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일본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방사성 물질로부터 안전한가?



  지난 11일 일본 동북부 지방에서의 대 지진과 지진해일로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가 이어지고 있
  다. 폭발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방사선에 직접 피해를 입은 주민들이나 원자력 발전소 직원들
  도 있다. 또 일본 일부 지방에서는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수돗물이나 농수산물도 발견되고 있다. 이
  웃 나라의 방사선 누출 사고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기사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일부 사람들은 요오드가 많이 든 식품이나 의약품을 찾는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이에 방사선
  누출의 위험성과 현재의 상황에 대한 진단 및 유의사항과 함께 평소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는 영상
  진단 검사의 안전 및 유해성에 대해 살펴본다.

 

 

농수산물 방사선 오염은 심각한가?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뒤에 이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음식물 역시 인체에는 여러 해를 끼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보통 사람들의 상식과 마찬가지로 당연하게도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음식은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미 일본에서도 발전소 폭발 지역과 가까운 곳에서 생산된 우유나 채소에서 방사선에 오염된 검사 결과가 나왔는데,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뒤에도 당시 누출된 방사성 물질 중에서 요오드, 세슘 등이 근처 유럽 대륙의 채소, 우유 등 농작물 및 낙농제품을 오염시킨 바 있다. 이 때문에 국내에서도 검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연이은 수소폭발과 연료봉 노출로 연기가 치솟고 있는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 KIM JAE-HWAN/AFP/Getty Images

 

당장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이번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폭발과 관련해 먼저 일본산 신선 농ㆍ임산물에 대해 일차적으로 방사능 검사를 지시한데 이어 건조 농ㆍ임산물과 가공식품 등도 검사를 확대했다. 여기에는 일본에서 직접 생산을 하지 않았고 경유만 해도 그 대상이 되며, 냉동 및 냉장 식품이나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식품과 그 원료도 포함된다.

 

국민들의 불안을 감안해 검사를 철저히 하겠다는 방침인 셈이다.  이에 대해 지나친 우려를 할 필요까지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방사성 물질은 물에 녹지 않는데다가 식물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지도 못하기 때문에 농산물의 경우 오염됐더라도 물로 씻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수산물 역시 바닷물에 섞인 낙진이 물고기 등으로 들어간 뒤 이를 사람이 먹으면 우리 몸으로 들어올 수 있지만, 수입물 검역 당시 방사선 피폭 여부도 검사하기 때문에 세관을 통해 정식으로 수입된 것에 대해서는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물론 일본산 수산물 등을 수입하는 업체들도 서둘러 수입량을 줄이거나 아예 수입을 하지 않겠다고 발표해 이런 식품을 만나기는 쉽지는 않아 보인다.

 


요오드는 현 단계에서 먹을 필요 없어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건 뒤 요오드를 섭취해야 한다는 소식에 이를 구하려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이런 소문에는 요오드가 주요 성분인 요오드화칼륨을 미리 섭취하면 요오드가 갑상선에 미리 자리를 잡고 있어 방사능에 노출된 뒤에도 방사성 요오드가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의학적인 소견이 배경이다.


이 의학적인 소견은 틀린 견해가 아니다. 하지만 관련 전문의들은 방사성 물질에 노출됐다는 명확한 근거 없이 요오드화칼륨을 섭취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이 요오드화칼륨이 알레르기, 두드러기, 침샘의 염증,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기능저하증 등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위험과 이익을 따져 봤을 때에는 국내에서는 아직 이를 먹거나 미리 준비해 둘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 폭발 지역 근처라면 몰라도 국내는 아직까지는 해당 사항이 없다는 설명이다. 관련 전문가들은 풍향이나 일본 원자력 발전소 사건의 수습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우리나라의 방사성 물질 오염 가능성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므로 이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요오드 성분이 많이 든 미역이나 다시마 등 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하루 요오드 섭취 권장량은 성인을 기준으로 150㎍이며, 임신부 및 수유부는 이보다 많은 양인 각각 240㎍와 330㎍이다.


하지만 모든 음식이 그렇듯 너무 많이 섭취하면 이 역시 관련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상한 섭취량이 정해져 있어 3000㎍이다. 과한 불안으로 과잉 섭취하면 앞서 말한 요오드 독성이 발생할 수 있음에도 명심해야 한다.  

