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코로나19 치료에 사용된 의약품 효과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엇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는 치료제도 없고, 예방을 위한 백신도 없는 것으로 알려지며 ‘혹시나 감염되지 않을까’하는 두려움도 크다.

 

이에 각국은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공식적으로 40여 개의 후보물질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일부 국가는 아주 빠르면 9월에 치료제나 백신이 나올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은 빨라야 1년, 보통 2년여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이처럼 치료제나 백신이 개발되기에 시간이 필요한 만큼 각국에서는 람데시비르, 아비간 등 다른 질환 치료에 사용하거나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코로나19 환자에 투여해 치료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동안 코로나19에 치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거론된 치료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장 많은 기대를 받는 의약품은 에볼라 치료에 사용되는 ‘렘데시비르’(remdesivir)이다. 렘데시비르는 RNA와 결합해 바이러스의 복제를 막는 기전의 항바이러스제로 코로나19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백신 치료제있다.

 

중국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로 사용한 3개 약물 중 하나로 일부 환자에서 치료 효과를 확인하자 임상시험을 확대하기도 했다. 최근 일본에서도 코로나19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신속 승인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세계보건기구(WHO)가 실수로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치료효과를 보이지 못했다는 중국 임상 보고서 초안을 홈페이지에 게재하면서 기대감이 떨어지기도 했다. 이에 대해 길리어드는 낮은 참여로 임상시험이 조기 종료됐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하며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해당 의약품은 말라리아 치료제로 바이러스가 세포와 융합하는데 필요한 endosomal pH를 증가시키고 세포수용체의 당화를 저해해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해당 약물이 효과가 명확하게 입증된 것도 아니며, 오히려 심장 질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기존에 치료한 내용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오히려 사망 확률만 높아졌다는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브라질에서는 하이드록시클로로퀸과 유사한 클로로퀸의 연구에서 심장 질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해 실험이 중단되기도 했으며, 최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나선 미국의 과학자들이 ‘코로나19 치료제로서 가치가 없다’고 평가하며 사실상 코로나19 치료제로는 퇴출된 것으로 보인다.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제 ‘칼레트라’와 ‘프레지스타’도 한때 바이러스 증식 억제효과로 기대받았으나 임상에서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며 제외됐다.

 

항에이즈 단백분해효소 억제제 칼레트라(Lopinavir 200mg + Ritonavir 50mg)의 경우 HIV 바이러스 복제를 막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 효과로 기대받으며 태국에서는 타미플루와 병용(함께) 투여해 효과를 보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연구진이 199명의 코로나19 환자를 상대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코로나19 치료에 아무런 효과가 없고 오히려 부작용이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며 제외되고 있다.

 

인플루엔자 치료제 ‘아비간’은 중 일본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도입이 검토됐으나 안전성과 효과성을 인정받지 못해 제외됐다. 일본이 아비간의 코로나19 임상을 위해 희망하는 국가들만 무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히며 많은 국가가 관심을 보였으나 이후 뚜렷한 치료효과에 대한 발표는 없는 상황이다.

 

일본에서는 흡입형 기관지 천식치료제 ‘시클레소나이드’(Ciclesonide)가 일부 환자에게서 코로나19 환자에게 증상개선 효과가 확인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혈장 치료’도 대안으로 떠올랐다. 혈장 치료는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가 완치된 환자의 혈액에서 바이러스를 공격하는 중화항체가 담긴 혈장(혈액 중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 등을 제외한 액체 성분)을 분리해 다른 환자에게 주입하는 치료법이다.

 

혈장 치료는 건강을 회복한 환자의 혈장에는 다량의 항체가 들어 있으며 이를 위중한 환자에게 주입하면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918년 스페인독감 팬데믹 당시 시도됐고, 2002년 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유행 때도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각국이 코로나19 치료를 위해 혈장 확보에 나서기도 했다.

 

이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중증 상태에 있는 코로나19 환자들에 한해 ‘혈장 치료’를 허가할 계획을 밝혔고, 1500여 개 병원이 관련 프로젝트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치료효과가 확실하게 입증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19의 일반 환자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임상실험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영국과 이집트도 임상시험에 들어갔으며, 중국에서는 코로나19 환자가 혈장치료에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 대학병원에서 혈장으로 코로나19 중증환자를 치료해 큰 관심을 모았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하반기 코로나19 감염자를 대상으로 혈장 치료제 임상시험 진행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중화항체가 방어력을 갖췄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도 확실한 상황은 아니고, 이 항체가 얼마나 지속될지, 감염된 후 얼마나 형성되는지 아직 정확하게 알지 못하기 때문에 치료효과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더욱이 회복기 혈장 또는 일부 후보 치료제에 대한 부작용도 지적되고 있다.

 

 

 

구충제 ‘이버멕틴’(Ivermectin)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있다는 연구도 발표돼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 하지만 임상에서 검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의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

 

이외에도 미국에서 과학자와 자산가들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한 참여자는 “바이러스 세포에 달라붙는 단세포 항체 약물을 가장 유망한 치료제로 확인했다”고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