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음식

커리 쌀국수 똠양꿍 등 에스닉 푸드 식품의 웰빙 열풍



 

요즘 국내에서도 ‘에스닉 푸드’(ethnic food)란 용어가 익숙해지고 있다.  ‘ethnic’은 ‘민족’을 뜻하는 영어단어로 특히 마이너리티(minority), 즉 소수민족을 가리킨다.


2004년 국어사전에도 실린 에스닉 푸드란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1970년대 미국이다. 주류인 백인이 즐겨 먹는 음식을 뺀 멕시코ㆍ남미ㆍ아시아ㆍ아프리카 음식 등을 통틀어 에스닉 푸드라 불렀다. 학문적인 용어라기보다는 주로 레스토랑 등 외식업에서 통용됐다.


미국에선 에스닉 푸드 시장은 해마다 증가 추세다. 미국인의 외식 문화로 뿌리내린 것으로 평가된다. “매달 적어도 한 번은 가정에서 에스닉 푸드를 요리해 먹었다”라는 사람이 84%에 달했다는 미국인 대상 설문조사 결과도 나왔다.


미국에서 에스닉 푸드는 크게 네 종류로 나눈다. 멕시코ㆍ히스패닉 음식, 아시아 음식, 인도 음식, 기타 음식(카리브 해ㆍ중동ㆍ하와이ㆍ동유럽 등)이다.



거리가 가깝고 이민 인구가 많은 멕시코ㆍ히스패닉 식품이 아직 점유율 면에서 미국인의 에스닉 푸드 가운데 선두(전체 판매 62% 차지)를 차지하고 있지만, 성장 속도는 느려졌다. 에스닉 푸드 시장에서 아시아 식품의 증가 속도가 예사롭지 않다는 것이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민텔(Mintel) 사의 평가다.


미국 시장에서 아시아 음식을 주도하는 것은 아직 일식과 중식이다.


일식은 웰빙 열풍을 잘 이용해 세계화와 서구 진출에 성공한 사례다. 고지방ㆍ고열량 음식을 즐겨온 미국인은 잘못된 식습관으로 인해 비만ㆍ심장병 등이 많이 늘어났다. 미국인의 비만율이 60%를 넘어서자 미국 의회 주도로 대책위원회까지 구성됐다. 일식이 비만 예방에 유익한 음식으로 추천받은 것이 미국인에게 크게 주목받은 계기가 됐다.


에스닉 푸드란 용어는 미국에서 일본으로 ‘수입’됐다. 일본인은 일식과 미국ㆍ유럽 음식을 제외한 다른 민족의 음식을 에스닉 푸드라고 부른다. 한식도 미국ㆍ일본에선 에스닉 푸드의 일종이다.



요즘 국내에서 거론되는 에스닉 푸드는 제3세계 국가 음식이나 동남아 음식을 주로 일컫는다. 엄밀히 말하면 중식ㆍ일식도 우리에겐 에스닉 푸드지만 이미 우리 식생활 속에 깊이 들어와 에스닉 푸드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스닉 푸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진 것은 2000년대부터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서울 이태원 외에선 에스닉 푸드를 맛보기 힘들었다. 다양성ㆍ웰빙을 추구하는 세대가 소비의 주축을 이루면서 에스닉 푸드 전문 음식점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배낭여행ㆍ어학연수 등 다양한 해외 경험을 쌓으면서 다른 문화ㆍ음식 등을 쉽게 받아들이는 풍토가 형성된 것도 에스닉 푸드의 확산에 기여했다. 


우리나라에서 에스닉 푸드를 대표하는 음식은 인도 카레ㆍ베트남 쌀국수ㆍ태국 똠양꿍ㆍ멕시코 타코ㆍ터키 케밥 등이다.



카레는 인도ㆍ파키스탄ㆍ스리랑카인의 전통 음식이다. 이곳에선 카레가 여러 가지 향신료를 섞은 소스를 가리킨다. 우리나라의 간장ㆍ된장처럼 인도의 카레는 카레 소스인 셈이다.