 

일본 원자로 발전소 최후의 50인! (이미지:kong블로그)


일본에서 온 사람들은 피해야 하나?


방사선 피폭량은 방사선의 세기와 방사선에 노출된 시간에 비례한다. 즉 센 방사선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인체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커진다. 대신 거리에는 제곱에 반비례해 약해진다. 때문에 방사선을 뿜어내는 방사성 물질에는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혹시라도 바람 방향이 바뀌어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온 방사성 물질이 우리나라로 오면서 공기 중에 섞여 낙진형태로 떨어진다면, 이 낙진을 피하기 위해 가급적 건물 안에서 생활해야 한다. 또 건물의 창문은 닫아서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한다.

 

부득이하게 외출해야 한다면 우산이나 비옷, 모자 등을 이용해 비 등을 직접 맞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가축들의 경우에도 격리가 잘 된 축사로 옮기고 사료도 비닐로 덮어 보관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사람들을 일부러 피해야 할까? 우선 방사성 물질은 피부에는 오래 남아 있지 않는다.

 

하지만 옷, 신발 등 오염된 물체들에는 남을 수 있다. 다행히 일본에서 들어오는 모든 사람들에 대해 방사선 피폭 검사를 하고 있으므로, 이 과정에서 노출 여부가 검색된다. 밀입국을 하지 않는 이상에는 그다지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최근에도 공항에서 방사성 물질에 노출된 것으로 알려진 이들 역시 옷이나 신발 등을 제거한 뒤에는 그 수치가 모두 정상으로 돌아왔음도 눈여겨 볼만한 소식이다.

 

 

일부 영상 검사 장치의 방사선도 적지 않는 양, 지나치게 자주 검사하지는 말아야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방사선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이 받는 방사선은 크게 자연 방사선과 인공 방사선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가운데 자연 방사선은 우주에서 뿐만 아니라 땅, 건물, 쌀이나 야채 등과 같은 음식물에서도 나온다. 참고로 우주에서 오는 방사선은 태양 또는 외계에서 발생하는 아주 큰 에너지의 입자로 주로 대기권에서 흡수되지만 일부는 지표면에 도달한다.

 

관련 학계에 따르면 모든 방사선에 의한 피폭 가운데 우주에서 오는 방사선은 전체의 10% 가량이라고 하며,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할수록 피폭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자연 방사선은 새집증후군의 한 물질로도 잘 알려진 라돈이다. 이는 폐암의 한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을 정도로 그 위험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흙 속의 우라늄 함량이 높은 지역이나, 동굴 또는 주택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그 농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자연 방사선 외에 사람들이 만들어 낸 방사선도 있다. 방사선사진촬영이 대표적인 예이며, 흔히 시티(CT)라고 부르는 컴퓨터단층촬영장치에서는 방사선 분출량이 매우 큰 편이다. 먼저 방사선사진촬영의 경우 촬영 방법 및 위치, 장비나 필름, 의료진의 숙련도 등에 따라 피폭량에 차이가 있지만 가슴 쪽에 단순 방사선 촬영을 하면 피폭량이 0.05밀리시버트 정도 된다고 한다.


위장 쪽의 방사선 촬영은 0.6밀리시버트 정도인데, 이는 보통 일반인이 1년 동안 자연에서 쬐는 방사선량인 시간당 평균 2.4밀리시버트에 견줘 보면 훨씬 낮은 수치다. 보통 검사로는 그다지 문제는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시티는 다르다. 한번 촬영을 하면 6.9~8밀리시버트 정도 된다고 한다. 이는 상당히 높은 양인데, 이 때문에 시티는 너무 자주 찍지 말아야 한다는 권고가 나온다.


미국의 경우 시티는 방사선 피폭량이 높기 때문에 이를 지나치게 자주 찍으면 암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주의까지 나온 바 있다. 암 등 여러 질병의 진단을 위해서는 매우 유용한 도구가 바로 시티지만, 너무 자주 찍으면 오히려 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음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김양중/ 한겨레신문 의료전문기자 

  

로그인없이 가능한 손가락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