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미세먼지 습격에 대응하는 세 가지 방법



미세먼지의 습격이 무섭다. 잿빛으로 뿌연 하늘을 보면 나들이 갈 생각이 절로 사라진다. 봄철에만 심한 줄 알았던 미세먼지가 초여름이 다가오는 날씨에도 심하다. 


실제로 서울시 월별 도시 대기 오염도 평균치를 보면 5월에도 63㎍/㎥였다. 정부가 지난달부터 미세먼지 환경 기준을 미국과 일본 등 수준으로 강화하면서 미세먼지 체감 수치도 한층 높아졌다. 개정된 환경 기준에 적용하면 지난해보다 ‘나쁨’ 일수는 12일에서 57일로, ‘매우 나쁨’ 일수는 0일에서 이틀로 늘어난다. 



환경부는 환경 기준 강화로 수도권 비상 저감 조치의 실효성이 높아지면서 미세먼지 배출 감소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무엇보다 미세먼지로부터 개인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는 실천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보건용 마스크 선택은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는 게 답이지만, 출퇴근과 등교까지 막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 외출할 때 보건용 마스크 착용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된 이유다.  


보건용 마스크 KF(Korea Filter) 문자 뒤에 붙은 숫자는 입자 차단 성능을 나타낸다. ‘KF80’은 평균 0.6㎛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KF94’와 ‘KF99’는 평균 0.4㎛ 크기의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걸러낼 수 있다는 뜻이다. 



숫자가 큰 마스크는 숨쉬기가 어렵거나 불편할 수 있어 미세먼지 발생 수준과 개인의 호흡량을 고려해 적당한 제품을 선택하는 게 좋다. 


인터넷과 모바일 등 온라인에서 구매할 경우에는 제품명과 효능 및 효과 등을 꼼꼼하게 따져 해당 제품이 보건용 마스크로 허가된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최근 콧속에 삽입해 코로 흡입되는 입자를 차단하는 제품(일명 ‘코마스크’)은 호흡기의 보호를 기대할 수 없다. 


식약처는 3년간 공산품 마스크를 의약외품인 보건용 마스크로 과대‧거짓 광고한 사례 721건을 적발해 고발, 시정지시 등의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미세먼지 입자 여과 기능을 과대광고하거나 필터 차단율을 실제보다 부풀린 경우다. 



마스크, 얼굴에 밀착해 착용 



마스크를 잘 구입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미세먼지가 코와 입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는 것이다. 고정심 부분을 위로 쓴 뒤 양 손가락으로 마스크가 코에 밀착되도록 눌러줘야 한다. 수건이나 휴지 등을 입에 덧댄 후 마스크를 차용하면 밀착력이 떨어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번 사용한 마스크 제품은 먼지나 세균에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재사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보건용 마스크는 세탁하면 필터 기능을 유지할 수 없어 세탁도 금물이다. 


임신부나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자, 어린이, 노약자 등은 마스크를 착용한 뒤 호흡이 불편하면 즉시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당부한다. 



실내 환기는 도로변 창문을 피해서   



집 안도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곳은 아니다.  외출하고 집에 들어갈 땐 바로 씻는 습관을 들이는 게 바람직하다. 특히 손과 발, 눈, 코를 흐르는 물에 씻고 양치질까지 하는 걸 전문가들은 권한다. 


적절한 실내 환기도 빠트릴 수 없다. 실내와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고려해 환기하는 게 중요하다. 실내 오염도가 높을 때는 자연환기를, 낮을 때는 공기청정기 등을 이용해 환기를 한다. 다만 미세먼지 환경 기준이 ‘나쁨’ 이상일 때는 자연 환기를 자제해야 한다. 


환기는 하루에 세 번 오전 10시에서 오후 9시 사이에, 30분 이상 하는 걸 환경부는 권한다. 대기 오염도가 높은 도로변 창문을 피해 환기하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