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일사병과 열사병은 어떻게 다른가요?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됐다. 산으로 바다로, 더위를 피해 전국 방방곡곡이 사람으로 북적인다. 여름철 야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조심해야 할 온열질환이 있다. 바로 일사병(日射病)과 열사병(熱射病)이다. 언뜻 듣기에 비슷해 보이지만 두 질환은 그 증상이나 치료법이 완전히 다르다.

 

 

 

 더위를 먹었다고 표현되는 일사병은 직사광선이나 더운 공기를 오래 받아 몸의 체온 조절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이다. 수분과 전해질이 빠져나가 무력감, 현기증, 두통 등이 나타난다. 체온은 37∼40도 사이까지 오르고 심박수나 호흡도 빨라진다. 약간의 정신혼란이 나타나기도 한다. 중추신경계의 이상은 없으며 30분∼1시간 이내에 대체로 회복된다. 

 

 구역감 및 구토, 두통, 피로 등 비교적 가벼운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주로 환자의 병력과 임상 증상을 통해 진단이 이뤄진다. 체온을 재고 혈압과 맥박수, 호흡수 등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또 혈청 나트륨, 칼륨, 혈당, 크레아틴 등을 검사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일사병은 자신이 일사병에 걸렸다는 것을 빨리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사병이 의심되면 즉시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취한다. 에어컨이나 젖은 수건을 통해 체온을 낮추는 방법을 쓸 수 있다.

 

 응급처치법으로 환자의 다리를 머리보다 높게 해 바르게 눕히거나, 물이나 전해질 음료를 섭취하면 좋다. 다만, 구역감이 있거나 구토를 하는 경우에는 억지로 이를 마실 필요는 없다. 대신 이럴 경우 병원을 찾아 정맥 주사를 통해 수액을 보충해야 한다. 증상이 심각하거나 맥박이 빠르거나 수분 보충에도 안정을 되찾지 못할 경우에는 생리식염수를 정맥으로 주사하기도 한다. 어린이나 노인의 경우 몇 시간 내에 회복되지 않으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일사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너무 더운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옷도 너무 꽉 끼는 것은 피한다. 야외 운동을 하더라도 아침 일찍이나 저녁 늦게 해 고온에 천천히 노출되면서 신체가 적응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열사병은 직사광선뿐 아니라 고온의 밀폐된 공간에서 일하거나 운동을 할 때 주로 발생한다. 여름철 비닐하우스나 공장 등에서 일을 하다 열사병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열사병에 걸리면 체온 조절 중추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체온이 40도 이상 치솟고 혼수 상태에 빠지는 경우도 있다. 

 

 발작, 의식소실, 경련, 어눌함 등 정신이상 증세를 보이기도 한다. 호흡이 느려지거나 빨라지기도 하고, 피부가 건조하거나 땀이 나기도 한다. 열사병은 구토와 설사, 급성 신부전, 쇼킹, 간 기능 부전 등 무서운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열사병은 체온을 내릴 수 있도록 옷을 벗기고 찬물로 온몸을 적시는 응급처치를 할 수 있다. 

 

 

 

 

 이처럼 일사병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두 질환을 꼭 구분할 필요는 없다. 일사병이 심해지면 열사병이 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온열질환은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폭염이 주로 발생하는 오전 11시∼오후 2시 사이에 야외 활동을 삼가고 햇빛을 피하거나 그늘에서 자주 휴식을 취해야 한다. 야외 활동 전 미리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몸에 이상 증상이 느껴지면 즉시 그늘이나 시원한 곳을 찾아 휴식을 취해야 한다.

 

 

글/ 세계일보 사회부 조병욱 기자

<도움말: 서울대학교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