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알코올 중독·의존증 : 증상과 자가 진단, 치료법

 

· 신체적으로 위험이 되는 상황에서 반복해서 술을 마신다.

· 사회적, 대인 관계적 문제가 발생하거나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반복해서 술을 마신다.

· 법적 문제가 반복되는 데도 술을 마신다.

· 술을 마시지 않으면 금단증상(손 떨림, 구토, 설사, 두통, 섬망, 환각 등)이 나타난다.

· 내성/역내성이 나타난다.

· 의도된 양보다 더 많이, 더 오래 마신다.

· 술을 끊거나 줄이려 노력하나 실패한다.

· 술을 마시는 것과 관련된 활동에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

· 신체적, 심리적 문제가 발생하는 데도 술을 계속 마신다.

· 술을 마시기 위해서 중요한 사회적, 직업적 혹은 여가활동들을 포기한다.

·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하게 술에 대한 갈망을 느낀다.

 

알코올 사용 장애(흔히 알코올중독으로 부름)에 걸린 사람들이 주로 경험하는 것들이다. 위 기준 중 2가지 이상에 해당된다면 알코올 사용 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단순하게 정리하면 금단증상이 있는지 여부와 술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알코올중독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자신이 스스로 술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착각하곤 한다. 그로 인해 더 크고 심각한 문제가 생기기 전까지는 자발적으로 치료받는 경우가 드물다.

 

특히 심한 금단증상을 겪는 사람들은 술이 몸속에 들어가지 않을 때 견디기 힘들게 고통스럽기 때문에 다시 술을 찾는 경우가 많다.

 

 

 

 

 

 

 

 

 

 

 

[ 알코올 중독·의존증이 불러오는 위험한 증상 ]

 

그렇다면 강제로라도 치료받게 하는 방법은 없을까?

정신 건강 증진 및 정신 질환자 복지 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강제로 치료할 수 있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다. 크게 두 가지 조건을 동시에 충족해야 한다. 하나는 치료의 필요성이 있어야 하고, 다른 하나는 술 문제로 인해 자해나 타해의 위험성이 있어야 한다.

 

 

 

 

 

 

 

 

 

 

 

 

 

 

 

자해의 위험성은 아직까지 꽤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다. 예를 들어 술을 마신 상태에서 몸을 가누지 못하다 보니 낙상의 위험(신체의 골절 등)에 처한 경험이 있는 경우, 밥을 먹지 않고 다량의 술만 마시면서 영양 상태가 심하게 파괴된 경우, 신체 질환(간경화, 뇌출혈, 당뇨 등)이 심해서 치료가 필요한 상황임에도 술만 마셔서 건강에 위협이 되는 경우, 술을 마신 상태에서 자해하거나 자살에 대해 말하고 행동하는 경우 등이 포함된다.

 

주변 사람이 알코올 중독 문제로 자·타해 위험성을 보이고 있다면 시·군·구마다 설치되어 있는 정신 건강 복지센터나 중독 관리 통합지원센터에 연락해 보자. 비자의 입원 치료 진행 과정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알코올 중독·의존증, 노력으로 치료하자! ]

 

그렇다면, 알코올 중독은 치료가 가능할까? 정답은 Yes다. 많은 사람들이 알코올중독은 치료가 안된다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치료가 쉽지 않고, 재발이 잦은 병이기 때문에 생긴 편견이라고 할 수 있다.

 

치료는 가능하다. 다만, 치료를 위해서는 자신이 중독자라는 것을 받아들이고, 자신이 술에 대해 무기력하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금씩 조절해가면서 먹으면 된다는 생각으로 한잔 마시기 시작해서 재발하는 경우도 많다. 중독자는 술이 입에 들어가면 멈추기 어렵기 때문에 한 잔도 입에 대지 않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중독으로부터 회복해가는 과정에서는 술을 마시게 만드는 상황이 무엇인지 아는 것도 중요하다. 어떤 사람은 외로워서, 어떤 사람은 심심해서, 어떤 사람은 화가 나서, 어떤 사람은 스트레스 받아서, 어떤 사람은 잠이 오지 않아서 술을 찾는다. 중독자들에게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법이 오직 술인 경우가 많다. 중독으로부터의 회복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의 여러 가지 문제에 부딪혔을 때 술이 아닌 다른 건강한 해결책을 갖고 있어야 한다.

 

회복 과정에는 주변에 어떤 사람이 있는지도 중요하다. 중독자들은 대부분 술친구 중심으로 인간관계가 짜여져 있다. 이제는 술친구가 아닌 회복에 도움이 되는 건강한 인간관계를 만들어야 한다. 혼자서는 할 수 없는 것들을 함께 노력하고 애쓰면 훨씬 수월하게 이룰 수 있다.

 

 

 

 

 

 

 

 

 

 

 

 

 

 

 

중독자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고 치료를 시작하더라도 종종 재발한다. 꾸준히 포기하지 않고 회복의 여정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회복의 여정은 단거리 100미터 달리기가 아니라 장거리 마라톤과 같다. 중독관리 통합지원센터나 정신 건강 복지센터의 전문가들로부터 도움을 받는다면 회복의 여정이 외롭지 않을 것이다.

 

 

 

경희대학교 사회복지학 용효중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