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스키장 가기 전엔 넘어지는 연습부터

 

 

 

 

올해도 어김없이 스키 시즌이 돌아왔다. 겨울이 점점 깊어지고 방학이 시작되면서 스키와 스노우보드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얼마나 잘 타느냐와 관계 없이 늘 사고 위험이 따른다. 더구나 커다란 장비를 사용하고 속도를 즐기는 운동이다 보니 부상을 입기가 더욱 쉽다. 스키장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부상은 안전사고에 따른 것이다.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고 사전에 점검하면 얼마든지 막을 수 있다는 얘기다. 작은 부상이라도 제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심한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는 점 역시 잊지 말아야 한다고 전문의들은 조언한다.

 

 


스키를 탈 때 가장 많이 다치는 신체 부위는 무릎이다. 무릎 부상 중에서도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흔하다. 전방십자인대는 후방십자인대와 함께 무릎 중심에 X자 모양으로 붙어 있다. 허벅지뼈와 정강이뼈를 연결해 무릎이 앞뒤로 흔들리거나 정강이뼈가 밀려나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전방십자인대는 외부 충격에 약하다. 단단한 곳에 부딪히거나 갑자기 비틀리거나 심하게 움직이면 찢어지기 쉽다. 특히 스키를 탈 때 뛰어 올랐다가 착지를 하는 동작에서 허벅지 근육이 강하게 수축하면서 스키는 뒤로 밀리고 스키부츠는 반대로 정강이뼈를 앞으로 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방십자인대가 쉽게 파열될 수 있다.


실제로 전방십자인대에 파열이 생기면 ‘뚝’ 하는 소리와 함께 갑자기 무릎에 힘이 빠지고, 일시적으로 무릎 관절을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움직여보면 관절이 덜컹거리면서 불안정하다는 느낌이 든다. 그리고 곧 붓기 시작한다. 스키를 타다 이런 증상 중 하나라도 나타나면 빨리 의료진을 찾아가는 것이 좋다.

 

 

 


반월판연골 손상도 스키어들에게 잦은 부상으로 꼽힌다. 반월판연골은 허벅지뼈와 정강이뼈 사이에 있는 연골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준다. 스키를 타다 넘어질 때 무릎이 뒤틀리게 되면 이곳이 손상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손상된 경우에는 통증과 함께 무릎을 움직일 때 뭔가 걸리는 느낌을 받는다. 파열된 반월판연골은 재생이 어려워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무릎 손상은 큰 부상이 아닌 경우에는 대개 4, 5일 지나면 붓기가 가라앉고 통증도 줄어든다. 그래서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퇴행성관절염이 일찍 생기는 등 여러 가지 후유증이 올 수 있다. 스키장에서 조금이라도 다쳤다면 병원을 찾아보길 전문의들은 권한다. 전방십자인대와 반월판연골 손상 등은 스키뿐 아니라 테니스, 농구, 축구처럼 갑작스럽게 동작이 바뀌는 운동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때문에 운동 중 무릎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무릎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의 근력과 유연성을 강화시켜줄 필요가 있다.

 

 

 

 

어깨와 손 부상 잦은 스노보드 스키와 달리 스노보드는 보드 하나에 두 발을 모두 고정시킨다. 발은 고정된 상태에서 손만 자유롭기 때문에 무릎보다는 손목이나 어깨, 엉덩이 등을 다치기 쉽다. 스키장 팬스나 상대방과 부딪혔을 때, 팔을 벌리면서 넘어졌을 때는 주로 어깨 관절이 빠지는(견관절 탈구) 부상을 입는다. 어깨가 아파 팔을 움직이기 어렵거나, 윗옷을 벗고 거울에 비춰봤을 때 양쪽 어깨 모양이 다르면 탈구일 가능성이 있으니 바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어깨 부상을 막으려면 넘어질 때 되도록 양팔을 몸에 밀착시키고 몸 전체를 둥글게 하는 동작을 연습하는 게 좋다.


또 넘어질 때 손가락에 지나치게 많은 힘이 실리면 손가락 인대가 손상될 수 있고, 땅을 손목으로 짚으면 손목을 삘 수 있다. 엉덩방아를 찧으면서 골반에 금이 가거나 꼬리뼈가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스키장에서 부상을 당했을 땐 추가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즉시 쉬어야 한다. 쉬는 동안 부상 부위를 얼음찜질 하면 통증이 줄어들고 붓기도 빠진다. 붓기가 심하면 다친 곳을 소품으로 고여 심장보다 높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부상을 막기 위해선 넘어지는 요령을 충분히 익힌 뒤 안전장비를 반드시 착용하고 스키나 스노보드를 타야 한다고 전문의들은 강조한다.

 

 

한국일보 산업부 임소형 기자
(도움말: 박원하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스포츠의학센터 교수, 김성권 고도일병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