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카 바이러스(Zika virus)의 확산 추세가 예사롭지 않다. 브라질 등 남미를 넘어 미국ㆍ중국에서도 환자가 발생했다. 감염돼도 대부분의 사람은 가벼운 독감 증상을 보이는 데 그치지만 대중의 공포심은 이미 메르스ㆍ에볼라 수준이다. 특히 임산부ㆍ가임기 여성에겐 두려움의 대상이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아이가 소두증(小頭症)이란 선천성 기형을 갖고 태어날 수 있다고 알려져서다. 하지만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의 관계는 아직 불확실하다.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될 뿐 확증은 없다.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든 임신부가 소두증 아이를 출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지카 바이러스가 물을 통해서 감염될 수 있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물은 안심하고 마셔도 된다. 모기에 물리지 않아도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은 존재한다. 사람과 사람간 일상적인 접촉으로는 감염되지 않지만 감염된 사람 혈액을 수혈 받거나 성적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 가능성이 있다. 특히 임신부의 경우 지카 바이러스에 걸린 남성과의 성 접촉 뒤 소두증이 있는 아이를 낳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하지만 성적 접촉을 통한 지카 바이러스 감염은 아직 논란 중이다.
증상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 지 3∼7일 후부터 시작된다. 발열ㆍ발진ㆍ관절통ㆍ눈 충혈이 흔한 증상이고 근육통ㆍ두통ㆍ안구통ㆍ구토가 동반될 수 있다. 증상은 대부분 경미하고 감염자가 숨진 사례는 아직 없다.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발생국을 최근 2주일 이내 여행한 사람 중 열이 37.5도 이상 오르고 관절통ㆍ두통 등이 있으면 감염 의심자로 분류돼 방역당국의 추적ㆍ관찰을 받게 된다.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리면 최대 2주 안에 증상이 나타난다. 모기에 물린지 2주가량 시간이 지나면 안심해도 된다. 지카 바이러스의 확산에 제동을 걸 예방 백신은 아직 없다. ‘사노피아벤티스’ 등 일부 제약사가 지카 백신 개발 프로젝트를 선언한 정도다.그렇다면 속수무책으로 당해야 하는 것일까? 꼭 그렇진 않다. 바이러스의 매개체인 모기에 물리지 않으면 만사 OK다. 지카 바이러스는 대개 이집트 숲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내에 서식하는 흰줄 숲모기도 옮길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지카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유행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한 것으로 예측된다. 지카 바이러스는 뎅기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뎅기열 바이러스)와 ‘사촌’간이다. 지카 바이러스를 옮기는 것으로 알려진 이집트 숲모기에 의해 뎅기열도 옮겨지지만 우리나라에서 사람 간 뎅기열이 전파 사례가 없었다는 것이 국내 유행 가능성을 아주 낮게 점치는 근거다.
미국 질병관리센터(CDC)는 모기가 출몰하는 저녁이나 새벽 무렵에 야외 활동이 불가피하다면 디에틸톨루아미드(DEET)ㆍ이카리딘ㆍ레몬 유칼립투스 오일이 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할 것을 권장했다. 외출할 때 긴소매ㆍ긴바지를 입고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며 잘 때 모기장을 치면 모기의 ‘공습’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임산부라면 지카 바이러스 발생국으로의 여행은 출산 이후로 미루는 것이 좋다. 허가된 모기기피제는 임신부에게도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제품별로 사용법ㆍ주의사항이 다르므로 라벨을 잘 확인해야 한다.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면 충분한 휴식과 수분 보충이 필요하다. 완치 뒤에도 최소 1개월은 헌혈해선 안 된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데 도움을 주는 허브도 있다. 수정과의 주재료인 시나몬(계피)은 모기의 유충을 죽인다. 야외활동을 할 때 로션ㆍ선크림에 계피 오일 몇 방울을 떨어뜨리면 모기가 접근하지 못한다. 주머니에 계피를 담아 실내에 걸어두는 것도 방법이다.
마늘ㆍ양파는 모기나 벌레를 쫓는 데 뿐 아니라 물린 후의 증상 완화에도 이롭다. ‘드라큘라’가 가장 두려워한다는 마늘을 ‘피를 빠는’ 모기도 ‘몸서리치게’ 싫어한다. 마늘 즙을 창틀ㆍ방문ㆍ침대 모서리에 바르면 모기가 접근하지 못한다. 마늘엔 황(黃)이 함유된 매운맛 성분, 즉 알리신이 들어 있는 데 모기가 황 냄새를 극도로 꺼리기 때문이다. 이탈리아 연구팀은 피부에 마늘 기름을 바르면 벌레에 물리지 않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이를 뒷받침했다. 황 성분은 양파에도 들어 있다. 벌레에 물린 부위에 생 양파를 바르면 통증과 염증이 가라앉는다. 특히 껍질이 염증 완화에 효과적이다. 쿼세틴이란 알레르기 예방 성분이 풍부해서다.
오렌지와 레몬 껍질을 바싹 말려 불을 붙이면 껍질이 타면서 껍질 속 살충성분이 천연 모기향 역할을 한다. 우리 선조는 모기가 극성일 때 대신 쑥을 태웠다. 쑥뜸을 하듯이 쑥에 불을 붙이면 쑥 연기가 모기향처럼 작용한다.
로즈제라늄(구문초)ㆍ애플제라늄ㆍ계피ㆍ라벤더 향은 우리에겐 향기이지만 모기나 벌레에겐 혐오스런 냄새다. 거실ㆍ창틀에 라벤더 화분을 놓거나 실내에 라벤더오일을 몇 방울 뿌리면 벌레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구문초는 ‘모기 쫓는 풀’로 유명하다. 모기향 매트의 재료로 사용되는 시트로넬라 성분이 구문초에 다량 함유돼 있다. 라벤더는 고대 로마시대부터 방충제로 써왔다. 다 쓴 전자모기향 매트에 라벤더오일을 1∼2방울 떨어뜨려 재사용하면 라벤더 향이 나는 허브 모기향이 된다.
페퍼민트ㆍ스피어민트 등 민트류 허브엔 벌레 쫓는 성분 피페리톤이 함유돼 있다. 페퍼민트는 피부를 시원하게 하고 입안을 상큼하게 한다. 벌레에 물렸을 때도 비슷한 효과를 발휘한다. 물린 부위에 페퍼민트 오일 몇 방울을 떨어뜨리면 환부(患部)의 혈액 흐름이 빨라지고 벌레의 독소가 씻겨 나간다. 쿨링(cooling) 효과도 있어 통증과 가려움증을 덜어준다. 벌레 물린 부위에 페퍼민트 성분이 포함된 치약을 조금 짜서 발라주는 것도 시도해 볼만하다.
베트남ㆍ태국 요리에 널리 쓰이는 레몬그라스(lemongrass)도 벌레를 쫓는다.
글 / 박태균 식품의약칼럼니스트
'건강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젊어지는 비결 찾기, 세계인의 동안 비법 ‘음식+운동’ (0) | 2016.03.07 |
---|---|
스펙 준비보다는 내면을 가꿔야 하는 이유 (0) | 2016.03.04 |
고향을 사랑하는 이유, 고향은 마음의 안식처 (0) | 2016.02.23 |
질병과 멋진 승부, 질병은 세력이다 (0) | 2016.02.19 |
백신 효과 있나·없나, 세계는 지금 백신논란 (1) | 2016.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