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생활

폐암의 강력한 원인, 흡연

 


치 료 법 -  절 제 술 , 고 에 너 지 광 선 , 항 암 치 료


  

폐암이란 무엇인가?

암이란 세포가 자라야 할 때 안 자라고 자라지 말아야 할 세포가 자라는 것으로, 자기 멋대로 자라서 주위의 조직이나 기관을 파괴하고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암의 치료에 있어서 전이 발생 여부가 매우 중요한데 전이란 원래 발생하였던 장기 외에 다른 장기로 퍼져나가는 것을 말한다.    폐암은 폐에서 발생한 암으로 주로 폐에 위치하지만 병기에 따라 심장, 횡격막, 식도, 대동맥 등과 같은 인근 장기에 직접 침범하기도 한다.




폐암의 원인

흡연은 폐암의 가장 명확하고도 흔한 원인이다. 특히 여러 종류의 폐암 중에서 소세포암과 편평상피세포암은 흡연과 깊은 관계가 있다. 폐암과 흡연과의 관련을 살펴보면 폐암 환자의 약 90%가 흡연자이고, 흡연량에 따라 폐암 발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루에 담배 1갑을 피는 경우는 10배, 하루 2갑이면 25배 정도 폐암 발생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한다.   하지만 본인이 피우지 않더라도 흡연자의 배우자처럼 오랜 기간에 걸쳐서 옆 사람이 피우는 담배연기를 흡입한 간접 흡연의 경우에도 폐암 발생율이 1.5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흡연 이외에 대기오염, 유전적 소인, 석면, 라돈 등 발암물질에 노출되는 것이 폐암의 발생과 관련있다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밖에 반복적인 염증(결핵), 마리화나, 규폐증, 비타민 A 부족 등도 폐암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다. 그러나 이들의 역할은 흡연에 비해 비교적 적으며 주된 작용은 흡연과 결합하면서 발암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석면으로, 석면에 노출된 사람은 4~5배, 특히 흡연을 하면서 석면에 노출된 경우에는 폐암 발생률이 80~90배로 증가한다고 한다.




증상 및 증후

폐암은 환자가 증상을 느껴서 병원을 방문할 경우에는 이미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즉 폐암은 진단 당시에 거의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폐암이 진단되는 경과는 만성폐색성폐질환 등 기존의 호흡기질환에서 상태가 변화하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서 알게 되거나, 건강진단 등 다른 이유로 우연히 확인된 경우, 체중감소, 발열 등 전신 증상 그리고 뼈, 뇌 등의 다른 장기에 원격전이로 인한 증상 때문에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폐암의 치료

모든 종류의 암에서 이상적인 치료법은 조기 발견에 따른 조기 치료이다. 그러나 폐암의 경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폐암에서 가장 흔한 증상인 기침의 경우 감기 혹은 기관지염으로 간주되는 경우도 많아서 조기 발견율은 약 15%밖에 되지 않으며 폐암 진단 시 환자의 2/3가 수술이 어려운 제 III기 이상이므로 조기 치료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폐암이 얼마나 진행되었는지를 암의 크기, 위치와 흉부 내 혹은 흉부 외로의 전이 여부에 따라 병기가 결정되고, 치료의 방법 특히 수술의 방법을 결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게 된다. 폐암의 진단과 병기 판정은 치료 방법의 결정과 예후를 예측하는 데 중요하다.

치료 방법으로는 암이 초기이고 환자가 수술을 견뎌낼 수 있는 건강 상태인 경우 암을 수술로 제거하고, 폐암의 증식억제 혹은 성장을 정지시킬 경우에는 고에너지 광선을 암에 투사하는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한다.



폐암 수술후의 관리


수술 후에는 수술 부위 상처의 통증, 피로, 수면장애, 음식물 섭취 불균형 등으로 활동 범위의 장애를 받을 수 있다. 수술 후 회복기에 있는 환자라면 복잡한 감정이 교차하는 것이 보통이다. 마음을 평안하게 가지는 것이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된다.

 

 

 

Tip____  수술 후 몸의 변화 및 식생활 주의법

 ▷ 수술 부위의 통증의 정도는 점차 약해 지나 수개월에서 수년 이상 장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 수술 후 한약, 상황버섯, 느릅나무즙, 개소주 등의 복용은 간 기능 손상과 출혈성 경향 등의 부작용 및 위험을
     초래 할 수 있어 피할 것을 권고하며, 수술후에도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 수술 후 6개월 정도는 금주를 하는 것이 좋으며, 이후에는 담당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글__김용희(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교수)