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 확산세가 가라앉는 듯했다가 다시 신규 확진자와 격리자 등이 추가로 계속 나오면서 장기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달 후반부 들어 발생한 환자들 중에는 메르스 바이러스의 최장 잠복기로 알려진 14일이 지난 뒤 확진받은 경우가 일부 있다. 잠복기 이전에 이미 증상이 나타났는데 환자 스스로 잘 느끼지 못해 검사가 늦어졌기 때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지만,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해도 사람마다 발병 시기가 제각각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에게 본격적으로 메르스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 바이러스가 환자의 몸 속에서 조용히 잠복하는 기간이 개인별로 다르다는 얘기다. 왜일까. 전문가들은 주요 이유로 면역력 차이를 꼽는다.
‘잠복기(incubation period)’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같은 병원체에 감염된 뒤 몸에 병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을 말한다. 메르스 바이러스는 과거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에서 발병한 양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잠복기가 2~14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가 인체에 들어온 날부터 이르면 2일째, 늦으면 14일째에 발열이나 기침 같은 증상이 발현되기 시작한다는 의미다.
바이러스가 숙주에 침입한 뒤 한동안 잠복기를 갖는 이유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다. 스스로의 힘만으로 살아가지 못하는 바이러스는 이 숙주 저 숙주를 옮겨 다녀야 한다. 한 숙주 안에서만 살다 숙주의 면역체계와의 싸움에서 밀리거나 숙주가 생명을 잃어버리면 바이러스 역시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바이러스가 새로운 숙주를 찾아 호흡기를 통해 침투에 성공한 초기엔 대개 극소량이다. 이 상태에선 다른 숙주로의 이동은커녕 수적으로 열세이기 때문에 숙주 체내에 있는 면역세포들과의 전쟁에서도 전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바이러스는 호흡기 내부의 세포 안으로 숨어들어가 자신의 몸을 스스로 여러 개로 복제한다. 이 과정을 과학자들은 ‘증식’이라고 부른다.
바이러스가 증식에 열중하고 있는 이 기간이 바로 잠복기다. 이 시기엔 바이러스가 좀처럼 숙주의 몸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일단 자리잡은 숙주 안에서 자신의 세력부터 탄탄하게 구축해놓는 게 우선이기 때문이다. 잠복기 동안엔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라도 타인을 감염시킬 수 있을 정도의 바이러스를 몸 밖으로 배출하지 않는다는 전문가들의 설명이 바로 이 때문이다.
충분히 증식했다 싶으면 바이러스는 생존 환경을 넓히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다른 숙주를 찾아 현재 숙주의 몸 밖으로 나가는 것이다. 바이러스의 대표적인 이동 경로가 바로 기침이다. 숙주에게 기침을 하게 만들면 침이나 가래 속에 섞인 채 현재 숙주의 몸 밖으로 나갈 수 있다. 잠복기가 지난 바이러스 감염자에게서 기침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이유다.
숙주 체외로 빠져나가는데 성공한 바이러스가 침방울(비말)에 둘러싸여 있으면 일반적으로 20여분 정도는 너끈히 생존한다. 그 사이 ‘운 좋게’ 새로운 숙주의 호흡기로 침투하면 다시 잠복기에 들어가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 비말을 손이나 물건 등으로 접촉한 사람은 바이러스에게 이런 방식으로 전파 기회를 주게 된다.
일반적인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평균 6, 7일 정도다. 국내에서 확산 중인 메르스 바이러스 역시 예외가 나오긴 했지만 대부분은 감염 후 1주일 안팎에 증상이 발현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의료계는 파악하고 있다. 평균 잠복기는 1주일 내외일지라도 실제로는 사람마다 차이가 크다. 주된 원인은 개인별로 평소 갖추고 있는 면역력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잠복기에 바이러스가 호흡기 세포 안에서 증식을 시도하기 시작하면 숙주인 인체의 면역체계는 이를 외부 물질의 침입 신호로 감지한다. 그러면 면역세포들이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방해하거나 아예 제거하기 위한 공격에 나서게 된다. 이 과정이 치열할수록 바이러스가 충분히 증식하는 데는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
결국 면역세포가 많거나 강력한 사람에서는 바이러스의 잠복기가 길어진다는 얘기다. 반대로 평소 면역력이 약한 사람일수록 잠복기가 짧고 발병 시기가 빨라질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혹 어떤 경우는 숙주의 몸에서 증상이 나타나기도 전에 면역체계가 아예 바이러스의 증식을 차단해버릴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잠복기만 있을 뿐 발병하지 않고 지나가게 되는 것이다.
글 / 한국일보 산업부 임소형기자
(도움말 :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최영기 충북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건강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장마철,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수칙 (0) | 2015.07.08 |
---|---|
과거 독감이 적이라면 현재는 심장병이 적 (0) | 2015.07.07 |
살 찌는 이유가 장내 세균 때문이라고? (0) | 2015.07.02 |
장마철, 건강한 여름나기! (0) | 2015.07.01 |
메르스 두렵지만... "평소처럼 생활하며 스트레스 피하세요" (1) | 2015.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