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혹시 나도 ‘코로나블루’?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조되고 있는 요즘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감염성 높은 질환의 전파를 막기 위해 감염된 사람들과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의 접촉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행동이다.


과거 1918년 당시에도 미국 감염병 전파 속도를 늦추기 위해 교회들은 예배를 중단했고 시민들의 모임도 취소됐다고 한다.




구체적인 행동 요령으로는 1.8m 이상 다가서지 않고 세 걸음 떨어지기, 환기가 되지 않는 밀폐공간에 오래 있지 않기, 마스크 착용하기, 자주 손 씻기 등이 있다.


이러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예방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지 아직 검증되지는 않았지만 감염병의 지역사회 전파를 일시적으로 조절하는 데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줄어들게 되는데, 사회 활동이 잦아들면 가장 먼저 생기는 것은 심리적 고립감이다. 모든 사람들의 일상이 코로나19로 멈추면서 무기력함과 불안증세를 호소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바로 ‘코로나블루’다. 코로나19와 우울감을 듯하는 블루(blue)를 합친 신조어다.





당장 재택근무를 하는 사람들은 가사와 일이 섞인 공간에서 혼란스러움에 코로나블루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또 육아를 하는 경우에도 자녀들의 개학이 미뤄지면서 하루 종일 집에서만 시간을 보내야 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이런 일상이 이어지면서 번아웃에 빠지기도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생계가 어려워진 이들의 코로나블루도 심각하다. 자영업자들은 당장 생계에 지장을 받고 있고 불안정한 고용 형태의 근로자들은 코로나19가 끝난 뒤 자신의 자리가 온전히 남아있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도 크다.




확진자나 자가격리 중인 유증상자들의 불안감도 상당하다. 실제로 치료 이후에도 코로나19가 낫지 않을 것이라는 불안감이나 음성 판정에도 불안감에 반복적으로 확진 검사를 의뢰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모두 코로나19에 대한 공포심에 비롯된 불안감으로 건강에 대해 염려하는 현상은 자연스러운 반응이라고 분석한다.


코로나19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만큼 코로나블루의 확산세도 빠르다. 그만큼 물리적 방역 뿐 아니라 심리 방역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다.




먼저 전문가들은 심리 방역의 가장 중요한 것이 ‘연대’라고 꼽는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물리적으로 만나 안부를 물을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지만 전화나 메신저로 가까운 이들의 안부를 자주 물어보자.


감염병은 국경이나 인종, 계층을 가리지 않는 질병이다. 그만큼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서로 겪는 불안감에 대해 공유하고 대화하는 과정을 통해 공감하는 것만으로도 코로나블루를 완화시킬 수 있다.


“잘 지내나요” “건강은 어떤가요” 라는 식의 간단한 안부를 주고받는 것만으로도 집 안에 고립된 느낌에서 벗어날 수 있다.


코로나19가 종식된 뒤 해야 할 일을 꼽아보는 것도 무기력감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한다. 예를 들어 코로나19가 종식되면 가보고 싶은 곳의 여행지 정보를 검색해보거나 하고 싶은 취미 활동의 계획을 세워보는 것이다.


또 집에서 할 수 있는 취미들, 예를 들어 컬러링북을 칠해보거나 음악 감상 등의 시간을 꾸준히 일과에 포함시켜 새로운 일상을 만들어보는 것도 중요하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이런 사소한 행동으로 기분전환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심한 경우에는 아무리 상황에서 벗어나려고 해도 우울감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봐야한다.


당장은 보건복지부 통합심리지원단에서 지원하는 코로나19 상담 채널을 활용하거나 지자체의 마음방역 상담 서비스를 이용해보자. 전문가에게 자신이 코로나19로 처한 상황을 털어놓고 조언을 듣는 것만으로도 코로나블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도움말: 국가트라우마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