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코로나19 스트레스, 명화 감상으로 해소해요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콕(집에서 종일 시간을 보냄)’이라는 말이 범람하고 있다. 외출 후 감기 기운이 조금만 있어도 ‘혹시?’ 하는 마음이 앞서는 요즈음 위기 극복을 위해 총력을 다하지만, 사람들이 몰린 곳은 외출을 꺼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

 

개학이 미루어져 길어진 방학, 어린이는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갑갑해 하고, 어른은 어른대로 스트레스가 쌓여 이전의 일상이 그립다. 어수선한 시기, 잠시 시간 내어 마음이 따뜻해지는 그림 ‘피터르 브뢰겔’의 작품을 들여다보는 것은 어떨까? 


피터르 브뢰겔/눈 속의 사냥꾼/1565/빈 미술사 박물관

 

피터르 브뢰겔(1525~1569)은 16세기 네덜란드의 대표 화가로 '익살과 풍자로 가득한 풍속화'를 그린 화가다. 그는 농민들의 생활을 섬세하고 풍자적으로 그려 '농민의 브뢰겔'로 불린다. 네덜란드에 대한 에스파냐아의 억압과 종교적인 제재를 작품으로 나타냈고, 민간 속담으로 교훈을 주는 그림과 아이들의 놀이 등 40여 점의 작품을 남겼다. 대표작은 〈바벨탑〉, 〈농부의 결혼〉, 〈눈 속의 사냥꾼〉 등이 있다.

 

피터르 브뢰겔/아이들의 놀이/1560/빈 미술사 박물관

 

위 그림의 제목은 ‘아이들의 놀이’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작품이다. 요즘 같은 놀이 시설이 없던 시절에 250명에 가까운 아이들이 다양한 놀이에 집중하고 있다. 굴렁쇠 굴리기, 술래잡기, 소꿉놀이, 팽이치기, 그네뛰기, 기차놀이 등 여기저기서 놀이를 즐기는 아이들을 보면 오래전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놀이와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그림을 그린 시기는 르네상스 시대로 미켈란젤로 등이 이탈리아에서 왕성한 활동을 했던 문예부흥 시기다. 특이한 점은 당시엔 성서나 신화, 특수층의 성인 초상화가 많았는데, 이와 달리 브뢰겔은 서민들의 일상을 주로 그렸으며 특히 잘 다루지 않는 어린이들을 그리면서 중심인물이 따로 없이 등장인물 모두를 주인공으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마치 인생이란 무대에서 각자가 배우일 수밖에 없는 것처럼 한 명 한 명 섬세하게 표현했다. 놀이에 집중하는 모습이 스냅사진 보듯이 사실적이어서 나도 그 속에 들어가서 숨은 그림 찾듯 추억 속의 놀이를 찾아 놀아야 할 것 같은 분위기다.

 

피터르 브뢰겔/아이들의 놀이/1560/빈 미술사 박물관

 

그림의 왼쪽 위를 보면 전형적인 전원 풍경이 배경으로 나오고 오른쪽 뒤로 가면서 거리감이 잘 표현됐다. 학교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에게서는 그 당시에도 있었을 교육열이 엿보이고, 놀이에 빠져 시간 가는 줄 모르는 풍경에서는 시간을 함부로 낭비하면 안 된다는 점을 살짝 느끼기도 한다.

 

브뢰겔의 작품은 조선시대 서민들의 풍속도를 즐겨 그린 김홍도의 작품을 떠올리게 한다. ‘씨름’에서 씨름꾼과 구경하고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표정과 자세에서는 누가 이길지 알 수 있고, 서당에서 훈장님과 야단맞는 어린 제자를 둘러싼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표정에서 익살과 재치를 읽을 수 있는데, 이렇듯 풍속화는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을 읽어낼 수 있다.

 

좌=김홍도/씨름/단원풍속도첩/국립 중앙박물관

우=김홍도/단원풍속도첩/국립 중앙박물관

 

브뢰겔은 ‘네덜란드 속담’이라는 제목의 풍자적인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백 가지 가까운 속담에는 위선이나 무모한 도전 등 인간의 어리석음을 깨우쳐주는 교훈이 담겨 있어 숨어있는 속담을 찾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그중에서도 쏟아진 죽을 숟가락으로 담는 사람, 송아지가 빠진 도랑을 메우는 사람은 엎질러진 물 주워 담지 못하고,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우리의 속담과 거의 비슷하다.

 

피터르 브뢰겔/네덜란드 속담/1559/베를린 국립미술관

 

아침에 눈을 뜨면 뉴스부터 살펴보는 나날이다. 서로를 지켜주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일상의 모든 것에 거리가 생겨 힘들 때, 마음이 따뜻해지는 말 한마디 되뇌어 보자.

 

“이 또한 지나가리라. This, too, shall pass a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