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TV&영화 속 건강

그대 안으로 들어가라…행복은 늘 안에 있다






“밖으로 나가지 마라. 그대 안으로 들어가라.”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론>은 애절한 자기성찰이다. 그는 젊은 시절의 방탕과 욕망을 벌거벗겨 ‘참회대’에 세웠다. 그 참회 위에 믿음을 심었다. “당신은 당신을 향해 우리를 지으셨기에 우리의 마음이 당신 안에서 안식을 얻기까지는 우리의 영혼이 평온을 누릴 수 없습니다”는 그의 고백은 믿음이 굳은 자에게나, 믿음이 약한 자에게나 포근한 영혼의 안식을 준다.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은 인간의 행복이 외물(外物)에 있지 않고 내면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음을 일깨운다. 깊으면 고요하고, 고요하면 비친 형상이 이그러지지 않는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善)하다고 했다. 맹자는 그 근거로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을 꼽았다. 인간은 누구에게나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씨앗이 있으니 정성껏 품으면 선한 열매를 맺을 수 있다고 봤다. 순자는 생각이 달랐다. 순자는 ‘인간은 태어남과 동시에 순박함에서 멀어 진다’고 했다. 그는 인간의 욕망·탐욕·시기·질투는 스스로 멈추지 않는다고 봤다. 그러니 인의예지를 통해 인간은 끊임없이 교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성을 보는 시각은 달랐지만 맹자·순자는 모두 선한 세상을 꿈꿨다. 맹자의 제자가 물었다. “스승님, 인간의 본성이 모두 선하다면 세상에 악인이 어찌 그리 넘쳐나는지요?” 맹자가 답했다. “욕심 때문이지. 욕심이 지나치면 어느 순간 본성을 덮어버리거든.”





철학자 니체는 인간의 정신을 3단계로 구분했다. 1단계는 ‘낙타의 정신’이다. 내가 모든 짐을 지고 가겠다는 복종의 정신이다. 희생하고 고난을 짊어질수록 더 위대하다고 생각하는 마음이다. 니체는 이런 정신을 얕게 봤다. 2단계는 ‘사자의 정신’이다. 의롭지 않는 것에 과감히 저항하는 정신이다. 니체는 사자의 정신을 낙타의 정신보다 높게 봤지만 여전히 최상은 아니라고 했다. ‘사자의 정신’이 품고 있는 대립의 불씨 때문이다. 최상인 3단계는 ‘어린이의 마음’이다. 내것 네것을 가르지 않고 더불어 즐기는 원초적 인간 유희의 정신이다. 탐심에 찌들지 않고, 피아(彼我)를 가리지 않는 순수함의 경지다. 순수함은 나이와 더불어 퇴색한다. 그러니 가끔씩 순수의 순도를 체크해보자. 건강한 영혼에 건강한 신체가 깃든다.




외물(外物)은 늘 현혹적이다. 아무리 가져도 더 가진 사람이 있고, 아무리 높아져도 더 높이 오른 사람이 있다. 대부분 불행은 비교에서 온다. 남의 떡은 언제나 커보인다. 그게 인지상정이다. 중국 성리학을 집대성한 송나라 시대의 학자 주자는 <근사록(近思錄)>에서 “사람의 마음에 주됨이 없으면 물레바퀴처럼 돌기만 할 뿐 멈춰설 곳을 모른다”고 했다. 주자는 공자의 제자 자하의 말을 가슴에 새겨 <근사록>이란 이름을 붙였다. “널리 배우되 뜻을 독실히 하고, 간절히 묻되 가까운 것부터 생각(近思)하면 인(仁)은 절로 그 가운데 있다.”  뜻을 독실히 한다는 건 본래의 나로 돌아가, 나를 바로 세운다는 의미다. 가까운 것부터 생각한다는 것 역시 스스로의 중심을 세운 뒤 넓은 세상을 본다는 얘기다.





나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만사 헛거다. 밖으로만 눈을 향하고, 밖으로만 귀를 세우면 영혼은 갈수록 쪼그라든다. 세상에만 촉을 곤두세우면 호흡이 거칠어진다. 거친 호흡은 건강에도 적신호다.  밖으로만 나가지 말자. 안으로 들어가자. 내면의 고요함에 머물자. 행복은 바로 그곳에 있다. 밖의 물건에 지나치게 마음을 쓰지 말자. 외물과 다투면 덕이 쇠하고, 마음도 흐려진다. 세상은 삶에 집착하고 교묘히 출세한 사람을 일러 흔히 지혜롭고 꾀 많은 사람이라고 한다. 한데 이건 알아야 한다. 세상의 평판이 늘 정답은 아니다.




‘답다’는 건 나잇값을 하는 일이다. 열정이 식은 청춘, 관용이 인색한 중년, 이타심이 허약한 노년은 모두 나잇값을 못하는 삶이다. 성숙은 ‘나에서 우리’로 생각의 지경이 확장되는 과정이다. 이타심이 이기심을 비집고 조금씩 자리를 넓혀가는 과정이다. 이기심에 찌든 노년은 ‘옹고집쟁이’다. 노인이 아닌, 어르신으로 대접받고자 한다면 스스로 나잇값을 해야 한다. 얼굴은 삶의 형상이다. 겸애설을 주장한 중국의 사상가 묵자는 “물에 비쳐보면 자신의 얼굴 하나쯤은 보이겠지만 사람에 비쳐보면 자신의 길흉화복이 다 보인다”고 했다. 얼굴은 한 인생의 궤적이다. 온화하고 부드러운 얼굴빛은 온화하고 부드러운 삶 바로 그 자체다.





마음과 건강은 동전의 양면처럼 늘 앞뒤로 붙어다닌다. 마음이 꼬이면 건강도 삐걱댄다. 현대인에게  건강의 최대 적은 스트레스다. 스트레스는 마음의 평온이 깨진 상태다. 나이가 들수록 ‘나'에만 집착하는 옹고집쟁이가 되지 말자. 더불어 사는 ‘우리’로 생각을 넓히자. 의견 차이를 틀림보다 다름으로 받아들이고, 이익 앞에선 의로움을 생각하고, 탐심을 줄이고 평심을 회복하자. 마음의 건강이 회복되면 육체의 건강은 절로 그 가운데에 있다.



글 / 신동열 한국경제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