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 춘곤증. 나른한 봄날을 타고 온 졸음은 피로감을 더하고 집중력 마저 떨어뜨린다. 하지만 춘곤증은 질병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한 운동과 충분한 영양섭취를 하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 특히 제철 맞은 봄나물은 봄철 입맛을 살려줄 뿐 아니라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소를 공급하여 봄철 피로감 및 춘곤증을 이기는데 큰 도움을 준다. 보다 맛있고 안전하게 즐기는 건강 도우미, 제철 맞은 봄나물의 모든 것.
‘봄철 피로 증후군‘ 춘곤증에 좋은 봄나물의 대표 주자로 냉이, 달래, 쑥, 두릅, 씀바귀 등이 있다. 첫 번째 냉이는 철분과 칼슘을 함유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특히 비타민A, B1, B2, C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서 피로회복에 좋은 대표적인 나물이다. 바지락과 냉이를 넣고 된장찌개를 끓이거나 데쳐서 무침으로 먹는다.
두 번째 달래는 몸의 기운을 돕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는 비타민 C와 칼슘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은 물론 스태미나 식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달래의 알라신은 항산화 기능, 항암작용 등 우리 몸의 면역성을 높여주는데도 도움을 준다. 익히지 않고 해물이나 다른 봄나물과 함께 초고추장에 묻혀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세 번째 쑥은 우리나라 옛말에 ’7년 된 병을 3년 묵은 쑥을 먹고 고쳤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쑥은 춘곤증뿐 아니라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 쑥은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 A, C가 풍부하여 봄철 입맛을 돋우는데 그만이다. 쑥떡, 쑥국, 쑥버무리, 쑥 부침 등 다양한 요리법이 있다.
네 번째 두릅은 비타민 C가 풍부하고 두릅에서 나오는 특유의 향미가 신경계를 안정시키고 강화시켜주기 때문에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초조감을 없애주어 불면증과 춘곤증에 도움을 준다. 또한 단백질이 풍부하여 혈당을 내리는데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다.
다섯 번째 씀바귀는 성숙한 씀바귀는 매우 쓴맛을 내므로 이른 봄에 채취한 뿌리와 어린 순 부분을 나물로 먹는다. 우리 몸에 면역력을 강화시켜주고 항산화 작용을 도와 피로회복에 좋다. 입맛을 살리고 식욕을 돋우어 봄철 나물로 추천되는 대표 식품이다. 하루 동안 물에 담가 쓴맛을 뺀 뒤 된장이나 고추장 혹은 두 가지를 섞은 양념으로 무친다.
일부 봄나물은 잘못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고 봄철 산행시 독초를 나물로 오인하여 섭취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달래 돌나물, 씀바귀, 참나물, 더덕 등은 생으로 먹을 수 있지만 두릅, 다래순, 원추리, 고사리 등은 식물 고유의 독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반드시 끓는 물에 데쳐 독성분을 제거한 후 섭취해야 한다.
특히 원추리는 성장할수록 콜히친이란 독성분이 강해지므로 반드시 어린 순만을 섭취해야 하며, 끓는 물에 충분히 데친 후에 차가운 물에 2시간 이상 담근 후 조리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또 봄나물 조리시 소금은 되도록 적게 넣고 소금 대신 들깨가루를 사용한다. 생채의 경우는 소금보다 식초를 넣으면 봄나물이 가진 본래의 향과 맛을 살리면서 저 나트륨식 건강 요리를 즐길 수 있다.
독초를 봄나물로 오인하여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봄나물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야생 식물을 함부로 채취하거나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도시 하천변에서 자라는 야생 나물은 농약, 중금속 등의 오염이 높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주로 생채로 먹는 달래, 돌나물, 참나물 등은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수돗물에 3회 이상 깨끗히 씻은 후 조리하면 잔류농약, 식중독균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봄나물 보관법으로는 뿌리에 붙어 있는 흙은 제거하고 비닐이나 뚜껑 있는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하면 봄나물 고유의 향기와 영양 성분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
글/ 강명희 프리랜서 기자
'건강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수산부가 선정한 3월의 어식백세(魚食百歲) (0) | 2016.03.31 |
---|---|
덕선이 아버지의 단골 메뉴, 응답하라 1998 속 '꼬막' (0) | 2016.03.22 |
겨우내 얼었던 땅속에 우엉, 뿌리 깊은 건강의 맛 (0) | 2016.02.25 |
2월의 어식백세(魚食百歲) 복어와 김 (0) | 2016.02.24 |
농촌진흥청이 선발한 2월의 식재료 시래기·딸기·우 (2) | 2016.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