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술에 취하면 왜 횡설수설 같은 말을 반복할까



사람은 술에 취하면 평소에 보이지 않던 모습을 보입니다. 술만 마셨다 하면 혀가 꼬여서 귀에 딱지가 앉도록 똑같은 말을 지겹게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또 괜히 언성을 높이고, 야한 이야기를 늘어놓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 뒷이야기를 하거나 자기 자랑을 끝없이 펼치기도 합니다. 쉽게 비밀을 누설하기도 합니다. 굳이 먼 거리를 걸어가겠다고 고집 피우기도 합니다. 갈지자걸음은 기본입니다.



술 마시고 난 다음 날 기억의 망각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술 마신 날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 채 누가 술값을 지불했는지조차 알지 못해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왜 그러는 걸까요? 동어반복으로 들리겠지만, 만취해서 뇌가 제 기능을 못 하기 때문입니다. 뇌의 다양한 부위와 영역 중에서도 전두엽과 해마, 소뇌가 특히 알코올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전두엽은 인간의 사고와 이성을 제어하고, 소뇌는 운동 기능을 조절하며, 해마는 기억과 인지기능을 담당하는데, 여기에 알코올이 스며들어 이들 세 가지 뇌 부위의 작동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키면서 이상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희한하게도 아무리 술에 취해 이른바 필름이 끊긴 상황에서도 집은 잘 찾아갑니다. 마치 목적지를 집으로 찍어놓은 내비게이션을 몸에 장착한 듯 무사히 귀가한 자신을 아침에 발견하고 가슴을 쓸어내린 경험을 술꾼이라면 한 번씩은 겪어봤을 것입니다.



어떻게 이런 신기한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요? 이 수수께끼를 풀 열쇠는 해마가 쥐고 있습니다. 해마는 기억과 인지기능을 담당하는데 단기 기억을 남기고, 그것을 장기 기억으로 바꾸는 두 가지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단기 기억은 새로운 사항을 일시적으로 처리하고 저장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PC로 문서작업을 하고 저장버튼을 누르지 않은 채 전원을 끈 것과 같습니다. 만취해서 같은 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것도 자기가 방금 한 말과 행동을 저장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반해 술에 취해 의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도 집을 제대로 찾아갈 수 있는 것은 장기 기억 덕분입니다.


장기 기억은 '추억 기억' '에피소드 기억'이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뇌에 오래 머무는 기억입니다. 집으로 가는 길은 매일 반복해서 다닙니다. 그래서 장기 기억에 저장돼 쉽게 기억 보관소에서 끄집어낼 수 있습니다. 취중에도 금방 생각나서 집으로 갈 수 있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