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후유장해 남기는 뇌졸중, 예방 및 치료 방법




인구가 고령화되고 고혈압·당뇨병 같은 만성질환자가 늘면서 뇌졸중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대한뇌졸중학회에 따르면 한 해 약 10만 5000명의 뇌졸중 환자가 발생하고, 뇌졸중으로 20분에 한 명씩 사망한다. 뇌졸중은 한국인 사망원인 3위로, 뇌졸중으로 사망하는 사람의 비율은 전체 사망자의 8.6%나 된다(통계청 2016년 기준).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면서 뇌 조직의 혈류가 공급이 안 돼 뇌가 괴사되는 질환인데, 한번 발병하면 40~60%가 후유장해를 겪기 때문에 예방에 힘써야 한다. 


 

뇌졸중,

절반이 고혈압 때문 


뇌졸중을 유발하는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고혈압이다. 캐나다 맥마스터대학 연구팀이 유럽·아시아·아메리카·아프리카·호주 등 세계 32개국 연구기관의 협력 아래 약 2만7000명을 뇌졸중 환자(1만3447명)와 대조군(1만3472명)으로 나눠 비교·분석한 결과, 뇌졸중의 가장 큰 위험요소는 고혈압으로 나타났다. 



혈압이 140/90㎜Hg 이상인 경우 뇌졸중 기여위험도는 47.9%에 달했다. 다시 말해 뇌졸중의 절반은 고혈압 때문에 생기고, 고혈압을 예방하면 뇌졸중 발병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다는 얘기다. 


학계에 따르면 고혈압은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뇌졸중의 1위 원인이다. 혈압이 높으면 지속해서 혈관 벽에 높은 압력을 가하게 되면서 혈관이 손상되고 염증이 발생, 동맥경화증을 유발한다. 



뇌는 우리 몸에서 가장 혈류가 많이 가는 장기이므로 혈압의 영향에 특히 민감하다. 실제 뇌의 무게는 몸무게의 2.5%에 불과하지만, 뇌로 가는 혈류의 양은 전체의 20%에 달한다. 


또 심장에서 대동맥을 통해 혈액이 뿜어져 나올 때 가장 먼저 도달하는 장기도 뇌이기 때문에 그만큼 혈압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뇌졸중 5대 증상 알아둬야 


뇌졸중은 발병하면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병원에 가서 응급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뇌 조직이 괴사해 심각한 후유장해가 남는다. 뇌졸중은 다음의 5대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5대 증상은 첫째, 한쪽 팔다리 마비(주로 감각이 떨어지는 현상보다는 힘이 빠지는 증상), 

둘째, 언어장애(말이 이해가 되지 않거나 술 취한 것처럼 발음이 어눌해지거나 말이 잘 나오지 않는 경우), 

셋째, 시각장애(한쪽 눈이 안 보이거나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경우), 

넷째, 어지럼증(걸을 때 술 취한 것처럼 비틀거리며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어지러운 경우), 

다섯째, 심한 두통(갑자기 심한 두통)이다. 



미국뇌졸중학회 등에서는 뇌졸중의 주요 증상을 잘 기억하고 인지할 수 있도록 FAST캠페인을 하고 있다. FAST는 F(Face, 웃을 때 얼굴 좌우 모양이 다른가), A(Arms, 한쪽 팔다리에 힘이 약해지나), S(Speech, 말이 잘 나오지 않나), T(Time to act, 한 가지 증상이라도 의심되면 즉시 응급치료를 받아라)의 의미이다. 


대부분 뇌졸중은 이러한 증상을 보이지만 뇌졸중 발생 부위와 그 정도에 따라 의식저하, 안면 마비, 삼킴장애, 경련 발작 등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뇌졸중 치료의 골든아워,

증상 발생 후 3시간 


뇌졸중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환자나 보호자는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그러나 많은 뇌졸중 환자들이 처음에 대부분 급체, 만성피로, 숙취, 수면 부족, 스트레스 등에 의한 증상인 줄 알고 시간을 지체한다. 



뇌졸중은 증상 발생 후 3시간 이내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이를 골든아워으로 본다. 골든아워가 지나면 막힌 혈관을 다시 뚫더라도 뇌부종 등의 합병증이 발생해 사망, 의식소실, 영구적인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뇌졸중 치료는 뇌경색의 경우 진단이 되면 정맥주사를 통한 항응고제 치료인 혈전용해술을 주로 한다. 그러나 큰 혈관 분지가 막힌 경우나 혈전용해술로는 혈관 재개통이 불가능한 경우에 혈전제거술을 시도한다. 


혈전제거술은 뇌혈관조영술을 통해 환자의 뇌혈관에 직접 가느다란 도관을 넣어 혈전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대부분 뇌경색은 이 두 가지 방법으로 치료를 한다. 



그러나 경동맥 등의 협착이 심하면 항응고제 투여만으로 뇌로 가는 혈류량의 저하를 회복시킬 수 없기 때문에 혈관 안에 풍선을 넣거나 그물망(스텐트)을 넣어 넓히기도 한다. 


혈관이 협착된 부위가 위험한 경우에는 경동맥 내막절제술(경동맥 내부의 죽경화판을 수술로 제거하는 방법)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뇌출혈은 발생하면 무조건 시술이나 수술을 하지 않는다. 뇌압강하제 같은 약물을 쓰면서 혈액이 흡수되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출혈이 심하거나 뇌부종이 생기면 머리를 여는 수술을 해야 한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최소 2년은 해야 


뇌졸중 환자는 발생 6개월 기준으로 환자의 40~60%가 독립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할 만큼 후유장해가 심각하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 중 후유장해가 남은 경우라면 일상생활 기본동작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해 포괄적인 재활 치료를 반드시 해야 한다. 



뇌졸중으로 이미 손상된 뇌 조직은 재생이 되지 않아 정상 회복은 어렵지만 남아있는 뇌 조직의 가소성(可塑性)을 높여 향후 이차적인 후유장해를 줄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뇌졸중 환자의 조기 재활이 강조되고 있다. 뇌졸중 발생 후 될 수 있으면 이른 시기에 재활치료를 시작해야 효과가 좋기 때문. 특히 재활치료는 최소 2년 정도 해야 한다. 


뇌졸중 환자가 재활치료를 하면 최초 발병 후 6개월 정도까지 최종 회복 정도의 70~80%, 2년까지 90% 이상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움말/ 한양대병원 신경외과 이형중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