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통/살아가는 이야기

웰컴 2016!…행복한 한 해를 꿈꾸자

 

 

 

 

새로운 건 늘 설렘을 안고 온다. 새로움은 일상이 되고, 일상에 익숙해지면 설렘의 농도는 옅여진다. 그게 세상 이치다. 설령 그렇다해도 새로움은 언제나 설렘으로 맞을 일이다. 흐르는 세월은 두려움보다 기대로, 낯선 사람은 불편함보다 반가움으로, 새로운 지식은 고정관념보다 신선함으로 맞자. 삶은 생각대로 펼쳐진다. 생각이 바로 인생의 지도다. 2016년이 밝아온다. 기대반, 불안반으로 다가오는 새해다. 기대엔 언제나 불안이 섞여있다. 하지만 불안은 훌훌 털고, 설렘으로 새해를 맞이하자. 그리고 행복한 한 해를 펼쳐보자.

 

 

 

 


새해엔 더 건강하게 살자. 건강할 때 건강을 지키자. 모든 건 결단이 필요하다. 건강, 일, 가족, 관계 모든 게 마찬가지다. 스스로 결단해야 마음과 몸이 움직인다. 새해엔 ‘건강한 습관’ 하나쯤은 꼭 익혀보자. 골고루 먹고, 규칙적으로 먹고, 천천히 먹고, 적당히 먹자. 몸을 움직이자. 가까운 곳은 운전대를 잡지말고 걸어보자. 중년의 건강은 근력이 필수다. 걷는 건 돈 안드는 보약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간단한 체조로 하루를 시작하자. 이왕이면 TV는 운동하면서 보자. 세상을 긍정하자. 스트레스의 천적은 긍정이다. 다시 강조하지만 세상은 생각대로 된다. 항상 명심하자. 건강을 지키는 건 ‘한가한 사치’가 아니다. 그건 삶의 으뜸가는 지혜이자 철학이다.

 

 

 

 


새해엔 좀 단순해져보자. 뒤엉킨 일엔 우선순위를 매기자. 그럼 일의 효율이 놀랄 만큼 높아질 것이다. 지난 한 해 책상이 지저분했다면 새해엔 좀 가지런해보자. 수년째 입지 않은 옷들이 답답한 옷장에서 숨을 헐떡이고 있다면 한번쯤 시간을 내어 숨쉴 공간을 터주자. 찬장도 마찬가지다. 시각은 늘 생각을 좌우한다. 시각이 복잡하면 생각도 너저분해진다. 우린 모두 바쁘게 산다. 하지만 중요한 건 바쁘다는 그 자체가 아닌, 뭘로 바쁘냐는 것이다. “바쁘게 움직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개미들도 늘 바쁘지 않은가. 정말 중요한 것은 무엇 때문에 바삐 움직이는가이다.” 미국 사상가 헨리 데이비드의 말이다. 칸트의 지적처럼 중요한 일이 덜 중요한 일에 밀려나지 않게하자.

 

 

 

 


새해엔 더 행복해지자. 행복은 명사다. 하지만 실제론 동사이자, 늘 과정인 단어다. 당신이 마음을 어디로 끌고가느냐가 행복을 좌우한다. 덜 비교하고 살아보자. 내 이름으로, 우리 가족이란 이름으로 당당히 살아보자. 그럼 적어도 비교에서 오는 불행감은 적어진다. 다름을 인정하자. ‘다름’을 ‘틀림’이라고 고집해 상처를 주고, 상처를 입는 어리석음을 줄이자. 어느 역사에서든, 어느 나라에서든 무식한 자의 목소리는 늘 컸다. 우물안 생각에 갇혀 세상 넓은 줄 모른 탓이다. 스스로를 낮추고 비워서 다름을 오롯이 마음으로 받아보자. 그럼 마음이 한결 가벼워진다. 누군가 말했다. “천사가 하늘을 나는 건 날개 때문이 아니라 마음이 가볍기 때문”이라고. 사실 행복이란게 별거 아니다. 마음이 가벼우면 그게 바로 행복이다.

 

 

 

 


새해엔 더 배우며 살자. 다문궐의(多聞闕疑), 다견궐태(多見闕殆). 공자는 제자 자공이 ‘관직자의 처세’를 묻자 답변을 이 여덟 글자로 압축했다. 가능한 한 많이 듣되 의구심이 드는 것은 판단을 보류하고, 가능한 한 많이 보되 미심쩍은 건 일단 생각을 미뤄두라는 뜻이다. 다문(多聞)과 다견(多見)은 갈수록 좁아지는 취업문을 여는 열쇠이기도 하다. 앎은 통찰의 씨앗이다. 새해엔 책과 더 친해지자. 책은 세상을 넓게 보는 망원경, 사물을 깊게 보는 현미경이다. 가장 싸면서도 값진 삶의 지렛대다. 모든 게 너무 빠르게 변하는 시대다. ‘평생학습’은 이 시대 생존의 키워드다. 배움만한 재능은 없다. 남보다 앞서가고, 일의 효율을 높이고, 지성인으로 사는 덴 책만한 벗이 없다. 지식은 어느 시대나 최고의 밑천이다. 지성의 밑천이자, 비즈니스의 밑천이다.

 

 

 

 


새해엔 더 격(格)있게 살자. 격은 스스로를 바로 세우는 일이다. 바로 세운다는 건 얄팎한 지식으로 독선의 울타리에 스스로를 가두지 않고, 조그마한 부(富)에 취해 없는 자를 멸시하지 않고, 교언영색(巧言令色)으로 타인을 속이지 않는 일이다. 새해엔 내면과 외면의 높이를 더 맞춰보자. 더 포근한 눈으로 이웃을 보고, 더 따스한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자. 백 번의 다짐보다 조그마한 한 번을 실천하자. 욕심에 찌들려 밤톨만한 영혼으로 살지말자. 비워서 채우는 오묘한 마음의 이치도 깨우쳐보자. 스스로가 근사해지는, ‘명품 아우라’를 걸쳐보자.

 

 

 

 


행복은 늘 긍정에 둥지를 튼다. 새해엔 더 긍정하며 살아보자. 그럼 삶이 훨씬 행복해진다.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의 ≪원씽≫(원제:The One Thing·비즈니스북스)에 나오는 이야기 중 하나로 글을 마무리한다(편의상 원문을 좀 짧게 요약했다). 체로키 인디언 장로가 손자에게 인간의 마음에서 왜 갈등이 일어나는지를 들려줬다. 장로가 말했다. “그건 우리 마음 속에 두 마리 늑대가 살고 있기 때문이지. 한 마리는 두려움이라는 늑대야. 그 늑대는 불안, 공포, 망설임 등을 데리고 다니지. 또 한 마리는 믿음이라는 늑대야. 그 늑대는 열정, 확신, 행동 등을 데리고 다닌단다.” 듣고 있던 손자가 물었다. “그럼 어느 늑대가 이겨요?” 장로가 답했다. “그건, 네가 먹이를 주는 늑대지.”

 

 

 글 / 신동열 한국경제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