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적어도 단골의사를 두자, 주치의제도는 더 좋고


 

 

  환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의사는 어떤 의사일까?   많은 환자들은 ‘설명을 잘 해 주는’ 의사를 꼽는다.

  자신의 몸 상태 및 질병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고, 자신의 질병 상태에 따른 인생의 길을 선택하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가장 손쉬운 방법은 자신의 질병 및 건강 상태를 가장 잘 아는 주치의 혹은 단골의사를 두는 것이다.

  최근 이 주치의나 단골의사를 두면 건강검진 뒤 사후관리를 훨씬 잘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이런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제도에서는 없는 주치의나 단골의사가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건강검진 뒤 생활습관병 관리에 주치의제도가 도움 줘

 

  김경우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최근 주치의나 단골의사가 있으면 건강검진 뒤 각종 생활습관병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더 잘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사실 그동안 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이나 일반 병원에서 값비싼 돈을 치루고 건강

검진을 받은 뒤 운동이나 식사량 조절, 금연, 절주 등과 같은 건강습관을 권유받아도 이를 실천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김경우 교수가 조사한 결과를 보면 평소 친한 단골의사가 있으면 그렇지 않은 사람에 견줘 이를 실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아무래도 평소 친한 의사들이 권고하니 이에 따를 가능성이 더 커진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김 교수의 연구 결과를 좀 더 살펴보면 우선 조사대상은 서울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57명이다. 

 

 이들에 대한 분석결과 평소 자주 찾는 단골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14%, 단골의료기관이 있다는 응답은 22%로 나타났다. 단골의료기관으로는 동네의원이 54%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대학병원 29%, 종합병원과 한의원은 9%의 비율을 보였다.  

 단골의료기관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의 질병 치료, 만성질환의 관리 및 예방 등을 담당하는 일차의료서비스의 질을 판단하는 기준인 일차의료평가도구의 점수가 77점으로, 단골의사가 없는 집단의 64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평가도구는 만성질환에 대한 약물 치료의 순응 여부, 생활습관 개선을 담고 있다.

 이 때문에 이 결과는 건강검진 뒤 이상소견이 있을 때 단골의사가 있으면 생활습관 개선 및 약물 치료를 잘 한다고 볼 수 있어 만성질환의 관리가 그만큼 잘 이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 교수는 “자주 찾는 단골의사가 있는 경우 의료서비스의 접근도와 만족도가 높고, 응급실 방문과 입원이 감소하며, 예방 의료서비스를 더 많이 받는 것을 확인한 셈”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이는 지속적인 진료를 통해 단골 의사가 환자의 개인별 특성을 잘 알고 있고 증상이 없이 진행되는 질병들과 건강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습관 개선과 조기 치료를 통해 큰 질병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단골의사나 병원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71%는 단골의사에게 진료를 받는 것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의사와 환자의 관계에 대한 환자들이 열망이 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 김 교수팀의 설명이다.

 참고로 이번 연구 결과는 올해 11월 대한가정의학회 추계학술대회에 발표됐다.   

 

 

 

  값비싼 검사 받지 않고도 중증 질환 조기 진단 가능서 높여


 한 50대 여성이 며칠 전부터 가슴 통증이 생겼다. 가슴이 답답했고 때때로 쥐어 짜는 것같이 아팠다.

 텔레비전이나 신문을 통해 이런 가슴 통증이 40~50대에 나타난다면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을 의심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이 났다. 그래서 동네의원을 찾아 큰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 보고 싶다고 했다.  동네의원 의사도 의뢰서를 써 줬다.

 

 대학병원을 찾았더니 혈압은 정상이지만 혹시 모르니 심장초음파를 비롯해 각종 검사를 해 보자고 했다.

 이 여성 역시 대학병원을 찾은 김에 정확한 진단을 받기 위해 의사가 권하는 대로 검사를 받았다.

 나중에는 가슴 시티(컴퓨터단층촬영)검사와 함께 관상동맥조영술, 경부동맥 검사까지 받았다.

 모두 다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알려준다는 말에 그대로 했다.  

