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추운 날씨에 말 못할 고통까지, 치질 예방과 관리






한겨울에 접어들면 유난히 괴로워지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치질 환자다. 기온이 내려가 항문의 피부나 근육, 혈관이 수축되면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해 치질 증상이 나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치질은 재발도 잦다고 알려져 있다. 수술을 했는데도 적잖은 치질 환자들이 병원을 다시 찾는다. 괴로움을 피하려면 예방과 관리가 필수다.




치질은 항문 안팎에 생기는 병을 통틀어 부르는 말이다. 항문에 고름이 생기는 농양과 치루, 항문 근처가 찢어지는 치열, 항문의 혈관이 부풀어 올라 생기는 치핵이 모두 치질의 다른 유형들이다. 이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건 치핵이다. 치핵은 항문에서 쿠션 역할을 해주는 조직이 항문 밖으로 빠져 나온 상태다.





미세한 혈관이 덩어리 형태로 모여 있는 치핵 조직은 변을 볼 때 밖으로 밀려 나왔다가 배변이 끝나면 다시 항문 안으로 들어간다. 대변이나 체액 등이 더 이상 나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수도꼭지로 치면 고무패킹과 같은 기능이다. 나이가 들면 치핵 조직을 지탱해주는 근육이나 인대가 약해진다. 그러면 항문 밖으로 나왔던 치핵 조직을 다시 안으로 잘 끌어들이지 못한다. 또 변을 볼 때 무리하게 힘을 주는 습관을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하다 보면 마찬가지로 치핵 조직이 정상적으로 항문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치핵 조직의 정맥 혈관이 찢어지고, 여기서 흘러나온 피가 딱딱하게 굳어지면 통증까지 심해질 수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추위 때문에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면 이런 증상은 더 악화한다.





다른 병들처럼 치핵 역시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는 사람이 많다. 그러다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으면 이미 많이 진행돼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때문에 평소와 달리 항문에 중압감이 있고 가렵다고 느껴진다면 일단 의사와 상의를 해볼 필요가 있다. 항문 조직의 노화가 주요 원인인 만큼 나이가 들수록 치핵 위험은 높아지지만, 체질이나 유전환경 등에 따라 개인차가 크다. 따라서 가족 중에 치핵으로 고생한 사람이 있다면 특히 예방에 평소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치핵은 병원에서 치료나 수술을 받고 난 뒤에도 재발하는 경우가 잦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대부분 생활습관이 잘못됐거나 항문 관리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술이나 치료가 말끔히 이뤄진 다음 집에서도 관리를 잘 한다면 재발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문의들은 설명한다.




치질 가운데 재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유형은 치루로 꼽힌다. 항문 안에는 변이 부드럽게 나올 수 있게 돕는 윤활액을 분비하는 샘이 있다. 이 항문샘이 세균에 감염돼 곪아서 주변 조직으로 확산되는 병이 치루다. 항문 주위에 고름이 몰리면서 농양 증상이 나타난다. 이럴 땐 농양 부위를 갈라 고름을 빼내고 염증이 시작된 부위를 확실시 제거해야 재발 가능성이 줄어든다. 다만 수술 도중 괄약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경험 많은 의사를 찾아가는 게 좋다. 항문을 조여주는 괄약근에 문제가 생기면 치루를 치료한 뒤 변실금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항문 피부가 찢어져 통증을 일으키는 치열은 가장 흔한 원인이 변비다. 변이 딱딱해져 나오면서 항문 주위에 상처를 내는 것이다. 이를 오래 방치하면 찢어진 부위에 궤양이 생기면서 항문이 좁아져 결국 만성 치열로 진행된다. 만성이나 재발 가능성을 막으려면 일단 변비부터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변이 오래 돼 단단해지면 나올 때 항문 주위에 상처가 날 뿐 아니라 변을 보는 동안 지나치게 힘을 주게 된다. 치핵 조직에 그만큼 무리가 가 항문 밖으로 심하게 빠져 나가거나 피가 과도하게 고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변이 부드러워지도록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먹고, 복근을 움직이는 운동을 자주 하는 게 좋다.





변이 너무 묽거나 변을 너무 자주 봐도 치질 위험은 높아진다. 잦은 배변은 항문 피부나 점막을 손상시켜서 치핵이 항문 밖으로 잘 빠져 나가게 만든다. 또 설사에는 위장관에서 나온 소화액이 아직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채 섞여 있어 항문을 쉽게 손상시킬 수 있다.


변을 보는 시간도 중요하다. 일반적인 배변 활동은 대개 30초를 넘기지 않는다. 변을 볼 때 신문이나 책을 들고 오랫동안 화장실에 앉아 있으면 치핵 조직이 아래로 빠지기 쉬워진다. 일단 변의가 느껴지면 참지 말고 바로 화장실로 가 아무리 길어도 3~5분 안에 변을 보고 일어서는 게 좋다. 변이 좀 덜 나왔다고 느껴져도 과도하게 힘을 주지 말고 일단 나온 다음 나중에 다시 화장실을 가는 게 낫다. 시간이 있다면 배변 후 섭씨 40도 정도의 물에 항문을 담가 좌욕으로 씻어주는 것도 치질 예방에 좋은 방법이다.





시간 한 자리에 앉아 있거나 걸어 다녀야 하는 사람들은 치질 발생 우려가 좀더 높다. 특히 차가운 곳에 오래 앉아 있는 경우엔 치핵 조직의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1, 2시간 일한 다음엔 반드시 5분 정도 다른 자세로 쉬거나 가볍게 체조를 해주길 권한다. 치질 수술이나 치료를 받았던 사람은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이 같은 항문 관리 습관을 들이는 게 더욱 중요하다.


(도움말: 박종섭 강남차병원 외과 교수, 양형규 양병원 의료원장)



글 / 임소형 한국일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