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입안이 바짝바짝, 구강건조증




기온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반면 대기는 매우 건조하다. 게다가 땀 분비가 느는 계절인 탓에 입안이 바짝바짝 마르는 경우가 다반사다. 환절기에 더욱 극성인 구강건조증에 대해 알아보자.




노년층에서 특히 빈번한 

구강건조증

 

갈증을 느끼는 정도를 넘어 입술 혹은 입안이 바짝바짝 마를 때가 있다. 일시적인 증상이라면 수분 보충으로 해결이 되겠지만, 증상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낄 정도라면 구강건조증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구강건조증이란 이름 그대로 입안이 심하게 건조해지는 증상이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에 약 1,000~1,500의 타액이 분비되는데, 이 양이 부족하게 되면 입안이 메마른 느낌이 들게 된다. 약간 감소하는 정도로는 큰 변화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입안 건조로 불편한 느낌이 든다면 50%가량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구강건조증은 젊은 층에서 나타나기도 하지만 노인 3명 중 1명이 구강건조증을 앓고 있을 정도로 65세 이상 노년층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신체적 노화로 인한 것이라기보다 해당 나이대에 주로 복용하는 약물에 의한 부작용 혹은 다른 질병이 원인일 가능성이 더 크다.

 

일단 구강건조증이 생긴 경우 타액 분비가 현저히 줄어드는 게 가장 큰 변화. 타액은 윤활 기능을 하는 것은 물론 항균물질도 포함하고 있는데, 그 때문에 구강건조증 환자는 세균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음식물 찌꺼기가 치아 혹은 뺨 안쪽 점막에 들러붙기 쉬워 충치, 잇몸질환 등에 걸릴 위험도 커진다. 때로는 혀가 갈라지기도, 침이나 음식물을 씹어 삼키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구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자다가도 입 마름 때문에 잠을 설쳐 불면증에 시달리기도 한다.

 

 


충분한 수분 섭취와 

구강 청결이 중요

 

평소 생활습관을 바로잡는 것만으로도 구강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타액이 충분히 분비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자극을 가하는 것으로 신맛이 나는 과일을 먹거나, 무설탕 껌을 씹는 방법 등이 있다. , 사탕은 일시적으로 타액 분비를 증가시켜주지만 치아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물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 번에 많이 마시기보다는 적은 양을 자주 마시는 것이 체내 흡수에는 더 효과적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많은 양을 마실 필요는 없다. 하루에 8~9, 1~1.5리터 정도면 적당하다. 물을 마셔도 건조함이 가시질 않는다면 수시로 물을 입안에 머금고 있다가 뱉는 방법도 괜찮다.

 

 

또한 실내가 건조하지 않도록 습도 조절에 신경을 쓰고, 불편감이 심하다면 입술 전용 보습 제품을 바르는 것도 방법이다. , 담배, 카페인이 든 음료는 입을 더 건조하게 하므로 가급적 피해야 한다.

 

구강건조증으로 인해 충치 등이 생기지 않도록 구강 청결에도 신경을 쓰는 것이 좋다. 음식을 먹은 후 이를 닦는 습관은 기본이며, 틈틈이 가글하는 것도 좋다. , 구강건조증 환자가 알코올이 함유된 구강청결제를 사용하게 되면 건조증이 더욱 심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을 삼가고, 만약 사용해야 한다면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충분히 헹궈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