 

 검사 비용은 100만원이 넘게 나왔다.  그런데 결과는 다 정상이었다.

 그냥 근육이나 뼈에서 오는 통증일 수 있으며 지나친 긴장이나 스트레스 때문에 가능한 가슴 통증이라는 설명을 들었다. 

 이후 우연히 초등학교 동창회를 갔다가 아는 의사 친구를 만났다. 그런데 그 친구도 가슴 통증이 종종 나타난다고 했다. 그래서 자신의 경험을 모두 다 이야기했더니 그 친구가 하는 말이 고등학교에 다니는 자녀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아서 가슴 통증이 나타난 것 같다는 설명을 들었다.

 

 그 때서야 자신도 돌아보니 딸이 고3 학생이어서 매일매일을 긴장 속에서 살았음을 깨닫게 됐다.

 다시 대학병원을 찾아 자초지종을 이야기했더니 처음부터 그런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으면 수많은 검사를 하지 않았어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상동맥조영술만 해도 비싼 것은 둘째 치고 대략 1000~1만명 가운데 한명은 사망 혹은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검사인데 이를 받을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이 여성은 동네의원 의사나 대학병원 교수가 자신의 생활상에 대해 한번만 물어봤어도 이런 검사를 비싸게 심지어는 생명을 걸고 받을 필요는 없을 것이라 생각했다. 

 

 만약 영국이나 스웨덴 등 많은 유럽 나라들처럼 동네의원 의사가 주치의처럼 이 여성의 상태를 모두 파악하고 있었으면 어떻게 됐을까?  수험생을 가진 부모의 스트레스를 덜어주는 치료나 생활 속 방법들을 먼저 이야기했을 것이다.

 

 이 때문에 많은 보건의료전문가들은 주치의를 두고 상의하고 치료를 받고 건강생활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얻으라고 말한다.

 이미 세계의 유수한 논문에서 이런 방법이 더 낫다는 것이 검증됐다는 것이다. 또 이런 제도를 하루 속히 들여와야 한다고 말한다.  

 

 결국 값비싸고 때로는 생명을 위협하고 적어도 높은 방사선 노출로 암 발생의 가능성도 높이는 필요 없는 검사 대신 자신의 상황을 아는 설명 하나로 더 건강해질 수 있다는 말이다. 

 

 

 

  현재 상황에서는 단골의사라도 둬야

 

 자신이 사는 동네에서 의원이나 한 병원을 자주 찾다보면 의사도 진료기록부 등을 참조해 환자의 상태에 대해 잘 알게 된다.  

 이 과거의 병력을 바탕으로 현재 증상을 훨씬 더 잘 진료하게 되고, 가족의 질병력도 잘 알고 있어 암 등 중증질환에 대해서는 조기 검진도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가족 가운데 대장암이 있는 사람이 있다면, 원래 50세부터 받게 돼 있는 대장암 검진을 더 이른 나이부터 받도록 권장할 수 있다. 이 방법이 아무 이유 없이 나이만 되면 대상자 그 누구나가 대장암 검진을 받아야 하는 것보다는 더 낫다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현대의학에서 그 아무리 값비싼 검사를 받아도 우리 몸의 모든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엠알아이(MRI), 시티(CT) 등과 기계가 매우 비싸고 컴퓨터가 잘 돼 있어서 들어갔다 나오기만 하면 모든 질병이 진단되는 것처럼 여기지만, 이의 판독 역시 사람이 하는 일이고 오차도 있게 마련이다.

 

 무조건 이런 기계만 믿어서는 곤란하며, 이보다는 몸의 상태, 가족 환경 및 가족 질병력, 지역의 위해 환경 등을 잘 알 수 있는 그리고 설명도 잘 해주는 주치의를 가지는 것이 낫다는 것은 이 분야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당장 이 제도가 없는 상황에서는 동네 단골의사라도 둬야 한다는 궁색한 답밖에 할 수 없다는 것이 한계이다.

 

 

 

김양중 한겨레신문 의료전문기자

 

 

 

 

??

 

 

 

 로그인 없이가능한 손가락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