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당에서 지옥으로 확~ 경계성 인격장애
무엇이든 확 좋아했다가 금방 싫어하기를 반복한다. 심할 때는 하루에도 몇 번씩 좋고 싫음이 뒤집혀 전혀 종잡을 수가 없다. 천당과 지옥을 수없이 오가는 것이다. 좋고 싫음에도 중간단계가 없어 격차는 하늘과 땅차이이다. 한마디로 ‘모 아니면 도’ 다. |
▲ 영화 '얼굴 없는 미녀'포스트 |
영화 ‘얼굴 없는 미녀’ 는 경계성 성격장애를 소재로 하고 있다. 경계
성 성격을 갖고 있는 지수(김혜수 분)와 이를 치료하는 정신과 의사 석원(김태우 분)의 위태로운 사랑과 헤어짐이 이야기의 축이다. 아내를 잃고 외롭게 지내던 석원은 지수를 상담하는 과정에서 사랑을 느껴 관계를 맺는다.
지수는 어느 날 갑자기 짤막한 이별 통고만을 남기고 석원을 떠난다. “ 그동안 고마웠어요. 우린 좋은 친구였죠?” 사귄 지 며칠 안 된 그녀가 느닷없이 까닭 모를 이별을 선언한다. 지수는 자신이 버림받을 게 두려워 지레 먼저 관계를 끊는다. 끊임없이 상대방에게 버림받을까봐 두려워하면서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이 지수의 성격이다.
이성을 잃고 흥분하기도 하고, 자살을 시도해 다른 사람을 교묘하게 조정한다. 바로 경계성 성격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유능한 변호사이자 단란한 가정의 가장인 댄(마이클 더글러스 분)은 우연히 파티에서 출판사 편집장인 알렉스라는 여인을 만난다. 댄은 알렉스의 요염한 매력에 끌려 마음이 흔들린다. 며칠 후 아내가 친정에 간 사이 댄은 알렉스와 뜨거운 하룻밤을 보낸다. 댄에게는 한순간의 성적 유희였을 뿐, 이것이 관계의 전부였다. 댄은 알렉스가 잠든 사이 메모를 남기고 떠난다.
하지만, 알렉스에게는 이제부터가 시작이었다. 한번 관계를 가졌을 뿐 전혀 알지 못하는 댄을 알렉스는 이상형으로 여기면서 자신의 공허함을 채우려고 한다. 그와의 강렬한 관계를 꿈꾸던 알렉스는 막상 댄이 떠나자 집요하게 매달린다. 수없이 전화를 걸어 신랄한 독설을 퍼붓다가도 임신을 했다며 자신한테 돌아오길 애원한다.
사랑의 감정은 금세 분노로 바뀌어 알렉스는 자신을 헌신짝처럼 버린 댄을 향한 복수심을 불태운다. 급기야 댄의 집에 찾아가 그의 아내를 폭행하기도 한다. 이런 알렉스의 광적인 집착은 결국 죽음으로 막을 내린다. 영화‘위험한 정사’ 의 줄거리이다.
알렉스는 경계성 성격을 갖고 있다. 경계성 성격장애자는 항상 자신의 공허함과 애정결핍을 채워 줄 상대방을 찾는다. 그런 사람을 만나면 상대방의 의도나 감정과는 상관없이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급상승해 자신을 구출해 줄 구세주로 여기게 된다. 자신을 사랑해줄 완벽한 존재로 굳게 믿고선 상대방에게 점점 의존하게 된다.
문제는 이런 관계가 일방적이라는 사실이다. 그리 오래가지 못하리라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상대방은 이런 강렬한 관계나 과도한 기대감이 부담스러워 뒤로 물러서게 된다. 이에 경계성 성격장애자는 버림받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혀 필사적으로 매달리거나 자살위협으로 상대방을 조정한다. 사랑하는 사람이 자기를 떠나버리지 않을까하는 두려움이 이들의 핵심 감정이다.
▲ 영화 '얼굴 없는 미녀' 중 한 장면 |
누군가를 한없이 비행기를 태울 정도로 높이 평가했다가도 사소한 실망으로 금세 저주를 퍼붓는다. 예컨대, 전적으로 의지하던 연인이라도 자신이 필요할 때 즉시 전화를 받지 못하면 ‘몹쓸 놈’ 취급을 한다. 사람은 누구나 전적으로 좋거나 나쁜 상태의 중간, 그 어딘가에 있기 마련인데, 이들은 중간을 보지 못하고 상대방을 극단적으로 평가한다.
경계성 성격장애자는 다른 사람과의 경계를 파고드는 습성을 갖고 있다. 끊임없이 애정을 갈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채워주면 채워줄수록 이들의 욕구는 더 커진다. 결코 상대방이 해결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때문에 경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디 까지는 가능해도 그 이상은 절대 안 된다는 한계를 정해야한다. 다른 사람이 도와준다고 해서 경계성 성격이 좋아지지는 않는다. 막무가내로 덤벼들었다간 진퇴양난의 늪에 빠지기 십상이다. 밖에서 채워줄 수 없는 만큼 스스로 변해야 좋아질 수 있다.
어린 시절 자신을 돌보아 주던 엄마의 이미지가 마음속에 들어오지 않음으로 해서 갖가지 장애가 생긴다는 사실을 당사자가 깨닫고 이를 조금씩 복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전문적인 치료이다. 치료자를 조정하려고 하는 환자의 무의식적인 욕구와 자해, 자살시도 등으로 인해 치료관계가 손상되는 경우도 많다. ‘모 아니면 도’ 가 아닌 감정의 중간단계를 가질 수 있는 경험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과
로그인없이 가능한 손가락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
'건강 > 맞춤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가 말하는 퇴행성관절염의 치료방법과 예방 (12) | 2011.01.27 |
---|---|
뇌출혈 원인과 증상도 알아보고, 뇌졸증 예방법도 체질에 맞게 (6) | 2011.01.26 |
의사가 말하는 비현실적이고 부정확한 건강염려증 (23) | 2011.01.21 |
귀족병이라고 불린 '통풍'에 대한 잘못된 상식 (4) | 2011.01.14 |
감기 후 이유없이 보채는 아이, 중이염일까? (12) | 201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