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통/살아가는 이야기

솔직, 담담, 그리고 글쓰기

 

 

 

 

문학, 영화, 드라마의 가장 흔한 소재는 뭘까. 섹스와 불륜이 아닐까 싶다. 그 본능이 인간 내면에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아니라고 하면 거짓말일 터. 사람들은 이를 비판하면서도 더 가까이 다가서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더욱 더 자극적인 것을 원한다. 아침 드라마나 주말 가정 드라마에서도 삼각관계 등 불륜이 판친다. 낯 뜨거울 때가 많다.

 

페이스북과 개인 블로그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거의 날마다 같은 분량의 짧은 글을 쓴다. 이름하며 ‘掌篇’이라고 할까. 손바닥만한 크기이다. 긴 글은 왜 쓰지 않느냐고 의아해하는 분들도 있다. 당분간 장편을 계속 쓸 참이다. ‘장편’이라는 하나의 장르를 개척하고 싶은 심정도 솔직히 있다.

 

지금까지 2000여편의 장편을 쓰면서 두 번 정도 섹스와 불륜을 소재로 삼았다. 그때마다 조회수 등 기록을 갈아치웠다. 얼마 전 ‘등산과 불륜’이라는 글을 올렸다. 이 글도 하루 3200여명이나 봤다. 아들녀석이 넌지시 물었다. “아빠는 야한 글 못써. 그것 봐 사람들이 많이 보잖아.” 관심을 끌기 위해서 ‘야한 작가’가 되어야 할까. 그것은 자신이 없다. ‘야한 남자’가 아니라서 그렇다. 이제껏 써온대로 독자들의 평가를 받을 생각이다.

 

“일상에서 누구나 겪고 있는 일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인생은 살맛이 납니다. 오늘이 있기에 내일도 있습니다. 절대로 꿈을 버리면 안 됩니다. 모두 희망을 가집시다.” 내 블로그 첫 장에 나와 있는 소개의 글이다. 실제로 내가 쓰는 글에는 거의 모두 주인공이 등장한다. 대통령부터 가장 밑바닥 인생까지. 물론 실명은 쓰지 않는다. 행여 누가 되지 않기 위해서다.

 

 

 

사람만큼 다양한 소재도 드물다. 각자 살아온 인생이 있기에 그렇다. 소설의 주인공은 100% 인간이다. 그러나 사람마다 가치관이 달라 풍기는 냄새는 다르다. 지극히 인간적인 향기가 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비인간적인 사람도 있다. 글의 주인공은 향기나는 사람들이 단연 많다. 비인간적인 사람도 등장하나 눈을 크게 뜨고 봐야 겨우 눈에 띌 정도다.

 

“어 이것, 내 얘기잖아.” 내 책을 읽은 지인들에게서 심심찮게 듣는다. “죄송합니다. 양해를 구하지 않고 썼습니다.” 미담기사가 주종을 이루는 만큼 얼굴을 붉히는 일은 없다. “내 얘기도 좀 써줘.” 또 다른 부탁을 받는다. 난감할 때가 많다. 내가 그분들에게서 조그만 감동을 받을 때 글로 옮긴다. 감동을 지어낼 순 없다. 그동안 추구해온 문학적 관점과 다르기 때문이다.

 

내 페이스북은 일기장이나 마찬가지다. 하루 일어났던 일을 중심으로 글을 쓴다. 그것들을 모아 掌篇에세이집을 9권 냈다. 말하자면 일기문학이라고 할까. 일기가 문학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을 분들도 많을 게다. 그렇다면 나도 작가란 말이냐고 할 지 모른다. 누구나 쓸 수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 문학을 거창하게 볼 필요는 없다. 일기도 감동이 있고, 메시지가 있으면 문학으로 손색이 없다고 본다. 다시말해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거듭 말하지만 문학은 작가의 전유물이 아니다. 내가 격식을 파괴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더군다나 아주 짧은 글이다. 그것을 가지고 문학이라고 하니 콧방귀 낄 법도 하다. 하지만 격려해 주는 분들도 적지 않다. 읽기 쉽고 편하다고 한다.내가 노리는 바다.

 

 

 

 

문학이 어려울 필요는 없다. 그런데도 어렵게 써야 글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유식한 체 하는 것이다. 나는 어려운 글을 쓰지 못한다. 가급적 순수 우리 말을 쓰려고 노력하고, 인용도 안 한다. 앞으로도 바뀌지 않을 터. 내 스스로는 '오풍연 문학'이라고 한다. 평가받을 날이 올까.

 

"뭔가 꾸미지 않은 솔직함 (?). 저만 느끼는 것 일지도 모르지만 편안하게 다가왔어요♥^^. 일상에서 느끼는 일들을 그렇게 담담하게 표현하시는 점도 좋구요♥. 108배는 한번 해 보고 싶다는 생각도^^. 한자와 국어사전 공부도요." 얼굴도 모르는 분이 트위터로 메일을 보내왔다. 사진을 볼 때 여자분이라는 사실만 알고 있다.

 

내 여섯 번째 에세이집 '천천히 걷는 자의 행복'을 읽고 보낸 듯 했다. 그 성의가 고맙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답장을 보냈다. "책을 보셨군요. 감사드립니다." 바로 답 메일이 왔다. "제가 더 감사드리지요~♥♥♥^^. 비는 이렇게 오지만 내리는 빗방울 갯수가 모두 행복의 갯수만큼 되는 이쁜 하루 되세요♥♥♥." 님의 문학적 소양이 나보다 훨씬 뛰어난 것 같다.

 

나는 예쁜 글을 쓸 줄 모른다. 그렇게 하려고 노력도 하지 않는다는 표현이 가장 정확할 것이다. 있는 그대로를 옮기기에 그렇다. 님이 말한대로 주제도 일상이다. 보통 사람끼리 주고 받는 소소한 삶을 노래한다고 할까. 소재에 목말라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님과 같은 분이 1명만 있어도 글을 계속 쓸 참이다. 이를테면 '오풍연 스타일로'.

 

 

글 / 파이낸셜뉴스 논설위원 오풍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