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젊게 사는 비결…'낯섦의 재발견'

  

 

 

 

 

 

 

익숙하다는 것은 낯익다는 얘기다. 자주 만나는 사람, 수시로 마주하는 자연, 간간이 스치는 생각은 모두 익숙하다. 익숙은 편안함이다. 서로를 잘 아니 격식이라는 불편함이 없어서 좋고, 이심전심으로 통하니 눈빛만 봐도 마음이 읽힌다. 그러니 사람들은 익숙한 것에 더 익숙해져 간다. 나이가 들수록 익숙함이 주는 편안함이 자꾸 새로운 것을 거부한다. 중년은 새로움 앞에선 수시로 주춤댄다. 하지만 익숙함은 선도가 떨어진다. 편안함의 유혹에만 빠지면 세상의 신선함을 놓치기 쉽다.

 

 

 

 

 

익숙할수록 신선도는 떨어진다. 데이트를 시작한 청춘남녀는 세상의 모든 것이 새롭다. 전화 한 통화에 가슴이 뛰고, 자장면 한 그릇에 식욕이 녹아난다. 그러다 꽃이라도 받는 날엔 감동 그 자체다. 사랑도 '익숙의 법칙'에서 벗어나진 못한다. 세월이 흐르면 짜릿함도, 설렘도 그 농도가 옅어진다. 그래서 어느 청춘은 결혼이라는 사랑의 골인 지점쯤에서 사랑의 방향을 다시 튼다. 사랑의 신선도가 예전 같지 않다는 생각이 두 사람을 슬며시 벌려놓는다.

 

익숙하면 당연해지고, 당연하면 감사가 흐려진다. 감사가 고개를 숙이면 기대가 고개를 든다. 익숙해질수록 감동은 약해진다. 감동 있는 삶이 아름답다. 김연아가 아름답고, 장애를 극복한 그 누군가의 삶이 아름다운 건 그들이 선사하는 감동 때문이다. 감동이 마른 세상은 오아시스 없는 사막이다. 나이들수록 '감동관리'가 필요하다. 영화도 보고, 책도 읽고, 시도 몇구절 외워야 한다. 메마른 정서를 나이탓으로만 돌리는 건 좀 무책임한 삶의 관리다.

 

 

 

 

 

공자는 '삶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노하우를 귀띔해준다. 다름아닌 '익숙한 것을 낯설게 만들기'다. 쉽게 풀어보면 만물의 재발견이다. 익숙해진 누군가에서 새로움을 발견하고, 낯익은 자연에서 색다름을 찾아내고, 진부한 사고에서 신선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무뎌진 양심에서 청량한 마음을 꺼내 보라는 것이다. 사물은 뒤집어 보고, 거꾸로 보고, 돌려봐야 한켠에 숨어 있는 낯섦이 발견된다. 사물은 보는 각도에 따라 모양이, 쓰임에 따라 용도가 달라진다. 뒤집고, 거꾸로 세우고, 돌리는 것은 창의력의 본질이기도 하다. 사람은 재발견도 이치는 다르지 않다.

 

검색의 시대다.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으로 검색어만 치면 줄줄이 정보가 쏟아지니 엄청난 고효율의 시대다. 하지만 검색이라는 익숙함의 함정으로 사색이나 상상력, 창의력이 매몰되는 건 아닐까. 검색으로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없고, 자연에 담긴 만물의 이치 역시 꿰뚫어 볼 수 없으니 어차피 거꾸로 보고 돌려보는 사고의 습관이 필요하다. 그러다 보면 그냥 스쳐갔던 이웃이 어느 날 눈에 들어오고, 물가의 개나리에 인생이 담길지도 모른다. 그러면 삶의 신선도가 높아지고 행복지수도 덩달아 올라간다. 세상에 스승 아닌 것은 없다. 이웃도 스승이요, 낙엽도 스승이다. 스승이 가르침을 주듯 자연이 깨달음을 주고, 이웃이 행복의 문을 열어준다.

 

 

 

 

 

새로움의 발견은 마음의 눈을 닦는 것이 출발이다. 마음의 눈이 흐리면 틈새에 숨어 있는 '낯섦'들을 찾아내기 어렵다. 누구는 여행으로 마음의 눈을 닦고, 누구는사색으로 마음이 찌꺼기들을 걸러낸다. 여행은 치유와 깨달음의 여정이다. 속세에 찌들려 영혼이 흐려지면 길을 떠나는 이유다. 사색은 지혜의 원천이고, 속살을 보는 혜안을 밝게 한다. 슈바이처는 '사색의 포기는 정신의 파산선고'라고 했다. 사색은 익숙해진 일상에서 '신선한 낯섦'을 찾아내는 마음의 돋보기다.

 

만물은 무상하다. 오는 것은 언젠가 간다. 이는 누구도 비켜가지 못하는 우주의 진리다. 하지만 무상하다고 주저앉아 세월만 보내는 건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이 스스로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다. 무상한 만물도 이곳저곳 들여다보면 새록새록 맛갈 나는 새로움이 솟아난다. 그래서 삶은 살 만한 것이다. 사물의 속살을 보는 마음의 눈이 맑아지면 세상 사는 맛은 더 고급스러워진다. 그게 행복한 삶이고, 그게 진짜 건강한 삶이다.


글 /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