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동물에서 인간으로 감염되는 ‘인수(人獸)공통감염병’(zoonosi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ㆍ조류독감(AI)ㆍ신종인플루엔자 A(H1N1)ㆍ중증혈소판감소증후군(SFTS)ㆍ에볼라 출혈열ㆍ중동호흡기증후군(MERS)….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은 이들 감염병의 공통점은 동물에서 인간으로 감염되는 ‘인수(人獸)공통감염병’(zoonosis)이란 사실이다. 인수공통감염병은 용어 그대로 사람과 동물이 함께 걸리는 질환이다. 동물이 사람에게 옮기는 병으로 이해하면 쉽다. 동물이 사람에게 옮기는 경우가 훨씬 많아서다.





세계보건기구 브라이언 에반스 부사무총장은 ‘최근 20년간 새로 발생한 전염병의 70% 이상이 인수공통감염병”이라고 밝혔다. 인수공통감염병이 늘어나는 것은 도시화와 산림 파괴로 인한 사람과 동물과의 접촉 기회 증가, 야생동물 매매, 가축의 집단 사육, 애완동물의 다양화 등이 그 원인으로 거론된다. 실제로 고양이 카페ㆍ애견카페 등 동물 테마카페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됐다. 마트ㆍ백화점의 펫숍에서도 토끼ㆍ햄스터 등 작은 동물을 직접 만져볼 수 있다. 동물원에서 파충류를 직접 들고 기념 촬영하는 사람도 있다.


인수공통감염병은 건강은 물론 축산업 등 경제 전반에 미치는 악영향이 엄청나다. 일단 발병하면 방역도 힘들다. 인수공통감염병은 바이러스 등 병원체를 매개하는 동물과 사람을 모두 통제해야 하는 데다 바이러스의 잦은 돌연변이로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특히 우려되는 인수공통감염병은 아래 10가지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은 병원성 대장균 O-157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을 매개로 발생한다. 오염된 소고기나 우유를 제대로 익히지 않고 먹은 사람이 잘 걸린다. 6∼9월 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국내에선 연간 50명 내외의 환자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균에 감염된 후 2∼8일의 잠복기가 지나면, 피가 섞인 설사나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개 5∼10일이면 좋아지는데, 신장 기능이 약한 5세 이하의 어린이나 노인 등은 합병증으로 용혈성 요독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용혈성 요독증으로 발전하면 환자의 약 50%가 신장 기능 손상을 완전히 회복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을 예방하려면 소고기나 소고기 가공식품을 70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우유나 주스도 멸균과정을 거친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과일ㆍ채소도 먹기 전 깨끗이 씻어 혹시 있을지 모르는 대장균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가 사람을 물면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 병이다. 일본뇌염은 바이러스가 중추 신경계에 침투해 피해를 주는 법정 2군 감염병이다. 주로 여름철과 초가을에 발생한다. 뇌염모기 서식지나 일본뇌염 매개 모기의 출현이 많은 지역 거주자일수록 감염 확률이 높다. 임상 증상은 감염자 250명 중 1명꼴로 나타난다.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이나 바이러스성 수막염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드물게는 뇌염으로까지 진행된다. 뇌염으로 진행되면 약 30%의 치사율을 보인다.


브루셀라균은 소ㆍ산양ㆍ양ㆍ돼지 등에 유산을 일으키는 세균이다. 브루셀라증은 브루셀라균에 의해 사람과 동물이 걸리는 감염병이다. 사람은 살균되지 않은 유즙을 생식하거나 감염 가축을 다루다가 상처를 통해 전파된다. 국내에선 2002년 첫 환자가 발생했다.





탄저는 흙 속에 사는 탄저균에 노출되면 감염된다. 탄저균에 감염된 시체나 오염된 토양과 피부가 접촉했을 때 발생하는 피부 탄저, 경구 감염(감염된 가축의 유집이나 고기를 날로 섭취)에 의한 장탄저, 호흡기 흡입에 의한 폐탄저로 분류된다. 탄저균을 생물학적 무기로 사용하는 것은 폐탄저다. 식품을 통한 감염은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


예방주사를 맞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예방법이다. 탄저로 죽은 동물을 소각해야 한다. 광견병은 광견병 바이러스를 보유한 개ㆍ고양이와 박쥐를 포함한 야생 동물에 물리거나 할퀴어서 생기는 질병이다. 세계 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3만5000∼5만명이 광견병으로 숨진다. 광견병은 대부분 아시아에서 발생한다. 아시아ㆍ아프리카에선 개, 남미에선 흡혈 박쥐, 북미ㆍ유럽에선 너구리ㆍ스컹크ㆍ여우ㆍ박쥐 등 야생 동물을 통해 감염된다.





광견병은 겨울에 발생빈도가 높다. 너구리ㆍ늑대 등 야생동물이 산에 먹거리가 없어지면 마을로 내려오기 때문이다. 광견병 감염 개에게 물리면 처음엔 구토ㆍ두통ㆍ근육통을 호소하다 차츰 빛ㆍ소리 자극에 민감해진다. 나중엔 인두ㆍ후두 근육이 마비돼 물을 잘 삼키지 못한다. 사람이 광견병에 걸리면 공수병(恐水病)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래서다. 광견병이 의심되는 개에게 물리면 즉시 면역글로불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AI)은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류와 접촉하면 감염된다. 특히 감염된 조류의 배설물이 감염의 주요 매개체다. 고병원성 AI의 경우 사람으로 전염될 수 있다. 한국인이 AI에 감염된 사례는 없다. 사람의 독감 바이러스(인플루엔자)가 기침 등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반면 AI 바이러스는 대개 조류ㆍ포유류 등의 분변을 매개로 옮겨진다. 감염된 닭의 눈물ㆍ콧물에도 AI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사람이 AI에 걸리면 초기엔 고열ㆍ기침 등 독감과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치사율은 일반 독감보다 훨씬 높다. 폐렴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특효약이 없다. 감염 의심이 되는 닭을 만지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은 원인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정확한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다. 대기 중에 떠다니는 고체ㆍ액체의 미세한 입자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은 광우병(BSE)에 걸린 소의 고기나 그 추출물로 만든 식품을 섭취했을 때 발병한다. BSE는 감염된 소의 뇌조직이 스펀지 형으로 변형돼 BSE란 이름이 붙었다. 광우병은 소해면상뇌증(BSE), v CJD는 인간 광우병이라고도 불린다. 국내에서 소나 사람에게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


v CJD는 BSE(광우병)에 걸린 소의 특정 위험 부위(SRM)를 섭취하면 걸릴 위험이 있다. 주 증상은 치매다. 젊은 나이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잠복기는 3.5∼10년 이상이다. 큐열은 미생물인 리케차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다. 진드기를 통해 사람이 감염되기도 한다. 1935년 호주의 도축장 직원 사이에서 원인 불명의 발열 질환이 유행하면서 처음 발견됐다. 사람이 소 등 가축의 결핵균에 감염돼도 결핵에 걸릴 수 있다. 아직 국내에서 가축 결핵이 사람에게 전파된 사례는 없다.





글 / 식품의약칼럼니스트 박태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