카레의 주원료는 생강과 비슷한 강황이다. 강황엔 활성산소를 없애는 항산화 성분인 커큐민이 풍부하다. 여기에 고수ㆍ후춧가루ㆍ계피ㆍ육두구ㆍ커민 등 20여 가지의 향신료가 추가된다.


카레는 서양에서 치매 예방 식품으로 권장된다. 학계에선 카레를 거의 매일 먹는 인도인의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 발생률이 미국인 4분의 1에 불과하고 암 환자가 적은 이유를 카레의 다양한 원료에서 찾고 있다.



베트남어로 쌀국수를 포(pho)라고 부른다. 쌀 면에 육류와 채소를 넣어 끓이고 상을 내기 직전에 숙주나물과 후추ㆍ고수 등 각종 향신료를 넣어 양념과 함께 먹는 음식이다. 


포는 원래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베트남 북부의 음식이다. 미국과 전쟁할 때 하노이의 요리사가 남쪽으로 피난 가면서 호치민(사이공)을 중심으로 한 남부 베트남의 쌀국수가 더 대중화된다. 


1975년 베트남이 공산화되면서 베트남 쌀국수는 미국ㆍ프랑스 등 전 세계로 퍼져 나간다. 요즘 우리가 즐기는 쌀국수는 하노이식이라기보다는 미국식에 가깝다. 



똠양꿍은 중국의 상어 지느러미 수프, 프랑스의 부이야 베스와 함께 세계 3대 수프로 꼽히는 태국의 대표적인 수프요리다. 태국어로 ’새우를 넣은 수프‘를 뜻한다. 비빔밥ㆍ커리처럼 다양한 식재료가 들어가 동물성과 식물성 영양소를 골고루 갖춘 웰빙식품이다. 


신선로처럼 생긴 냄비나 도자기 냄비에 담아 끓이며 새우ㆍ생선ㆍ닭고기ㆍ버섯ㆍ레몬그라스ㆍ월계수잎ㆍ생강ㆍ라임즙ㆍ피시소스ㆍ고추 등의 향신료가 들어가 오묘한 맛을 낸다. 맛이 우리의 김치찌개와 비슷하나 레몬이 들어가서 신맛이 난다. 



케밥(kebab)은 중앙아시아의 초목 지대와 아라비아 일대의 유목민이 고기를 간단하게 조리해 먹었던 음식에서 유래한다. 지금은 터키의 대표 음식으로 꼽힌다. 


케밥은 ’고기구이‘(특히 양고기)를 뜻한다. 종류가 다양하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되네르다. 제조법은 길게 세운 철봉 주위에 고기를 둘둘 만다 → 철봉을 빙빙 돌리면서 고기를 굽는다 → 고기를 얇게 썰어낸다 등  세 단계다. 이 되네르에 요구르트ㆍ토마토소스를 첨가한 것이 요즘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이쉬켄데르다.  



타코(taco)는 또띠야ㆍ프리졸과 함께 멕시코의 대표 음식이다. 또띠야에 여러 요리를 싸서 먹는 것을 말한다. 고기ㆍ해물ㆍ채소 등 각종 재료를 싸서 먹을 수 있으며  대개 살사 소스를 끼얹어 먹는다. 고기 타코의 경우 라임즙을 뿌리기도 한다. 


타코는 음식 명인 동시에 또띠야로 싸서 먹는 음식 섭취법이다. 또띠야는 옥수수 가루를 밀전병처럼 철판에서 얇게 구운 것으로 여기에 여러 음식을 싸서 먹는다. 프리졸은 다양한 콩류 특히 검정콩을 오래 삶아 으깬 뒤 돼지기름을 넣고 볶은 음식이다.  



이들 에스닉 푸드는 여러 식재료를 함께 넣어 만든(mixing) 음식이란 점에서 우리의 비빔밥과 닮았다. 다양한 식재료를 사용해 동물성과 식물성 영양소를 고루 섭취할 수 있는 데다 식재료끼리 상호작용을 일으키면 건강에 유익한 물질이 생성된다는 것이 이들이 웰빙식품으로 평가받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