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맞춤형

소유의 삶이냐?, 존재의 삶이냐?

 

  20세기의 위대한 사상가이자 심리학자, 정신분석학자, 철학자였던 에리히 프롬(Erich Fromm).

  그는 자신의 저서 『소유냐 존재냐』에서 산업화 사회와 물질적 풍요가 가져온 폐해를 지적하면서, 소유의 삶에서 존재의

 삶으로 옮겨갈 것을 권하고 있다.

 

 

 

 

 

 산업화 사회의 두 얼굴

 

 산업혁명으로 시작된 산업화 사회에서 인류의 삶에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경제의 중심을 농업에서 제조업으로, 가족을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삶의 기반을 농촌에서 도시로 바꾸었다.  대량 생산으로 원하는 물건을 싼 값에 구입할 수 있게 됐다.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면서 돈이 넘쳐났다.

 

 이에 따라 비천한 가문에서 태어났다고 해도 신분상승을 꾀할 수 있는 또 다른 수단이 생겼다. 소위 물질만능시대였다. 그러나 어두운 그들도 있었다. 

 

 부모들이 모두 공장에 나가면서 아이들은 방치되었고, 돌봄을 받지 못하는 노인들이 생겨났다. 실업자들이 넘쳐났다.  실업은 술의 대량생산과 만나 알코올 중독 문제를 발생시켰다. 산업화 사회 이전까지는 술이 워낙 고가였고 누구나 일을 했기 때문에 알코올 중독자들은 없었다고 한다. 이 외에도 현대 사회가 갖고 있는 수많은 문제들은 바로 산업화 사회가 가져온 것들이다.

 

 

 

 

 우리를 불행하게 만드는 비교와 경쟁, 그리고 소유

 

 좁은 지역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면서 사람들은 서로를 끊임없이 비교한다.  그리고 경쟁한다.

 

 산업화 사회의 산물인 공교육만 해도 그렇다. 

 이전까지 교육은 개인의 상황에 맞게 진행되었다. 마치 각 가정이 원하는 식사를 스스로 만들어 먹는 것처럼 말이다.  반면 아이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고 모두에게 동일한 내용을 가르치는 공교육은 국가에서 식량을 배급하는 것과 비슷하다. 

 물론 차별 없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공교육의 장점을 모르는 바 아니다.  그러나 경쟁이라는 더 큰 문제가 있다. 

 

 비교와 경쟁은 우리를 지치게 만든다. 특히 산업화 사회에서 가능해진 대량생산은 비교와 경쟁을 소유의 문제로 바꿔놓았다.

 남들은 가지고 있는데, 나만 없다는 것은 매우 큰 위협이다.  학교건 직장이건 사람들은 모이기만 하면 끊임없이 비교한다.

 모두 가지고 있는 ‘it 아이템’을 나만 가지지 못했다면? 생각만 해도 끔찍하지 않은가.

 

 결국 우리는 비교와 경쟁에서 뒤 떨어지지 않으려 더 많은 것을 소유하려고 애쓴다. 그러려 돈이 필요하고, 그래서 밤낮없이 일한다. 소유를 통해 비교와 경쟁에서 이겨야 행복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지금도 끊임없이 온갖 매체는 “소유하라”는 메시지를 쏟아낸다. 

 마치 ‘남들은 다 소유하고 있는데 너는 뭐하고 있느냐’, ‘남들은 모두 new 아이템을 샀는데 너는 아직도 old를 가지고 있느냐’, ‘그렇게 살다가는 뒤떨어지고 뒤쳐져서 실패할 것이라’고 협박하는 것 같다.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가 중요하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교의 심리학자 벤 보벤(Leaf Van Boven)은 1200여 명을 대상으로 전화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주로 가정의 경제에 대한 내용들이었는데, 그 가운데는 행복해지기 위해서 ‘소유’ 자체를 목적으로 구매했던 물건(옷, 보석, IT제품 등)과 ‘경험’을 목적으로 구매했던 물건(공연 티켓, 여행 등)을 한 가지씩 고르게 했다.

 

그리고 둘 중에 무엇이 자신을 더 행복하게 만들었는지를 물었다.  그 결과 소유를 선택했던 사람은 34%, 경험을 선택한 사람은 57%였다. 나머지는 비슷하다고 말했다.

 

 소유는 당장 행복감을 줄 수 있다. 남들이 부러워하는 무언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생각만 해도 설렌다. 하지만 그 기쁨은 오래 가지 않는다.  소유한 물건은 얼마 못가 분실할 수도 있고 고장이 나며, 금세 구식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험은 다르다. 경험은 우리의 마음속에 남기 때문에 분실과 고장의 염려가 없으며, 구식이 되지도 않는다.

 

 우리는 정말 행복해 지려면 소유의 패러다임에서 존재와 경험의 패러다임으로 바꿔야 한다.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던 헤르멘 헤세(Hermann Hesse)는 이렇게 말했다.
“행복은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의 문제입니다. 행복은 대상이 아니라 능력입니다.”

 

 무엇을 소유한다고 행복해지지 않는다. 무슨 활동이든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

또한 행복은 우리의 외부에 있는 대상이 아니다. 우리가 계발할 수 있는 우리 내면의 능력이다.

 

 

 

 

누다심 / 심리학 칼럼니스트

 

 

 

 

 

 로그인 없이 가능한 손가락추천은 글쓴이의 또다른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