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방심한 사이에 체온이 뚝, 저체온증




찬바람이 불기 시작할 즈음이면 심심찮게 들려오는 이슈, 바로 저체온증이다. 추워진 바깥 날씨 때문에 자칫 방심했다가는 심각한 위험에 빠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주의가 요구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물론 예방. 저체온증의 심각성을 미리 인지하고, 올바른 대처법과 예방 수칙을 기억하자.



심각할 경우

심정지까지 이어질 수 있는

저체온증


사람의 체온은 항상성 기능으로 인해 36.5℃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외부 온도가 올라가면 땀을 배출하고, 추위를 느낄 때는 몸을 떠는 등의 방식으로 정적 체온을 지키는 것이다. 


하지만 이상 상태가 오랜 시간 지속될 경우 체온 유지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는데, 날씨가 추워지는 계절에는 저체온증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저체온증이란 환경적 요인이나 외상, 갑상샘저하증 등의 질환에 의해 체온이 35℃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뜻한다. 


심각성에 따라 크게 32~35℃의 경증, 28~32℃의 중등도, 28℃도 미만의 중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경증 저제온증은 사지가 떨리고 걸을 때 비틀거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처럼 몸이 떨린다는 것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기초대사량을 높이는 방어기전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흔히 닭살로 부르는 털세움근 수축 현상이 일어나며 피부 혈관의 수축으로 입술이 푸르게 변하기도 한다.


중등도로 발전할 경우 근육의 떨림이 멈추고 의식이 혼미해지며 심장박동과 호흡이 정상 수준보다 떨어지게 된다. 


중증으로 더욱 심해지면 심정지로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의심 증상을 발견하는 즉시 빠르고 안전한 대처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필수 대응 매뉴얼


일반적으로 저체온증의 골든타임은 2시간 이내다. 


추위에 의한 저체온증 대처 방법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체온을 높이는 것으로, 혼자 있을 때 증상이 나타난다면 미지근한 물이나 고열량의 음식을 섭취해 체온을 높이고 땀이 나지 않을 정도로 움직이는 것이 도움이 된다. 



간혹 몸에 열을 내기 위해 술을 마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한 행위다. 알코올은 중추신경계 기능을 저하해 사지 끝부분의 혈관 확장을 유발, 복사에 의한 열 손실을 오히려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주변에 저체온증 환자가 발생했을 때는 가능한 한 따뜻한 곳으로 환자를 이동시켜야 한다. 만약 마땅한 공간이 없다면 평평한 바닥에 마른 옷이나 종이, 낙엽 등을 깔아 냉기를 막아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환자의 젖은 옷은 벗기고 마른 옷으로 갈아입힌 후 담요를 덮어주도록 한다. 경증의 경우 이 정도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중심 체온이 심각하게 떨어졌다면 겨드랑이와 배에 핫팩을 올려두는 것도 좋다. 


중심부에 핫팩을 올리는 것은 신체 말단부위부터 온도를 높일 경우 중심체온이 오히려 더 떨어지는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체온이 31℃ 이하까지 떨어져 의식이 흐려진 상태라면 금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기도를 확보하고 필요에 따라 환자의 호흡 속도에 맞춰 인공호흡을 실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방한은 철저하게,

얇은 옷을 덧입어

유연하게 대처


요즘 같은 계절에는 추운 날씨에 긴 시간 야외활동을 하다 저체온증에 걸리는 일이 빈번하다. 그래서 겨울 산행 등을 할 때는 철저한 준비와 함께 미리 안전수칙과 대처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얇은 옷을 여러 겹 입고 방한용 외투를 착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땀이 나거나 추위가 느껴질 때 얇은 옷들을 벗거나 덧입어야 급격한 온도변화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실제로 젖은 옷을 입은 채 등산을 할 경우 마른 옷을 입었을 때보다 열 손실이 240배나 많아진다는 사실. 땀 배출이 잘 되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다. 


양말 역시 두 켤레를 겹쳐 신고, 동상 예방을 위해 등산화는 너무 꽉 끼는 것보다 약간 여유 있는 것을 선택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