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통/살아가는 이야기

바다가 되는 이유, 태산이 되는 이치





도가(道家)의 대가 노자는 자연의 이치를 가슴에 오롯이 담으라 했다. 자연의 이치를 터득하면 영혼이 맑아지고, 천하도 거느릴 수 있다고 했다. 도가의 도(道)는 마음을 다스리는 수양의 길, 천하를 다스리는 치세(治世)의 길이다. 쉬운 듯하면서도 어렵고, 어려운 듯하면서도 쉬운 게 도라는 길이다. 도가의 무위(無爲)는 한가하게 산천만 거니는 유유자적한 삶이 아니다. 그건 영혼의 티끌을 비우는 수양의 과정이다. 채우기도 어렵지만 비우기는 더 어렵다. 비움에 ‘도(道)’가 붙어다니는 이유다. 완전한 비움의 경지, 그게 바로 도의 경지다.




“도(道)에 가장 가까운 건 물이다(上善若水).”
노자는 만물 중 물이 도에 가장 가깝다고 했다. 그는 누구도 싫어하는 ‘낮고 더러운 곳’으로 흐르는 물에서 대도(大道)를 봤다. 고정된 자기 형상이 없으면서도, 억지로 길을 내지 않으면서도 만물을 풍요롭고 번성케 하는 물에서 스스로 낮춰서 높아지는 오묘한 자연의 이치를 봤다. 자신을 먼저 채운뒤 흐르는 겸허함을, 친소(親疎)를 가리지 않는 포용성을, 유약한 듯하면서 때론 거대한 바위도 밀쳐내는 엄청난 내공을 봤다.





물은 만물을 두루 적신다. 하지만 먼저 자신부터 채운 뒤 흐른다. 그 겸허함이 만물을 이롭게 한다. 물은 자기 형상을 고집하지 않는다. 처마의 낙숫물이 스스로가 작고 초라하다고 한탄하지 않고, 대해(大海)가 크고 넓다고 목에 힘을 주지 않는다. 시냇물로, 샘물로, 때론 강물로 대지를 넉넉히 적실 뿐이다. ‘나를 닮으라’고 강요하지도, 앞물을 앞서려고 애쓰지도 않는다. 낮은 곳으로 흐르기에 모든 물을 받아 바다가 된다. 물은 스스로 낮춰 바다가 되는 이치를 안다. 태산은 곧은 나무 굽은 나무를 가리지 않고, 바위와 티끌을 차별하지 않는다. 그 아우름으로 산은 절로 태산이 된다. 다 받아주니 태산(太山)이다. 산은 크게 품어 높아지는 이치를 안다.




물은 만물을 이루고도 공(功)을 드러내지 않는다. ‘나를 좀 봐달라’고 아우성치지 않는다. 적시면 그뿐,  다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왼손이 시작하기도 전에 오른 손이 먼저 아는 ‘인간의 손’을 부끄럽게 만든다. 봄에 만물을 싹틔운 물은 그 싹에 걸터 앉아 ‘내 공이요’라며 으스대지 않는다. 다만 여름으로 슬며시 옮겨갈 뿐이다. 노자는 “자연은 만물을 낳고도 소유하려 하지 않고, 만물을 위하되 ‘나만 믿으라’ 하지 않고, 만물을 길러주되 ‘내 뜻’대로 주재하려고 하지 않는다”고 했다. 이루고도 드러내지 않아야 제대로 이룬 것이다. 드러냄은 인정 받고자 함이다. 그 조급함이 상처를 부른다.





세상엔 공(功)으로 되레 해를 입는 어리석음이 의외로 많다. 옛말에도 ‘곧은 나무가 먼저 베이고, 맛좋은 샘이 일찍 마른다’고 했다. 경솔하면 근본을 잃기 쉽다. 작은 공을 부풀리지 마라. 그럼 그 작은 공적이 더 작아진다. 노자는 “성과를 이루고도 뽐내지 말고, 성과를 이루고도 으스대지 말며, 성과를 이루고도 교만하게 굴지 마라”고 했다. 세상의 평판에 목을 빼지 마라. 이루면 이미 그것으로 족하다. 작든, 크든 그게 당신이다.




삶은 맑고 좀 투박한 게 좋다. 그런 삶은 스스로에게 은혜가 되고, 타인에게도 덕이 된다. 빛이 너무 강하면 눈이 부시게 마련이다. 그래서 노자는 “곧아도 방자하지 말고, 빛나도 눈부시지 마라(直而不肆 光而不耀)”고 했다. 이익에만 집착하고, 명성에만 매달리면 영혼은 늘 요동을 친다. 외물(外物)은 언제나 마음을 휘젓는다. 인간은 ‘외물적 동물’이다. 보이는 것에 울고 웃는다. 현대인에게 최대 건강의 적이라는 스트레스도 대부분 외물에서 온다. 남보다 낮아서 스트레스고, 남보다 작아서 스트레스고, 남보다 덜 빛나서 스트레스다. 당신의 무게를 늘 ‘남의 저울’로 잰다.





물은 청탁(淸濁)을 가리지 않는다. 한데 스스로 고요함에 머물러 탁함을 청아함으로 정화한다. 고요함에서 멀어질수록 탁함이, 스트레스가 그 틈새에 끼어든다. 고요함은 스트레스의 천적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젊은 시절 누구보다 방탕했다. 그런 그가 ‘발가벗은 속죄’ 위에 하느님을 향한 반석 같은 믿음을 세웠다. 그의 <고백론>은 애절한 죄의 고백이자, 주님을 향한 간절한 다가섬이다. 믿음을 채운 자에게나, 믿음을 비운 자에게나 그의 고백은 애잔한 울림을 준다. 특히 이 고백이 그렇다. “밖으로 나가지 마라. 그대 안으로 들어가라.”



글 / 신동열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