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혈액형과 성격은 정말로 관계가 있을까? 혈액형 성격론​

 

우리나라에서는 혈액형이 성격과 연관되어 있다고 여기는 믿음이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다.

 

'A형은 꼼꼼하고 신중하며 배려심이 있지만, 내성적이고 소심하다'라거나 'B형은 사교적이지만 짜증을 많이 내는 등 자기중심적이다', 'O형은 열정적이지만 다혈질이다', 'AB형은 판단력이 뛰어나지만 잘난 척을 잘한다'와 같은 '혈액형 성격론'이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다.

 

이는 과학적 근거가 없는 유사과학이며 가짜뉴스라는 전문가들의 증언에도 불구하고 흔들리지 않는 신앙처럼 뿌리가 깊다.

 

 

 

 

 

 

다소 오래된 설문 조사 결과이긴 하지만, 2004년 12월에 한국갤럽이 전국 13~64세 700명(남녀 각 350명)을 대상으로 혈액형과 성격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혈액형 성격론에 깊이 빠져 있는지 알 수 있다.

 

조사 결과, 전체의 75.9%가 혈액형과 성격의 상관관계가 밀접하다고 여겼고, 23.3%는 대인관계나 학교 혹은 직장생활을 하면서 혈액형을 중요하게 고려했다. 심지어 이성 교제나 결혼할 때 혈액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응답자도 20.3%에 달했다.

 

다른 어떤 곳보다 과학적이어야 할 교육기관까지 혈액형이 성격을 결정한다는 믿음에 사로잡혀 비판을 자초하기도 했다.

 

과거의 일이긴 하지만, 서울 강남교육청은 2007년 2월에 중학교 신입생 안내 책자에 `혈액형별 공부법'을 실어 관내 중학교에 배포했다가 학부모 등의 항의가 거세지자 문제의 책자를 회수하는 물의를 빚었다.

 

강남교육청은 이 책자에서 A형은 `신중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성실한 사람'으로, B형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감각파'로, O형은 `신념이 강하고 이상이 큰 사람'으로, AB형은 `자신의 주관을 갖고 정한 길을 걷는 사람' 등 혈액형별로 아이들의 성격을 규정하고 그에 따른 공부 방법을 소개하는 어이없는 일을 저지른 것이다.

 

 

 

 

 

 

ABO식 혈액형을 발견한 카를 란트슈타이너

 

현재 널리 쓰이는 ABO식 혈액형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병리학자 카를 란트슈타이너(1868∼1943)가 1901년에 발견했다.

 

의학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견으로 꼽히는 혈액형을 알아냄으로써 이후 수혈이 가능해져 많은 목숨을 구할 수 있게 됐으며, 그는 이 공로로 1930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혈액형이 다른 피가 섞이면 적혈구가 엉기는 응집 현상이 일어나 모세혈관을 막기에 수혈을 할 수 없다.

 

하지만 란트슈타이너가 이런 사실을 밝혀낼 때까지 인류는 수혈을 시도했다가 번번이 실패해 부상이나 수술·출산 중에 과다 출혈로 숨지는 비극을 벗어나지 못했다.

 

유대인으로 태어난 란트슈타이너는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법령이 유대인은 의사가 될 수 없다고 규정해 대학 때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빈 대학 병리해부학 연구소에서 자신과 연구원들의 피를 뽑아 여러 가지 조합으로 실험해본 결과 피를 엉기게 하는 응집소가 두 가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각기 다른 응집소를 보유한 혈액형을 각각 A형과 B형으로 구분하고, 두 응집소와 섞여도 엉기지 않는 혈액형은 C형이라고 명명했다.

 

란트슈타이너는 이런 내용을 담은 논문 '정상인 혈액의 응집 현상'을 1901년 11월 14일 발표했고, 이듬해에는 그의 제자들이 두 응집소와 모두 반응하는 AB형을 찾아냈다.

 

1923년 미국 록펠러 의학연구소로 자리를 옮긴 란트슈타이너는 그때까지 1, 2, 3, 4 혹은 A, B, C, AB로 나라마다 다르게 불리던 혈액형을 A, B, O, AB로 통일하자고 제창했다. C형은 응집원이 모두 없다는 의미로 숫자 '0형'으로 불렀다가 나중에 알파벳 'O형'으로 굳어졌다. 란트슈타이너는 ABO식 혈액형 말고도 1926년 MN식 혈액형과 P 혈액형을 더 발견했고 1940년 Rh 혈액형도 발견했다.

지금까지 여러 학자의 노력으로 추가 발견된 혈액형은 모두 150여 가지에 이른다고 한다. 이 가운데 국제수혈학회가 주요 혈액형 분류법으로 고지한 것은 30여 가지이며, 수혈 때 반드시 구분해야 하는 혈액형은 ABO와 Rh뿐이다.

 

 

 

 

 

 

혈액형 성격론을 믿는 두 나라, 한국과 일본

 

이런 혈액형과 성격을 연관 짓는 나라는 일본과 한국뿐이라고 한다.

 

혈액형 성격론은 1970년 일본의 방송 프로듀서인 노미 마사히코가 쓴 '혈액형 성격설'이라는 책이 인기를 끌면서 일본에서 유행하기 시작했다. 심지어 일본에서는 혈액형에 따라 반 편성을 하는 유치원이 생기 정도로 혈액형 성격론이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자 우리나라에서도 번역본이 출간됐고, 현재는 혈액형 성격론의 본산인 일본보다 더 혈액형별 성격이 존재한다고 굳게 믿는 지경에 이르렀다.

 

하지만 혈액형과 성격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바가 없으며 전혀 관련이 없다.

 

이런 사실은 전 세계 'O형' 혈액형 분포도를 보면 명확하게 드러난다. 북미와 중남미 등 아메리카 대륙의 모든 국가는 O형이 70~100%로 O형이 대부분이다. 특히 인구 1,825만 명의 과테말라는 O형이 100%에 가깝다. 그렇다고 과테말라 사람들이 모두 비슷한 성격을 가진 것은 아니다.

 

 

 

 

 

혈액형 성격론도 폭력임을 잊지 말아야

 

한 개인의 성격은 여러 가지 유전적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결정되는 것이지, 혈액형이나 별자리에 의존하는 성격 유형학은 검증되지 못한, 흥밋거리 수준의 주장일 뿐이다. 사람을 외모, 나이, 출신 지역, 혈액형처럼 노력해도 바꿀 수 없는 선천적인 것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단정 지어 버리는 것은 위험천만한 폭력 행위임을 명심하자.

 

 

참고서적; 'What am I', 나흥식 지음, 이와우 출판사

 

 

연합뉴스 서한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