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서운 한파가 연일 이어지면서 겨울 건강 유지에 빨간 불이 켜지고 있다. 해마다 이맘때면 손이 저리거나 부어 오르거나 체온이 떨어지는 사람이 는다. 강추위가 불러오는 증상들이다. 언뜻 보면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지만, 오래 지속되거나 방치할 경우 오히려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한겨울에는 몸에서 나타나는 사소한 증상이라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우리 몸 중에서 가장 노출이 많은 부위 중 하나가 바로 손이다. 요즘처럼 날씨가 추워지면 특히 손이 저리다고 호소하는 사람들이 증가한다. 이럴 때 대부분은 기온이 낮아지면서 말초혈관이 수축해 혈액순환이 잘 안 돼서 그럴 거라고 짐작한다. 그래서 따뜻한 찜질을 하거나 혈액순환 개선제를 복용하며 버티는 경우가 많다. 물론 혈액순환 장애가 원인일 수 있지만, 손목터널증후군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혈액순환 장애 때문에 생기는 손 저림증과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생기는 손 저림증은 약간 다르게 나타난다.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손가락 다섯 개가 모두 저리고, 손뿐 아니라 발도 저리다고 느낀다. 또 손끝부터 시리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이에 비해 손목터널증후군은 대개 엄지손가락부터 네 번째 손가락 절반 부분까지 저린 증상이 주로 밤에 나타나고, 손등보다 손바닥 쪽이 더 많이 저리다고 느낀다. 심하면 엄지에서 넷째 손가락까지의 손끝이 아프거나 감각이 둔해지기도 한다.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는 손목을 통과하는 신경이 다양한 원인 때문에 주변의 인대에 눌려서 손이 저린 증상을 겪게 되는 것이다. 처음에는 가사일이나 운전 등 손을 많이 쓰는 일을 하고 난 뒤 주로 저리거나 살짝 아픈 정도로 느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엄지손가락의 힘이 약해지면서 엄지와 손목 사이의 두툼한 근육이 위축된다. 결국 단추를 잠그거나 컵이나 전화기를 잡거나 방문을 여닫는 등의 일상 동작도 쉽지 않을 만큼 지장을 주게 된다. 더 심해지면 팔과 어깨로까지 저린 증상이 퍼질 수 있다.
겨울에는 단순히 날이 추워서 그러겠지 하고 이런 증상들을 방치하게 될 우려가 높다. 손목터널증후군에 따른 손저림 증상을 방치하면 신경이 눌리는 정도가 심해져 통증이 생기고 감각이 무뎌질 수 있다. 이럴 땐 손으로 가는 3가지 신경 중 정확히 어느 것이 어디서 눌리는지를 검사를 통해 알아내 빨리 치료해야 한다.
손이 저리거나 감각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 건 동상도 마찬가지다. 손과 발, 귀처럼 외부 노출이 많은 기관은 요즘 같은 강추위에 쉽게 동상에 걸릴 수 있다. 동상에 걸린 부위는 차가우면서 창백해지거나 빨갛게 부어 오르면서 수포가 생기는 게 특징이다. 특히 스키장에서 스키나 스노보드에 열중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동상이 시작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동상은 응급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손상 부위 피부가 하얗게 변하면서 감각이 없어지면 곧바로 따뜻한 장소로 옮겨 38~42도 정도 온도의 따듯한 물에 해당 부위를 20~40분간 담그고 있는 게 좋다. 혈관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기 위해서다. 언 부위를 녹인다고 너무 뜨거운 물에 피부를 오래 담그고 있으면 오히려 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 동상 부위가 저리거나 아프다고 해서 문지르거나 주무르는 건 절대 금물이다. 체액이 얼어 있는 채로 세포나 일부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추운 날씨에 스키장 등 외부에서 머물러야 할 때 동상에 걸리지 않으려면 반드시 술과 담배는 피해야 한다. 술을 마시면 혈관이 확장되면서 몸에 있던 열이 방출돼 체온이 낮아진다. 동상에 더 쉽게 노출되는 것이다. 담배를 피우면 반대로 혈관이 수축해 원활한 혈액순환이 방해를 받는다. 외부에 많이 노출되는 신체 부위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젖은 양말은 자주 갈아 신는 게 가장 중요한 동상 예방법이다.
기온이 1도 떨어질 때마다 응급실을 찾는 저체온증 환자가 약 8%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그만큼 기온과 저체온증이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얘기다. 저체온증은 몸의 온도가 정상 체온인 37도보다 2도나 낮은 35도 아래로 떨어지는 상황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 몸은 체온을 조금이라도 더 유지하기 위해 말초혈관을 수축시킨다. 그래서 몸을 자꾸 떨게 되고, 피부는 창백해지거나 하얗게 변한다. 이 상황이 지속되면 체내 각 조직으로 운반되는 산소가 줄어들어 장기들이 제 기능을 유지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 몸의 온도가 32도 이하로 더 떨어지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도 불가능해진다. 아예 의식을 잃게 될 수도 있다.
저체온증 증상이 나타나면 가장 먼저 따뜻한 곳으로 옮겨 바람과 추위를 피하는 게 급선무다. 옷이 젖어 있다면 즉시 마른 옷으로 갈아 입고,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체온을 올리기 위해서는 직접 불을 가까이 하기보다는 따뜻한 바람이나 물로 온기를 유지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야외에 있어 따뜻한 장소를 찾기 어렵다면 되도록 바람을 피할 수 있고 물기가 없는 곳으로 이동하는 게 좋다. 저체온증 때문에 의식이 흐려진 환자가 있을 땐 바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해야 한다. 작은 충격에도 생명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송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도움말: 김우경 고려대구로병원 성형외과 교수, 박상오 건국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이성우 고려대안암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글 / 한국일보 기자 임소형
'건강 > 맞춤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의 안전지대는 없다! 위험한 질병의 시작 대사증후군 (2) | 2017.02.23 |
---|---|
‘내 몸 플러스’ 프로그램 속 뇌졸중 예방법 (3) | 2017.02.21 |
불안과 위협의 감정, 스트레스의 두 얼굴 (1) | 2017.02.11 |
밥 먹을 시간도 부족, 학원에 치인 아이들의 건강 (1) | 2017.02.01 |
갑자기 찾아온 불청객 , 밤이 두려운 '불면증' (1) | 2017.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