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6일 개봉한 황정민 주연의 영화 ‘히말라야’가 천만 관객의 흥행을 이어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영화 ‘히말라야’는 에베레스트 등반 도중 사망한 고(故) 박무택 대원의 시신을 거두기 위해 목숨을 건 여정을 떠나는 산악인 엄홍길과 휴먼원정대의 실화를 스크린으로 옮긴 작품이다. 배우 황정민이 히말라야에서 생을 마감한 동료를 찾기 위해 원정에 나서는 엄홍길 대장으로 분했고, 배우 정우는 에베레스트 하산 도중 조난을 당해 목숨을 잃은 고 박무택 대원 역할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사진 출처: 네이버 영화 '히말라야' 포스터>
앞서 산악인 박무택(당시 35세) 씨는 2004년 5월 히말라야 등정 후 하산하는 과정에서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났으며, 박 씨를 부축해 산을 내려오던 장민(당시 26세) 씨도 함께 유명을 달리했다. 2003년에는 산악인 백준호(당시 37세) 씨가 히말라야 등반에 나섰다가 눈사태로 실종된 바 있다.
이에 엄홍길 대장은 후배들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2005년 휴먼원정대를 꾸렸으며, 원정 76일 만에 박무택 씨의 시신을 수습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나머지 2명의 시신은 끝내 찾지 못했다.
한편 영화에서 고 박무택 대원 역을 맡은 배우 정우는 촬영 내내 고산병에 시달렸다고 고백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언론 인터뷰에서 “제일 힘든 건 두통이었다. 제대로 자지도 못하고 먹지도 못했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영화 ‘히말라야’는 해발 4500m 히말라야 고지대에서 촬영이 진행돼 출연 배우들 대부분이 고산병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 ‘히말라야’ 개봉에 발맞춰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고산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최근 들어 국내는 물론 해외 명산을 찾아 고지대 트레킹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고산병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올해 4월 네팔 히말라야 등반에 나섰던 50대 한국인 여성이 고산병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발 6600m 높이의 메라 피크 등반에 도전했던 이 여성은 해발 4800m 지점에서 호흡곤란 등을 호소했고, 헬기로 병원에 옮겨졌지만 끝내 목숨을 잃었다. 히말라야 메라 피크는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가 높은 트레킹 코스 중 하나로, 우리나라 사람들도 자주 찾는 곳이다.
고산병(high-altitude medical problem)은 낮은 지대에서 해발 2000m 이상의 고지대로 올라갈 때 산소가 줄면서 나타나는 신체의 급성반응이다.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 중 산소농도가 점차 떨어져 혈액 속에 녹아든 산소량이 줄게 되고, 이로 인해 저산소증이 발생하게 된다. 저산소증에 대한 순응력은 사람마다 다른데, 일반적으로 10명 중 1~2명꼴로 심각한 고산병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산병은 산에 오른 지 6시간에서 12시간 사이에 주로 발생한다. 저산소증으로 인해 머리가 아프고, 토할 것 같고, 걷는 것이 유난히 힘들고, 어지럽고, 식욕이 떨어지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 더 심한 경우에는 시력장애와 이명(耳鳴), 호흡 곤란, 집중력 저하, 오한, 안면홍조, 불면증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이는 급성 산악병(Acute Mountain Sickness, AMS)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산에 오르는 속도를 낮춰 운동량을 줄이고 의도적인 심호흡으로 혈중 산소 농도를 높이면 증세가 완화될 수 있다. 하지만 충분히 휴식을 취했음에도 증상이 계속 악화될 경우에는 고산 뇌수종이나 폐수종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사진 출처: 네이버 영화 '히말라야' 스틸컷>
고산 뇌부종(High Altitude Cerebral Edema, HACE)은 고산병이 최고조에 달한 상태로, 뇌 조직에 물이 고여 뇌압이 높아지는 증상을 말한다. 이 경우 극심한 두통과 운동 장애, 미세출혈과 의식저하 등이 나타나며, 12시간 내에 치료하지 않으면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산을 오를수록 마른기침이 쉴 새 없이 나오고,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고, 두통과 피로가 극심해진다면 고산 폐부종(High Altitude Pulmnary Edema, HAPE)일 가능성이 높다. 고산 폐부종은 폐로 가는 혈관이 갑자기 수축되면서 폐에 체액이 과도하게 쌓여 호흡이 곤란해지는 질환이다. 증상이 심해지면 피가 섞인 가래(각혈)가 나오거나 숨을 쉴 때마다 쌕쌕거리는 소리(천명)가 나고, 피부나 입술 등이 푸른색으로 변하는 청색증이나 의식저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고산병은 저산소증에 의한 증상이므로 산소량이 많은 저지대로 이동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대개 1000m만 내려와도 대부분의 증상이 사라진다. 만약 무리해서 등산을 계속하다가 고산 뇌부종이나 폐부종으로 진행될 경우 산속에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니 이상 증세가 나타날 때는 그 즉시 하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진 출처: 네이버 영화 '히말라야' 스틸컷>
현재까지 고산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전문 의약품은 없는 상태다. 다만 전문 산악인의 경우 고산 적응을 위해 등반 2~3일 전에 이뇨제나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하기도 한다. 히말라야구조협회 의료 진료실은 이뇨제인 다이아목스를 아침과 저녁에 125㎎씩 복용하도록 추천하고 있다.
저산소증에 대한 순응력이 높을수록 고산병에 걸릴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급성 고산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규칙적인 운동으로 체력과 폐활량을 늘이고, 하루 300m 이하로 산을 올라 산소 부족에 대한 적응력을 서서히 높여가는 것이 좋다. 또한 2500m 이상을 오를 경우에는 도착과 동시에 하루나 이틀 정도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산을 오르기 전과 도중에 충분히 물을 섭취하는 것도 고산병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다.
글/ 권지희 여행작가
'문화 > TV&영화 속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응답하라 1988’ 속, 두뇌 스포츠 ‘바둑 (0) | 2016.02.02 |
---|---|
초인적인 기억력, 드라마 ‘리멤버-아들의 전쟁’ 속 과잉기억증후군 (0) | 2015.12.30 |
드라마 ‘오 마이 비너스’ 갑상선 질환, 증상과 예방법 (0) | 2015.12.09 |
영화 '월드워Z'로 읽는 메르스 사태 (0) | 2015.10.23 |
미션임파서블: 본인확인기술의 미래 (0) | 201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