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죽이 제일 먼저 생각나는 동지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24절기 중 22번째 절기로, 양력 12월 22일에서 23일 무렵에 드는 동지는 동지가 든 음력 날짜에 따라 동지의 종류와 이름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또한 동지는 팥죽 먹는 날로 가장 잘 알려졌지만, 단순히 팥죽을 먹는 날이 아닌 여러 가지 의미와 풍습이 있습니다.
음력 날짜에 따라 달라지는 동지(동짓날)의 이름
동지는 양력으로 12월 22~23일 무렵에 들기 때문에 매년 음력 날짜가 바뀌게 됩니다.
동지가 드는 음력 날짜에 따라 세 가지 종류로 나뉘게 되는데요, 음력 동짓달(11월) 초순에 드는 애동지, 중순에 드는 중동지, 그믐 무렵에 드는 노동지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음력 동짓달 초순에 드는 애동지는 애기동지, 소동지 등으로 불리며, 전국적으로 애동지가 들면 아기에게 좋지 않다고 하여 팥죽 대신 떡을 해 먹는 풍속이 있었다고 합니다.
동지(동짓날)의 다양한 의미 1. 태양의 부활, 작은 설 동지
낮이 가장 짧은 동지는 다음날부터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태양의 부활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조상들은 동지를 설 다음가는 ‘작은 설’로 대접했으며, ‘동지팥죽을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라는 동지첨치(冬至添齒)의 풍속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동지(동짓날)의 다양한 의미 2. 호랑이 장가가는 날, 동지
12월 말에 드는 동지는 날이 춥고, 밤이 긴 날입니다.
이에 민간에서는 열이 많은 동물인 호랑이가 춥고 밤이 긴 동짓날에 교미할 것으로 생각하여, 동지를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동지(동짓날)의 즐기는 대표적 풍습, 동지고사와 동지팥죽
예부터 동짓날이 되면 동지팥죽을 끓여 먹었는데요, 지금까지도 전해져 내려와 동지팥죽을 먹는다고 합니다. ‘동지’ 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 이러한 동지팥죽에도 의미와 유래가 담겨있습니다.
조상들은 동지팥죽에 있는 팥의 붉은색이 음귀를 쫓는 효과가 있다고 믿어 팥죽을 만들어 사당에 올려놓고 동지 고사를 지냈습니다. 또한 동지 고사가 끝난 후에 헛간, 마루 등 집안 곳곳에 놓아 식힌 후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었는데, 이는 집안 곳곳에 있는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는 축귀의 의미였다고 합니다.
팥죽은 동지에만 쑤어먹는 것뿐 아니라 여러 가지 풍속적 의미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전염병이 유행할 때 우물에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하였으며, 사람이 죽거나 이웃이 상을 당하면 팥죽을 쑤어 보내기도 하였는데, 이는 악귀를 쫓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참고: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인천광역시 공식블로그, 종로문화재단 블로그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 술자리 대비! 건강한 음주법과 주의사항 및 숙취 해소법 (0) | 2021.12.24 |
---|---|
위식도 역류질환 원인과 증상부터 치료법까지 알아보세요! (0) | 2021.12.23 |
심혈관 질환 예방법, 적정 취침 시간은? (0) | 2021.12.21 |
불멍의 효과와 주의사항, 코로나19로 지친 일상 속 힐링법 (0) | 2021.12.18 |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부스터 샷) 효과와 접종 대상 및 주의사항,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에 대비하자! (0) | 2021.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