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숙취해소제 맹신하면 안되는 이유

 

시중에 술 깨는 제품이라고 내세우는 각종 숙취 해소 상품들이 넘쳐납니다. 제약사나 식품회사들이 앞다퉈 숙취 해소제품을 만들어 팔다 보니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습니다. CJ헬스케어가 1992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숙취해소 음료 '컨디션'을 내놓으며 이 시장을 열었습니다.

 

벌써 25년 전의 일입니다. 최근에는 프리미엄 제품 '컨디션 CEO' 출시했습니다. 기존 헛개나무 추출액에 월계수 잎, 선인장 열매(백년초) 등 숙취 증상 개선 성분을 추가했다고 광고합니다. 나아가 국내 최초로 숙취해소 연구센터도 설립해 가동 중입니다.



숙취해소 음료로는 이 밖에도 동아제약의 '모닝케어', 유한양행의 '내일엔', 보령제약의 '엑스솔루션', 그래미의 '여명 808' 등이 경합을 벌이고 있습니다.


마시는 드링크 제품 일색이었던 숙취 해소 제품도 진화를 거듭해 최근에는 젤리부터 과립형, 짜 먹는 타입까지 등장하며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한독이 젤리 형태의 '레디큐-츄'를 내놓았고, 유유제약은 과립형(분말형) '회식후애'를, JW중외제약은 짜 먹는 겔 형태의 '헛겔'을 발매했습니다.



숙취 해소제품이 이렇게 많이 나오는 것은 그만큼 이 시장이 공고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조사기관 링크아즈텍에 따르면 국내 숙취해소제 시장규모는 2016년 기준 1천557억 원 정도로 추산됩니다. 2017년 10월 말 기준 시장점유율은 컨디션(44.7%), 여명 808(32.5%), 모닝케어(11.6%) 순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한국에서 숙취 해소 제품이 많이 팔리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 사람들이 술을 많이 마신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1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6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결과는 이런 음주 현실을 잘 보여줍니다.


한국인의 1회 평균 음주량은 7잔 이상(여자 5잔)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고위험 음주율은 13.8%였습니다. 성별로는 남성 21.2%, 여성 6.3%였습니다. 전체 성인남녀의 월간 폭음률은 39.3%로 나타났습니다. 월간 폭음률은 최근 1년 동안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7잔(여자 5잔) 또는 맥주 5캔(여자 3캔) 이상 음주한 비율을 뜻합니다.



특히 남성의 월간 폭음률이 소폭 감소한 것과 달리 여성은 꾸준히 증가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남성의 월간 폭음률은 2015년 54.2%에서 2016년 53.5% 줄었지만, 여성은 23.3%에서 25.0%로 늘었습니다. 남성은 2명 중 1명, 여성은 4명 중 1명꼴로 폭음한다는 뜻입니다.


전문가들은 회식이나 접대 등에서 과음하는 음주 문화가 지속하고 여성의 활발한 사회 활동에 따른 술자리 참여 증가 등이 폭음률을 끌어올렸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호식품으로 와인과 맥주 등을 즐기는 현상이 늘어난 것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렇게 과음하니, 술을 마신 다음 날 위 불편, 복통, 두통, 집중력 약화, 현기증, 피로 등 숙취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을 수밖에 없고, 숙취 해소에 관심이 쏠리는 것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숙취의 원인은 과학자들도 밝혀내지 못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원인도 모르는데, 해결방안이 있을 수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술을 많이 마시더라도 취하지 않도록 하거나 숙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100년 이상 연구했지만, 대부분 실패했습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적으로 유명한 과학 저널인 '영국 의학저널'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립니다. "숙취를 예방하며, 술을 빨리 깨게 해준다고 주장하는 모든 전통 의약품, 식품, 민간요법 등은 과학적 근거가 거의 없다. 숙취를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과음을 피하는 것이다."


알코올은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표한 1군 발암물질입니다.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하루 평균 13명이 음주로 사망하고, 음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은 연간 9조 4천억 원에 달합니다. 숙취에 특효라고 주장하는 제품에 솔깃하기보다는 절주를 하는 게 현명한 선택입니다.

 

 

참고 자료; '위대하고 위험한 약 이야기', 정진호 지음. 푸른숲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