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소화불량 예방하는 야외 활동, 강추위에도 해야 하나?

 

 

 

 

  

     유독 겨울철만 되면 흔히 소화불량이라고 부르는 소화장애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있다. 식사 뒤 위장에 가스가 차거나

     답답한 느낌이 들어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기도 하며, 때에 따라서는 소화제를 먹어도 별로 나아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관련 전문의들은 겨울철에 소화불량이 많은 이유에 대해 추위로 몸의 자율적 기능이 떨어진 것이 소화장애를 일으킨

     것으로 설명한다. 또 추위 때문에 실내에만 머무는 등 활동량이 줄어든 탓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추위도 시달려도 야외

     활동을 하지 않아도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는 말인데, 어떤 대책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한파에 야외 활동, 추위로 소화불량 발생

 

추위는 우리 몸을 움츠러들게 만든다.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하면 피부로 열을 방출하지 않기 위해서다. 이뿐만이 아니다. 추위는 곧바로 우리 몸의 자율기능까지 떨어뜨린다. 즉 위장이나 소장 운동마저 감소시킨다는 말이다. 이 때문에 한파가 몰아칠 때 야외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위장 기능은 물론 소장, 대장 기능도 감소해 소화불량과 함께 변비도 나타날 수 있다. 보통 야외에서 일하는 사람은 추위 때문에 빼앗긴 열량을 보충하기 위해 더 먹어야 하지만 소화장애로 식욕마저 떨어지기도 한다. 이와 함께 추위가 우리 몸을 긴장하게 하는 교감신경을 흥분시키고, 이에 따라 위장 등 소화기관으로 가는 혈액량을 줄여 소화기능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설명도 있다. 

 

하지만 야외에서 일하는 이들 모두가 다 그런 것은 아니다. 평소 위장의 기능이 약한 사람이 소화에 문제가 일어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은 야외에서 일할 때에는 보온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 실내로 들어와 식사를 할 때에는 충분히 몸을 녹여 소화기능이 웬만큼 제 능력을 찾은 뒤 식사를 하는 것이 권고된다. 음식도 튀김류나 육류보다는 곡물과 채소 위주로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외 급격한 온도차도 소화 방해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다. 즉 급격한 변화는 스트레스로 느낀다는 말이다. 여름철에도 너무 더운 곳에 있다가 시원한 곳으로 갑자기 간다거나, 반대로 냉방이 잘 돼 있는 곳에 있다가 더위에 노출돼도 몸의 자율기능에 문제를 일으킨다. 겨울철도 이는 마찬가지인데, 너무 추운 곳에 있다가 따뜻한 실내에 들어와도 몸의 자율기능에 이상이 생긴다.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뇌의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도 복통, 변비, 위장장애, 소화불량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났을 때 무조건 소화제부터 찾을 것이 아니라, 되도록 몸의 온도 변화가 적도록 유의해야 한다. 밖에 있다가 식사를 위해 실내로 들어왔을 때 난로 등 전열기구 옆을 찾기보다는 실내 온도에서 몸의 온도가 저절로 정상을 찾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동량 감소도 소화불량 원인, 강추위 속 야외 운동은 바람직한가?

 

음식을 먹은 뒤 곧바로 운동을 하거나 활발하게 움직인다면 오히려 소화를 방해할 수 있다. 이보다는 편한 자세로 30분~1시간 가량은 쉬는 것이 소화에는 이롭다. 그 이후에는 가볍게 걷거나 운동을 해도 소화 기능에는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하지만 춥다고 아예 외출도 하지 않고 운동도 하지 않으면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오히려 소화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은 식사 뒤 30분 가량 쉬고 나서 강추위에도 밖에서 활동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일반적으로 강추위는 혈압을 올리는 등 혈액순환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 때 평소 심장병, 심한 고혈압이 있거나 과거에 이런 질환과 함께 뇌혈관질환을 앓은 적이 있다면 강추위에는 야외 활동은 물론 야외 외출도 삼가야 한다. 대신 실내에서 고정식 자전거 타기, 수영, 트레드밀에서 걷기 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 김양중 한겨레신문 의료전문기자

                                                                                                               도움말 / 홍성수 비에비스 나무병원 부원장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 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