공수정체 삽입술 등이 가능하다.

 

글 / 한국일보 산업부 임소형기자
(도움말 : 박영순 아이러브안과 국제노안연구소장,

노창래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안과 교수, 이동호 압구정연세안과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