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음식

허약해진 신체에 좋은 보약(補藥)



인체의 약해진 장기를 보충하거나 저하된 혈액이나 기운을 보강하는 것을 한방에선 보(補) 치료법이라 한다. 보약(補藥)은 허약해진 신체를 건강하게 회복시키는 약이다. 보약은 일종의 질병 예방약이다. 허약의 원인과 부위에 따라 치료 방법과 약제(藥劑)가 달라진다.


성장 발육 촉진 약, 오장 육부(五臟六腑) 보강 약, 혈(血)을 보하는 약, 음(陰)을 보하는 약, 정력(精力)을 보하는 약, 뇌를 보해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약 등 보약의 종류가 다양하다. 한의학에서 처방하는 보약의 기본 처방만 해도 100 가지가 넘는다. 보약을 복용할 때는 반드시 한의사의 진단과 처방에 따라야 한다.


보혈(補血)해야 할 사람이 보기약(補氣藥)을 먹으면 기운이 막히는 병이 생길 수 있어서다. 보기(補氣)해야 할 사람이 보혈약(補血藥)을 복용하면 소화불량 증세가 나타난다. 



피로를 느낀다고 해서 무조건 보약을 먹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몸에 영양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해 피곤할 때는 보약이 필요하다. 피로의 원인이 인체 대사가 원활하지 못하거나 외부요인 탓이라면 보약 복용은 헛일이다. 대표적인 보약으론 쌍화탕ㆍ십전대보탕ㆍ팔물탕ㆍ육미지황탕 등이 꼽힌다. 



쌍화탕은 ‘쌍화산’이라고도 한다. 기(氣)와 혈(血)을 쌍(雙)으로 조화롭게 해준다. 힘든 일을 하거나 큰 병을 앓고 난 후 기가 부족해 저절로 땀이 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된다. 쌍화탕은 주재료인 사물탕에 황기ㆍ육계ㆍ감초를 추가한 것이다.


십전대보탕은 십보탕(十補湯)ㆍ십전산(十全散)이란 별칭을 갖고 있다. 체내 기혈 부족으로 인한 모든 병증에 이롭다. 허약이 장기간 지속돼 음식을 거의 먹지 못하거나 오랜 병으로 몸이 쇠약해져 수시로 열이 오르며, 뼈마디가 시리고 아프다는 사람에게 처방된다.


얼굴색이 누렇게 뜨고 다리ㆍ무릎에 힘이 없거나 각종 병을 앓은 뒤 기운이 예전과 같지 않거나 걱정ㆍ근심으로 숨이 차고 속이 메스껍다고 호소하는 사람에게도 권한다.


십전대보탕은 기를 보하는 사군자탕 (인삼ㆍ백출ㆍ복령ㆍ감초)과 혈을 보하는 사물탕 (당귀ㆍ천궁ㆍ백작약ㆍ숙지황)을 합하고, 여기에 황기ㆍ육계를 추가한 보약이다.


총명탕은 마음을 맑고 깨끗하며 평안하게 한다. 수험생이 먹으면 기억력이 좋아진다. 백복신ㆍ석창포ㆍ원지란 세가지 약물로 구성된 아주 간단한 처방의 보약이다. 하얀 첩지에 싼 봉지(한약)를 1첩(貼)이라 한다. 한약은 하루에 2첩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 제란 10일 분량의 한약으로, 20첩을 가리킨다.


한약의 복용 기간은 질환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구미강활탕이란 감기ㆍ몸살 치료용 한약은 며칠만 복용해도 효과를 볼 수 있다. 만성 간질환ㆍ암 등 만성 질환자라면 한약 복용 기간이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수년에 이를 수 있다.


탕약은 보관 기간이 오래 되면 약효 성분이 소실될 수 있다. 가급적 냉장 보관해 적정 기간 내에 복용해야 한다.



사람은 저마다 독특한 생리기능을 보인다. 한의학에선 이를 체질이라 한다. 각 체질의 특이성에 의해 개인의 성격ㆍ선호 음식ㆍ체격ㆍ잘 걸리는 질환까지도 차이가 난다.


체질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용어가 ‘사상체질’이다. 사상체질이란 1900년께 이제마가 창시한 체질 감별법으로, 사람을 태양인ㆍ태음인ㆍ소양인ㆍ소음인 등 네 체질로 분류한다. 엄밀히 말하면 체질을 정확하게 구분하긴 힘들다. 몸이 찬 체질과 따뜻한 체질 등 큰 분류는 가능하다. 그 경계선에 있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이 체질에 가깝다’란 표현이 더 적절하다.


동양에서 한약(생약)은 선사시대 이전부터 발달했다. 천연물질 가운데 인체의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것의 대부분은 초본 식물이다. 식물에 근본을 두었다 해서 ‘본초’(本草)라 한다. 현존 본초 서적 중 최고(最古)인 것은 약 2000년 전 중국 한나라 때 저술된 ‘신농본초경’이다. 이후 명나라 때 이시진이 ‘본초강목’을 저술하면서 본초를 이용한 의술이 널리 퍼졌다.


우리 선조가 쓴 대표적인 본초 서적으론 고려의 향약구급방, 조선의 향약집성방과 동의보감이 있다. 향약구급방과 향약집성방은 중국의 본초강목보다 전에 작성됐다. 동의보감도 본초강목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한약(韓藥)은 동물ㆍ식물ㆍ광물에서 채취된 것으로, 대개 원형대로 건조ㆍ절단 또는 정제된 생약이다(약사법 제2조). 한약재는 ‘한약’ 또는 ‘한약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료 약재다. 한약재는 제약회사에서 한약재 규격품으로 제조돼 한의원ㆍ한약국ㆍ한약방 등에 공급된다.


한약재를 사용해 질병 예방과 치료를 수행하는 곳으론 한의원ㆍ한약국ㆍ한약방이 있다. 한의원은 한의사가 개설하는 의료기관으로,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하는 곳이다. 여기선 침술ㆍ외과술ㆍ교정술 등 각종 의학적 처치를 받을 수 있다. 한약국은 한약사가 개설한 약국이다.


한약국에선 일반의약품도 구입 가능하다. 한약사가 판매할 수 있도록 규정된 ‘한약 조제 지침서’ 100종 한약 처방 내의 조제 한약도 살 수 있다. 한의사의 처방전을 한약국에서 보여주면 한약사가 한약을 조제해준다. 한약방은 기성 한약서 10종에 기재된 한약을 혼합ㆍ판매하는 곳으로 한약업사가 운영한다.


한약은 건강기능식품과는 다르다. 건강기능식품은 식약처가 인정한 기능성 원료 또는 성분이 함유된 식품이다.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의 영양기능(1차 기능), 감각적ㆍ기호적 기능(2차 기능), 생체조절기능(3차 기능) 중 생체조절기능에 초점을 맞춘 제품이다. 질병의 직접적인 치료ㆍ예방 효과가 있는 의약품과도 다르다.


농가에서 재배된 특용 작물은 산지 수집상이나 생산자 단체 등을 통해 한약의 원료(한약재)나 농산물(식ㆍ약공용농산물)로 유통된다. 의약품용 한약(재)는 일반인이 직접 살 수 없다. 민간요법으로 사용할 식물을 구입하려는 일반인도 있을 것이다. 농산물인 식ㆍ약공용농산물을 이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