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인간의 선한 본성은 어떻게 지킬까

 

 

 

 

 

     맹자(BC 372?~BC 289?)는 인의(仁義)가 바탕이 되는 왕도정치를 주장한 중국 춘추전국시대 유학자이자 사상가다.

     이웃 국가를 정벌하는 힘은 칼이 아닌 덕(德)에서 나온다고 군주들에게 호소한 이상주의자이기도 하다. 덕이 부족한

     정벌엔 반드시 막강한 군사력을 요구하지만 덕으로 복종시킬 땐 강대국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인간은 덕에 끌려

     야만 마음으로 복종한다는 얘기다.

  

              

             

 

 

 

德과 善 … 맹자 사상의 두 줄기

 

덕(德)과 선(善)은 맹자 사상에 깔린 큰 줄기다. 특히 어짐과 덕스러움은 군주가 갖춰야 할 필수 덕목이다. 힘으로 세상을 다스리는 패도(覇道)정치보다 인과 덕으로 백성을 돌보는 왕도(王道)정치를 펴라고 설파했지만 무력이 수시로 권력지형을 바꾸던 당대에 그의 호소는 때로 공허한 메아리였다. 하지만 맹자의 덕(德)은 마키아벨리아의 술(術)과 대조를 이루며 동서양 통치술의 양대 줄기를 형성했다.

 

선은 맹자가 인간을 보는 따스한 시선이다. 그의 성선설(性善說)엔 인간이 본성만 잘 유지하면 덕이 넘치고, 법과 규율이 필요없는 세상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이 스며있다. 남의 불행을 보고 불쌍히 여기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자기의 잘못을 부끄러워하고 악을 미워하는 수오지심(羞惡之心), 겸손하고 양보하는 사양지심(辭讓之心), 옳고 그른 것을 분별하는 시비지심(是非之心), 즉 맹자의 사단설(四端說)은  인간의 품성이 근본적으로 인·의·예·지가 바탕이 되고 이런 천성이 어우러져 덕을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맹자에 따르면 인간의 출발점은 타고난 본성을 지키려는 노력, 즉 선이다. 선이 몸에 쌓이면 믿음(信)이 생겨나고, 믿음이 축적되면 내면의 미(美)가 커진다. 미의 축적은 위대함, 위대함의 축적은 거룩함, 거룩함의 축적은 숭고함, 숭고함의 축적은 신묘함이다. 결국 인간이 위대해지고 거룩해지고 숭고해지려면 선이라는 인간의 본성을 잃어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넘치는 욕심 … 선을 덮는 독소

 

하지만 본성이 선한 사람들이 꾸려가는 세상에 악이 넘쳐나는 이유는 뭘까. 맹자는 인간의 천성이 선하다는 것은 덕이 넘쳐나는 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단초, 즉 실마리가 될뿐이라고 설파한다. 실마리는 잘 풀리면 해결의 열쇠가 되지만, 꼬이면 사물의 이치가 더 얽히고설키는 법이다. 맹자는 인간의 착한 본성을 가리는 것은 욕심이라고 지적한다. 눈 입 귀 코 등 인간의 감각기관으로만 바깥 세상을 받아들이면 욕심이 커지고, 그 욕심이 정도를 넘어서면 착한 본성을 가리고 악이 싹을 틔운다는 것이다. 논리를 뒤집으면 말초적인 감각으로만 외부를 받아들이지 말고 명상과 사색, 즉 이성으로 사물을 접해야 선한 본성이 악과 싸우는 힘이 커진다는 얘기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의 저자 스티븐 코비는 ‘성숙’을 용기와 배려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용기는 주체적인 삶을 의미하고, 배려는 더불어 사는 삶을 뜻한다. 삶을 적극적으로 설계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고 혁신하고 도전하는 것은 용기에 가깝고, 양보하고 재능을 기부하고 봉사하는 삶은 배려에 가깝다. 따라서 ‘나이값을 한다’ ‘성숙하다’는 것은 용기와 배려에서 균형을 잘 잡는 것이라는 얘기다. 욕심은 배려의 대칭점에 있다. 욕심이 커질수록 배려와는 거리가 멀어진다.   

 

 

 

자라는 악의 뿌리 … 본성 회복으로 뽑아야

 

맹자의 성선설은 인간 모두에 적용되는 심성의 공통분모다. 종류가 같으면 본성도 같다는 것이 맹자의 믿음이다. 짚신을 삼는 사람에게 모르는 사람의 짚신을 만들어 달라하면 크기에 차이는 있어도 삼태기만하게 만들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인간의 본성도 개인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어도 근본적으로 선하다는 얘기다. 맹자의 믿음대로라면 세상은 법과 규율이 없어도 덕과 선이 넘쳐나야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현실의 삶은 척박하다. 선보다는 악이, 합리보다는 감정이, 토론보다는 독단이 득세하는 뉴스가 연일 쏟아진다. 성선설을 주장한 맹자보다 성악설을 설파한 순자쪽으로 세상의 중심축이 기울어간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2500년전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는 화두로 세상에 덕이라는 빛을 던졌지만 세상은 여전히 악이 득실대고 어둠이 수시로 빛을 가린다. 누구는 선을 지키기 위해 악과 싸우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악에 물들어간다. 맹자가 본성을 가리는 바이러스로 욕심을 지목했지만 더 소유하려는 욕심, 더 높아지려는  욕심, 더 인정받으려는 욕심은 오늘도 만족을 모른다. 하지만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이 영장다움을 찾으려면 무엇보다 맹자가 믿고 싶었던 인간의 착한 본성이 회복돼야한다. 과도한 욕심이 선한 본성을 가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이 시대를 사는 모두는 한번 곰곰히 뒤돌아볼 일이다.

 

글 /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 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

 

'건강 > 맞춤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과 기억상실증  (0) 2013.12.02
100세 시대 뼈와 관절을 지켜라  (0) 2013.11.27
사회생활의 덫, 뒷담화  (4) 2013.11.25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정신건강  (4) 2013.11.19
왜 이렇게 아픈가요? 대상포진  (2) 2013.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