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중년 여성 울리는 대상포진 : 의사도 진단하기 어려운 병, 조기 발견·치료가 중요

질병 중에 특히 50대 이상 중년 여성들을 울리는 게 있습니다. 바로 대상포진입니다. 이는 수치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 의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 대상포진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71만 1천 442명에 달하는데, 연령별로 보면 절반 이상인 44만 명(62%) 50대 이상이었습니다.

 

세부적으로 50대가 17만 9천 376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14만 2천 260명), 40대(11만 5천 959명), 70대(8만 5천 861명) 등의 순이었습니다. 50대 이상 환자(44만 명)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이 27 8 642명으로 63.3%를 차지했습니다.

 

 

 

 

 

 

 

 

 

 

 

 

 

 

 

 

 

조기 발견이 중요한 악명 높은 질환, 대상포진

 

대상포진은 대부분 성인이 알만큼 악명 높은 질환입니다. 하지만 초기에는 피부 병변이 나타나지 않거나 나타나더라도 전형적인 양상이 아닐 때도 있기에 진단하기 까다로운 질병으로 꼽힙니다.

 

초반에는 감기·몸살처럼 발열이나 오한이 느껴지기도 하고 통증은 있지만, 통증 부위에 물집이 생기지 않아서 내과 의사조차 정확한 진단을 못 하고 놓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대상포진을 마지막에 진료하는 의사야말로 명의라는 말까지 의료계에서 떠돕니다.

 

 

 

 

 

 

 

 

 

 

 

 

 

 

 

대상포진으로 인해 나타나는 통증과 합병증

 

대상포진이란 한자 뜻 그대로 띠(대, 帶)를 두른 듯한 모양(상, 狀)의 수포(포진, 疱疹)라는 말입니다. 어렸을 때 수두를 앓은 뒤 몸에 남아있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의 저항력이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활동을 재개하면서 발생합니다.

 

대개 신경을 따라 바이러스가 발발하면서 피부 발진과 통증을 일으키는데, 옷깃만 스쳐도 발작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습니다. 이렇게 통증이 생기는 이유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수포를 만드는 과정에서 신경을 훼손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통증이 먼저 발생하고서 3~5일 후에 주위 피부 신경절을 따라 발진, 물집, 농포 등이 몸의 한쪽에만 띠를 두르듯이 생깁니다. 이런 피부 증상은 딱지가 생긴 후 떨어지면 흉터나 색소 침착을 남기고 호전되지만, 수포가 없어진 후에도 통증은 지속하거나 다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른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란 합병증인데, 수포가 사라진 뒤에도 지속해서 괴롭히는 만성 통증입니다. 모든 질병과 마찬가지로 대상포진도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가장 효과적이고 기본적인 치료법은 물집이 생긴 지 72시간 안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대상포진이 의심된다면 서둘러 병원을 찾아가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대상포진은 다른 질환으로 오인하거나 진단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그래서 골든타임 72시간을 놓쳐 치료 시기가 늦어지는 바람에 치명적 통증과 신경통 등의 후유증에 시달리는 일이 있을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대상포진, 왜 조기 발견이 중요할까?

 

대상포진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치매 위험마저 높아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합니다.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로 2002~2013년 대상포진을 진단받은 50세 이상 환자 3만 4천 505명을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은 환자(84%)와 치료받지 않은 환자(16%)로 나눠 10년간 치매 발생률을 비교·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대상포진을 치료하지 않은 집단에서 실제 치매가 발생한 비율이 치료 집단보다 1.3배 높았습니다. 이에 반해 대상포진을 앓았어도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받은 집단에서는 추후 치매에 걸릴 위험이 4분의 1 정도 감소했습니다.

 

 

 

 

 

 

 

 

 

 

 

 

 

 

 

 

대상포진을 예방하려면?

 

초기에 진단이 어렵고 합병증 위험이 크므로 50세 이상에서는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고 전문가들은 권합니다.

 

모든 백신이 그렇듯 대상포진 백신을 맞아도 100% 막지 못하고 대상포진에 걸릴 수 있지만, 걸리더라도 백신을 맞지 않았을 때보다 통증이 덜하고 신경통 등 합병증 발병 위험을 67%가량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대한감염학회는 60세 이상 성인은 대상포진 백신을 1회 접종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50~59세는 각자의 상태에 따라 접종 여부를 정하도록 제시하고 있습니다. 대상포진 백신 예방률은 50대에 맞으면 69.8%, 60대 이상에서 맞으면 51.3% 정도입니다.

 

다만 대상포진 백신은 생백신이기에 혈액암 환자, 항암치료 중인 환자, 면역억제제를 먹는 환자 등 면역이 떨어져 있는 사람은 함부로 접종하면 안 된다고 합니다.

 

 

 

 

 

 

 

 

 

 

 

 

 

 

 

 

 

 

 

그럼 대상포진을 피하려면 평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문가들은 대상포진은 갑자기 무리한 일을 하거나 과격한 운동이나 극도의 스트레스 등으로 면역력이 떨어지면 발생할 수 있다며 평소 규칙적인 운동과 영양가 있는 식단, 스트레스 관리로 몸의 면역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참고문헌 : '의사사용 설명서', 황세원 지음, 라온북刊)

 

 

 

 

 

 

연합뉴스 서한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